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2 Download: 0

초등학교 전통음악 평가의 실태조사 연구

Title
초등학교 전통음악 평가의 실태조사 연구
Authors
이순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음악 평가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보다 나은 평가의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전통음악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먼저 교육평가의 개념과 유형을 알아보고 현행 학교 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내용을 정리하는 한편, 평가의 새로운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음악교육에서의 평가의 개념과 문제점, 그리고 음악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전통음악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전통음악 교육의 의의와 초등학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아동발달의 특징과 관련하여 서술하였으며,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통음악 교육내용을 정리하였고,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전통음악 평가요소를 선별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통음악 평가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현장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설문대상자의 인적사항, 전통음악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 전통음악 평가의 각 영역에 대한 질문, 전통음악 평가에 대한 의견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음악평가시 전통음악 비율을 서양음악 비율보다 적게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시 교사평가의 방법으로 하며 교사가 직접 작성한 기준표를 사용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평가 결과는 주로 학생들의 기록 및 보관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교사가 전통음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능부족으로 전통음악 평가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전통음악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연수 확대와 다양한 평가기준 및 자료 마련, 학습도구 및 악기의 충분한 공급이 함께 병행되어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악 평가에 있어 가장 비중을 두는 영역은 가창 이였고 실제로 가장 많이 평가하고 있는 영역은 기악 이였으며, 창작 의 평가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평가방법으로는 이해 영역의 경우 지필평가 를, 창작 영역의 경우 가사개작 을, 감상 영역의 경우 감상문 쓰기 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가창과 기악 영역의 경우 연주에 대한 종합적인 느낌 을, 창작 영역의 경우 창의력 을 감상영역의 경우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 을 채점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악 평가에 대한 의견을 요약해 보면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비롯, 전통음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능 부족에 기인한 전통음악 평가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교사에게 전통음악에 대한 연수를 확대해 평가자질을 높여 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리고 전통음악에 대한 교육자료 및 다양한 평가도구와 자료를 개발, 보급해 주고 전통음악에 대한 학습도구 및 국악기들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 This study examines current assessment condi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the elementary music class, investigates its outspoken problems and to pose a positive direction that could be useful in develop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begins in a content of theoretical background that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general term and then associates the educational impact on elementary students with an aspect of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unique aspect of evaluating music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music assessment a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y followed by enlightening definition of education assessment, its proper methods, and the difficulties that existing teachers experience by implementing the current appraisal approach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sessment, elementary teachers who are currently in the job line completed the survey.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people who surveyed, broad questions on the subject matter, queries on kinds of assessment that the teachers use in their schools, and final opinion o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following content is derived from the survey. Majority of teachers in the poll respond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less chosen as a music assessment tool than Western music i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tandard method for evaluation, most of the teachers prepare their own test charts. Afterward, the assessment results are stored in the reference file for each student. Most educators that responded the survey express their hardship toward evalu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expertise on their part about the subject. Expansion of training on those teachers effort to develop various criteria to measure the implemented assessment and finally to supply with the sufficient learning tools and musical instruments are mandatory steps to improve in evaluation quality of Korean traditioanl music education. In conducting the estim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inging Assessment takes up the most point. However, Playing an Instrument is most likely used, and Composition Assessment is less adapted by the teachers. Comprehension Assessment is mostly done by written test. For Creativity Assessment, recomposition of music is broadly used. In Appreciation Assessment, students often write their points of view after listening to a certain music. The main basis of grading Singing and Instrument playing Assessment is the wholesomeness of each performance. In case of Creativity Assessment, creative talent is most important criteria, and for Appreciation Assessment, an ability to express feeling or opinion is the major grade standpoint. In summary of suggestions made out of the survey, some express that promoting an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general public is necessary. In considering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eachers part on the subject matter, some think that, by expanding the boundary of training, quality of assessment will be well improved. Some suggests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tools, and traditional instruments to meet the goal of enhancing the assessment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