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영주-
dc.creator황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4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02-
dc.description.abstractIntervention using response prompting procedure in teaching different skills has been suggested as a effect method of teaching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Especially, simultaneous prompting has been gaining reputaiton as an effective teaching procedure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since 1990.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using simultaneous prompting in teaching a domestic skill - preparing tea and snacks - for five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 processing the intervention, the teacher gave verbal direction on every step of the total task analysis in the domestic skill - preparing tea and snack - and simultaneously gave model promt. The teacher gave verbal praise when the step was completed and then immediately provided the model prompt for the next step with directing the step verbally. To collect data, the probe session was conducted before every intervention. Generalization data were collected across materials and interventioner after each participant reached criterion.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three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and the procedure was same as the baseline and generaliz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1. The rate of the subjects total domestic skill - preparing tea and snack skill - increased through inttervention using simultaneous prompting. 2. The rate of the subjects total domestic skill - preparing tea and snack skill - were generalized asross the materials and interventioner through intervention using simultaneous prompting. 3. The rate of the subjects total domestic skill - preparing tea and snack skill - were maintained through intervention using simultaneous prompting three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intervention using simultaneous prompting in teaching a preparing tea and snack skill to the adults who have severe disabilities was effective. ; 독립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고 살아간다는 것은 성인기에 접어든 모든 장애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중도장애를 가진 이들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삶의 터전인 가정에서부터 지역사회 내의 여러 가지 활동에 걸쳐 독립적인 기능성을 가지는 것이 매우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중도장애인이란, 하나 이상의 모든 삶의 활동 내에서 확장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요하는 이들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이들이 지역사회 및 가정의 삶에서 필수적인 기능들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지원이 학령기의 중도장애 학생들이 아닌 성인기의 중도장애인들에게 확장되는 것은 매우 큰 의의를 지닌다. 특히 중도장애인의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궁극적 기능의 기준과 다음 환경의 기준 간의 균형을 고려할 때, 중도장애인들이 습득한 기술을 통하여 보다 향상된 삶의 질을 갖게 되고, 비장애인들의 삶에 보다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가정생활 기술의 교수는 매우 의미있다 하겠다. 필요한 환경 안에서 적절한 형태의 교수가 주어진다면 중도장애인들도 학습할 수 있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가정생활 기술 뿐 아니라 다양한 내용의 기술들이 중도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교수?? 시작했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를 위하여 다양한 교수전략을 활용해 왔는데, 이러한 전략들 중 반응 촉진 전략은 중도 정신지체인들의 분산 과제 및 연속 과제의 교수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반응 촉진 전략 중 동시 촉진은 절차의 간단 명료성으로 인해 처치 충실도를 높일 수 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도 및 중등도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할 때 효과적인 교수 전략이라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인 중도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동시 촉진을 사용한 교수가 가정생활 기술 영역에 속하는 연속 과제인 다과 준비하기의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A복지관에 소속된 남녀 중도장애인 5명이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실험 설계는 5명의 중도장애인들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했다. 중재 단계에서는 다과 준비하기 기술의 과제분석 단계에 따라 과제 지시와 동시에 촉진인 모델(행동시범)을 제공하였고, 중재 직전에 관찰 회기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은 중재자가 녹화한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관찰 기록표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수집되었고, 중재 효과의 일반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재 종료 직후 네 회기동안 중재자가 아닌 직업재활 상담사가 중재 조건과 다른 교수 자료들을 가지고 5명의 대상자 중 4명에게 일반화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재 종료로부터 3주 후에 5명의 대상자 중 4명에게 1대1로 유지 검사를 연속 네 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1, 2, 3, 4, 5의 다과 준비하기 과제 수행률은 동시 촉진을 이용한 교수 실시 이후 기초선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대상자 4의 경우, 중재 종료 직전 연속 세 회기 수행 평균은 82.9%, 전체 중재 조건의 수행 평균 41.5%로 다과 준비하기 기술을 습득하였고 중재 조건에서 전체 실험이 종료되었다. 이유는 대상자 4가 중재 후반에는 일정한 안정적 수행률을 보임으로서 기술을 일정 수준으로 습득하였으나, 과제분석 단계에서 지속적인 오반응을 나타내면서 대상자 5의 유지 검사 종료시기까지도 일반화로 넘어가는 기준인 3회기 연속 수행 100%를 달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중재 실시 이후 상승한 대상자 1, 2, 3, 5의 다과 준비하기 과제 수행은 중재 종료 직후 네 회기동안 실시된 일반화 기간에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 1, 2, 3, 5의 다과 준비하기 과제 수행은 중재 종료로부터 3주 후에 실시한 유지 검사에서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반응 촉진 전략 중 하나인 동시 촉진을 이용한 교수가 성인 중도장애인들의 다과 준비하기 과제의 습득, 일반화 및 유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시 촉진을 사용한 교수가 적절히 제공되면 성인 중도장애인의 교육 및 훈련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중도장애인 교육의 중요성 = 7 B. 중도장애인을 위한 가정생활 기술의 교수 = 9 C. 교수 전략으로서의 동시 촉진(simultaneous prompting) = 14 1. 동시 촉진의 정의 및 특성 = 14 2. 다양한 기술 교수에 있어 동시 촉진의 효과 연구 = 18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실험기간 = 24 C. 실험장소 및 자료 = 26 D. 실험설계 및 실험 조건 = 30 E. 관찰 및 측정 = 34 F. 신뢰도 = 36 IV. 연구결과 = 39 A.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기술 습득 = 39 B.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기술 일반화 = 42 C.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기술 유지 = 43 V. 논의 및 제언 = 46 A. 논의 = 47 1. 동시 촉진을 이용한 교수가 성인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과 제 습득에 미치는 효과 = 47 2. 동시 촉진을 이용한 교수가 성인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과 제 수행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 52 3. 동시 촉진을 이용한 교수가 성인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과 제 수행 유지에 미치는 효과 = 53 4. 오반응의 유형별 분석 및 독립변인 신뢰도에 따른 다과 준비하 기 과제 수행 = 54 B. 제한점 = 57 C. 제언 = 58 참고문헌 = 59 부록 = 66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1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동시 촉진을 이용한 교수가 성인 중도장애인의 다과 준비하기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