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과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연구 : 서울 일부지역의 여성을대상으로

Title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과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연구 : 서울 일부지역의 여성을대상으로
Authors
정숙명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유방암의 발생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기에 유방암을 진단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건강 증진과 건강 유지를 강조하는 건강 체계의 변화로 건강한 생활 양식을 위한 활동에 대한 개인의 책임이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유방자가검진은 유방암 조기 발견 방법 중 여성 스스로 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 하겠다. 그러나 실제 여성들이 규칙적으로 매달 유방자가검진을 시행하는 경우는 적은 것으로 나타나(정수진 1998; Choudhry, Srivastava, Fitch 1998; Coleman, Lord, Worley 1993; Lauver 1992; Lu 1995; Maurer 1997; Vietri, Poskitt, Slaninka 1997)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한 유방자가검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여성의 규칙적이고 정확한 유방자가검진의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의 양천구, 구로구, 강서구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여성 256명을 임의 추출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5문항, 유방 관련 특성 11문항과 Champion(1993)이 개발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 18문항,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측정 도구 53문항,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 7문항 총 95문항, 5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s α값은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80,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74,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71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와 Peason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2세이었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 49%, 기혼 47%이었다. 학력은 대졸 71%, 자녀가 없는 대상자 59%, 월수입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42%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유방 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는 유방 질환을 경험하지 않은 대상자 94%, 지난 5년동안 유방촬영술 및 초음파 시행 경험이 없는 경우 77%, 정기적으로 전문가에게 유방 검진을 받지 않는 경우 88%, 유방자가검진을 권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 88%, 유방자가검진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91%, 유방자가검진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8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지난 5년동안 산부인과 검사 경험이 없는 경우 56%, 유방자가검진을 하지 않는 경우가 59%, 주변에 유방암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는 15%이었으며, 유방자가검진 시행 의향은 생각나면 할 것이라는 경우 49%, 규칙적으로 할 것이라는 경우 41%순으로 나타났다. 3.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 정도 1)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본 연구 대상자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정도는 평균 점수 11.98점으로 중간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정도는 평균 평점 민감성 1.84, 심각성 2.40,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 3.37,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 2.02, 확신 3.07, 건강 동기 3.34, 유방촬영술에 대한 유익성 3.48, 유방촬영술에 대한 장애성 2.45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중 유방촬영술에 대한 유익성이 가장 높았으며, 민감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정도는 평균 점수 21.21점, 평균 평점 3.03으로 나타나 보통 정도의 자기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과의 차이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연령별로는 26-30세, 결혼 상태로는 미혼 혹은 이혼이나 별거중인 대상자, 자녀수에 따라서는 자녀가 없거나 1명인 경우,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은 경우, 월수입에 따라서는 수입이 많은 경우 지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연령별로는 연령이 낮은 경우 확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이혼 또는 별거한 대상자 자녀수에 따라서는 자녀가 2명인 경우가 건강 동기가 가장 높았다. 월수입에 따라서는, 월수입이 많은 경우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 건강 동기, 유방촬영술에 대한 유익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연령이 낮은 경우, 학력이 높은 경우, 월수입이 많은 경우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유방 관련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과의 차이 1) 유방 관련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유방자가검진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유방자가검진을 배운 경험이 있는 경우, 유방자가검진을 시행하고 있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지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유방 관련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유방 질환을 앓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민감성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산부인과적 검사를 4-5번 한 대상자, 지난 5년간 유방촬영술 및 초음파를 1-3번 촬영한 대상자가 건강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자가검진을 들어본 대상자일수록 확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자가검진을 배운 대상자가 배우지 않은 대상자보다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과 확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자가검진을 시행하는 대상자가 시행하지 않는 대상자보다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과 확신이 높고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방 관련 특성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유방자가검진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유방자가검진을 배운 경험이 있는 경우, 유방자가검진을 시행하고 있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1)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간의 관계 지식이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 확신, 건강 동기, 유방촬영술에 대한 유익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지식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간의 