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윤주-
dc.creator정윤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01-
dc.description.abstract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은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교육은 법적, 사회·윤리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그 당위성이 주장되어 왔으며 현재는 장애아동이 통합학급의 수업시간에 단순히 함께 있는 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통합학급에서 일반아동과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통합과 통합학급의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적 통합이 강조되고 있다. 이렇게 사회적·교수적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들이 전문적인 지식과 교수기술들을 보완하기 위해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해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필요도 인식정도와 실제로 수행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비교해봄으로써 현재 장애아동 통합교육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교사간 협력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집단 간에 필요도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 만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협력적인 역할들을 실행하고 있는지,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집단 간에 실행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의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간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250명과 통합학급 교사 250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80.4%)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특수학급 교사 189부, 통합학급 교사 177부를 합하여 총 366부의 설문지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 각각에 대해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집단 내에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한 필요도 인식에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집단간 필요도에 대한 인식에서 특수학급 교사집단이 통합학급 교사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집단이 통합학급 교사집단보다 실제 수행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교사집단 모두 대부분의 역할에 대한 실제 수행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집단 내에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 수행의 필요도는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수행수준은 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집단 내에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부분의 통합학급 교사들 역시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 수행의 필요도는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수행수준은 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적인 교사역할을 수행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필요성 인식보다는 낮은 수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의 수행정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 수행을 위한 지원이나 프로그램 등을 계획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a sample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regard to perception and actual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roles for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18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77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ited the majority of collaborative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assign higher ratings to collaborative roles than should b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formed higher ratings to collaborative roles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ited the majority of collaborative roles as being ones that performed seldom. Third, the major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all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but they performed seldom. Forth, the majority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all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but they performed seldom.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ited all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but in actually they performed seldom. Likewise, items that received relatively higher ratings on the actual scale also tended to receive relatively higher ratings on ideal sca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wher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nd where they would like to have been at least in terms of the collaborative roles included i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7 D. 연구의 제한점 = 9 II. 이론적 배경 = 10 A. 학습공동체 = 10 1. 학습공동체의 개념 = 10 2. 학습공동체의 등장 배경 = 12 3. 학습공동체의 특징 = 15 B. 온라인 학습공동체 = 18 1. 학습환경으로서의 가상공간 = 18 2.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개념 = 21 3.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특징 = 26 4.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의의 = 29 C. 공동체의 발전 과정 = 32 D. 관련 선행 연구 = 38 1. 온라인 공동체 발전과정에 관련 연구 = 38 2. 온라인 학습공동체 발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41 III. 연구 방법 = 47 A. 연구 대상 = 47 1. 온라인 학습공동체 = 47 B. 연구 도구 = 51 1. 온라인 학습공동체 환경 = 51 2. 메시지 분석 도구 = 54 C. 연구 절차 = 58 D. 자료 분석 = 60 1. 웹 게시판, 자료실 분석 = 60 IV. 연구 결과 = 61 A.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 = 61 1. 학습활동 = 61 2. 사회적 상호작용 = 69 3. 전체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 = 79 B. 온라인 학습공동체 발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2 1. 공동체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2 2.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2 C. 결과 종합 및 논의 = 101 V. 결론 및 제언 = 104 참고문헌 = 110 부록 = 119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74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서울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필요도 인식 및 실행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