View : 550 Download: 0

교직 전문공동체와 자율연수에 대한 교사의 태도

Title
교직 전문공동체와 자율연수에 대한 교사의 태도
Authors
김희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행 교직구조는 교과에 관한 전문가로서의 교사 집단과 교육행정에 관한 전문가로서의 행정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직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역할과 기능에 따라 현행 교직구조가 분화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교직이 전문화 될수록 자율성과 그에 따른 책무성에의 요구는 높아지기 마련이어서, 교육이라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 집단들이 공동체를 이루어 상호 협력할 필요도 있다. 곧 학교는 교육에 관련된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개발하고, 전문가적 규범과 이상에 헌신하는 전문공동체의 장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전문성과 교직공동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교직 전문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교원 현직교육 중에서도 학교 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거나 이루어질 수 있는 자율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질문지는 선행문헌연구를 토대로 제작하였다. 표집은 서울·경기 지역의 22개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층화무선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 방법에 의거하였다. 총 28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자료 265부(94.6%) 중 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262부(98.9%)에 대하여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모든 문항별로 빈도분석을 하고, 교사의 배경변인(학교설립유형, 성, 직급, 교직경력, 교과목, 학력, 연수경험)별 차이의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전문성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교칙의 전문적 이상(professional ideal)으로 교수방법 연구와 개선 등 모범적인 수업에 대한 헌신 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꼽았다. 그리고 교사들은 교사직급이 행정관리영역과 구분되어 교수활동영역 중심으로 개편될 필요성에 대하여 대체로 동의하고 있었고, 행정관리영역보다는 교과교육영역에서 전문가로서 계속 일하고 싶어했다. 교직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조직의 관료제화와 실효성 없는 현직연수 등에 관한 문제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렇지만 가장 현실적인 문제는 물리적인 교육환경을 개선하여 교사들의 잡무를 경감하고 교사1인당 학생수를 줄이는 일이라는 것에 절반 이상의 교사들이 공감하고 있었다. 교직 공동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간에 토론하고 상호협의를 통해 의견을 나눈다거나, 전문가적 협동과 규범에 헌신하는 분위기가 매우 활발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교사들간에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높다고는 볼 수 없었다. 둘째, 교사들의 교내외 자율연수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교내연수는 연수 계획단계에서부터 연수 후 평가에 이르기까지 참여의 자발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편이었다. 그리고 정보자료나 교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대내외 연수 및 연구활동 등에 대한 지원적인 학교풍토에 대한 인식도 대체로 낮은 편이었다. 교사들이 자율연수를 행하는 주된 동기와 목적은 교사로서 전문적인 성장 발달과 성취감을 이루는 것이어서 교원연수에 대한 Eraut(1988)의 접근모델 중 성장 모델에 해당하였다. 과중한 업무와 시간 부족, 전문도서 및 정보자료의 부족 등으로 인해 사실상 대부분의 자율연수는 자기수업에 대한 반성활동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다양한 연수경험이 학점으로 인정된다면 주로 참여하고 싶은 분야로는 교육과정개발 과 대학원이나 기관연수 등의 전통적인 연수 를 선호하였다. 셋째, 교직 전문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현직교육 방안으로서 교사들의 동료 관계에 기초한 자율연수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공식적이기보다는 비공식적인 동료지도를 통해 수업에 관한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연구모임 활동은 어느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 장래 교사센터가 설립된다면 가장 주된 활동영역으로는 다수가 교수학습에 관한 자료나 기자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 있어서, 교사센터가 교사들의 지역공동체를 위한 매개체로서 담당할 자율연수 기능에 대한 인식도는 높지 않은 편이었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교사들은 교수-학습 영역에서 전문가로서 일하고 싶어했지만, 교사들 간에 전문가적 공동체 인식이 높은 편은 아니었다. 학교현장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자율연수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이고 활발한 편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아주 부정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교직 전문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사들간의 상호협조 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참여와 성장 욕구를 이끌어내고 전문적인 자율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변혁지향적인 지도력이 필요하다. 서로 기능은 다르지만 교육이라는 목표를 향해 상호 협력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실천할 때, 곧 학교행정가는 교사의 발달을 고려하여 요구에 맞는 현직교육을 지원하고 교사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되 교사 상호간에는 전문가적 동료 관계에 의한 지도와 공동연구를 통해 상호 발전할 수 있을 때, 교직의 전문공동체는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resent organization of teacher society consists of teacher group as curricular professional and administrator group as educational professional.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fession, teacher s grade system need to be specialized as the roles and functions. Teacher s society been professionalized further, demands for autonomy and accountability are apt to be heightened, in order to reach goal of the education these groups need to cooperate by building community. The school must be place of a professional community where educational group members improve profession continuously, commit to professional rules and ideal. Teacher s in-service education is formed of instrument training of capacity · general · duty · special training, school site training and training by oneself. But instrument training has much problem and limit, for teachers maturing as professional and building a teacher community, teacher s autonomic inservice education which teacher individual or group is responsible for need to be practiced actually on basis of school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cognition about teacher s profession and teacher s community, and to search the attitude about teacher s autonomic training among the in-service education as one of plans for building this professional community of teachers society. This study was researched by questionnaire method.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made from the preview study. Sampling method was stratified random sampling from teachers of 22 secondary school in Seoul and Kyonggi area. Total 280 questionnaires was retrieved, total 262(98.9%) questionnaires which were reliable responses among 265(94.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All questions relied on the analyse of frequencies and x^2 verif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estioned what is attitude of teachers toward professional community. Teachers selected a commitment to practice in an exemplary way for the best professional virtue. Teachers agreed to restructuring of teacher s status for curricular profession divided from zone of administration, they would like to working in curriculum teaching zone.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 reforming problem of bureaucratization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inefficacy of inservice education is important, but most of teachers agreed that the most important and practical problem is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s decreasing much other works of teacher not teaching and high student ratio of a teacher. Environment of discussion, collegial deliberation, professional cooperation and commitment fessional virtue between teachers is not active. So perception between teachers for a community is not deep. Second, researched attitude of teachers toward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participation from plan to evaluation about staff development teacher centered in school is not deep. And perception of coordinating environment about information database, program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actice, teacher education of in-out school, and teachers research in school are not deep. Teachers main motive and goal doing autonomic in-service training are satisfac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This belongs to the growth model . Owing to much works, the lack of time and information and so on, autonomic in-service training constitutes reflection activities on instruction by themselves. Teachers prefer to participate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ypical institute education. Teachers prefer private peer coaching to public peer coaching. Researching about curriculum is not active. Teachers expect teacher center s activities are providing educational information, data, source, and teaching equipment. Finally, inservice education by the teacher, for the teacher, of the teacher in site school is not fully active, but improvement possibility is present. Teacher as professional group of curriculum, instruction and administrator as professional group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ed to coordinate supporting circumstances. Then these two groups cooperate for goal of human education, a professional community of teachers is building essenti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