관계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 확신, 건강 동기, 유방 촬영술에 대한 유익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민감성,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장애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 신념 중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유익성, 확신, 건강 동기, 유방촬영술에 대한 유익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신념,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반복함으로써 변수들간의 관계가 실제 유방자가검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한 행위를 증진시키는 유방자가검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reast self-examination (BS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f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256 women above 18 years old residing in Yangchon-gu, Kuro-gu and Kangso-gu of Seoul.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posing guestionnaire that included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Test, Health Belief Scale, Self-Efficacy Scale. This three tools were originally developed by Champion(1993) and were done translation, backtranslation by expert that have competency in Korean, Englis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 computer program that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S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1) The mean of BSE knowledge was 11.98 in a range of 0 to 18, showing as mean score. 2) The item mean of health belief variables that susceptibility 1.84, seriousness 2.40, benefits of BSE 3.37, barriers of BSE 2.02, confidence 3.07, health motivation 3.34, benefits of mammography 3.48, barriers of mammograpgy 2.45. The mean of benefits to mammography was highest in other variables and the mean of susceptibility was lowest in other variables. 3) The mean of self-efficacy was 21.21 in a range of 7 to 35, showing as mean score. 2. The BS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SE knowledge according to age(F=3.18, p=.0050), marital status(F=4.45, p=.0046), school age(F=19.41, p=.0001), number of children(F=5.61, p=.0010), monthly income(F=8.17, p=.0001). 2)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enefits to BSE according to monthly income(F=4.91, p=.0025).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fidence according to age(F=3.53, p=.002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health motiva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F=5.84, p=.0007), number of children (F=3.88, p=.0098), monthly income(F=7.12, p=.000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enefits to mammography according to monthly income(F=5.38, p=.0003). 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age(F=3.87, p=.0010), school age(F=15.92, p=.0001), monthly income(F=5.35, p=.0014). 3. The BS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SE knowledge according to experiences of hearing BSE(t=5.46, p=.0001), experiences of learning BSE(t=5.58, p=.0000), experiences of doing BSE(t=2.67, p=.0082). 2)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usceptibility according to experiences of having breast disease(t=4.19, p=.0000).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enefits to BSE according to experiences of learning BSE(t=3.22, p=.0014), experiences of doing BSE(t=3.26, p=.001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arriers to BSE according to experiences of having breast disease(t=3.49, p=.0006), experiences of doing BSE(t=5.65, p=.0000).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fid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f hearing BSE(t=4.01, p=.0001), experiences of learning BSE(t=5.65, p=.0000), experiences of doing BSE(t=6.40, p=.0000).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health motivation according to taking gynecologic test for the past five years(F=9.72, p=.0001), taking mammography or breast ultrasonography for the past five years(F=6.60, p=.0016). 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experiences of hearing BSE(t=5.46, p=.0000), experiences of learning BSE(t=6.35, p=.0000), experiences of doing BSE(t=5.97, p=.0000). 4. The relationships between BS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SE knowledge and benefits to BSE(r=.2067, p=.0009), confidence (r=.4245. p=.0001), health motivation (r=.2136, p=.0006), benefits to mammography (r=.2195, p=.0004) of health belief. 2)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SE knowledge and self-efficacy(r=.4593, p=.0001). 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benefits to BSE(r=.2424, p=.0001), confidence(r=.8502, p=.0001), health motivation (r=.2904, p=.0001), benefits to mammography (r=.2174, p=.0005) of health belief.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usceptibility (r=-.1643, p=.0085), barriers to BSE(r=-.2430, p=.0001) of health belief. In conclusion, further extensive research might be needed to repeat for showing relationships BSE knowledge with BSE health belief and BSE self-efficacy and relationships BSE health belief with BSE self-efficacy. And finally, this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mes for breast cancer detection and for promoting the practices of B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