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Title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윤희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개발하여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또한 학습자의 통제소재에 따라서 그 효과가 달리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한 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는 차이가 있는가? 1-2.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한 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학업 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2.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자의 통제소재(내적/외적)에 따라 다른가? 2-1.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한 집단에 있어, 내적 통제소재 집단과 외적 통제소재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는 차이가 있는가? 2-2.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한 집단에 있어, 내적 통제소재 집단과 외적 통제소재 집단의 학업 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도구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개발하고, 2002년 2학기 한국가상캠퍼스에 개설된 K대학교 K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통제소재 검사와 사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과거 가상수업경험을 조사하였다. 촉진전략을 제공할 실험집단과 촉진전략을 제공하지 않을 통제집단으로의 구분은 통제소재 검사 점수와 과거 가상수업경험에 따라 두 집단에 지그재그로 할당하여 대응집단이 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두 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위해 과거 가상수업 경험, 통제소재 검사 점수, 그리고 본 연구대상 과목에 대한 사전지식과 학습능력에 대하여 통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동질적인 집단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실험 후 자료분석단계에서 통제소재 검사 점수에 따라 내적 통제소재 집단과 외적 통제소재 집단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총 3주 동안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 대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수집하였다. 사후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3명을 제외하고 최종 47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에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해본 결과, 학습 동기 · 전략 검사(MSLQ)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는 사전, 사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본 연구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제공한 영역에 있어서는 사전, 사후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촉진전략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두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공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연구 대상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거나 발달 단계에 따라 자연히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적합한 전략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들(Ley & Young, 2001; Paris & Newman, 1990)을 지지하며,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e-Learning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e-Learning에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검증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두 가지로 이유를 추측해볼 수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두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가 크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즉,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는 긴밀한 관계에 있다는 여러 선행 연구(Corno & Mandinach, 1983; Pintrich & De Groot, 1990; Young, 1996; Zimmerman, 1990) 들에 비추어 볼 때, 두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가 크지 않아 학업 성취도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는, 본 연구 대상 수업의 특성에서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 대상 수업은 전적으로 인터넷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대학 수업으로, 매주 수업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강의자료와 담당 교수의 강의 동영상자료를 학습한 후, 과제에 대한 답안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한 학기 동안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외에 토론이나 탐구학습, 협동과제 등의 다른 학습 활동은 전혀 없으며, 매주 제시되는 과제는 3~4개의 서술형 문제로, 주로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기억을 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업 특성 상 자기조절학습의 다양한 전략들이 폭 넓게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특정 전략들이 주로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어 실험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통제집단 보다 높기는 하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셋째, e-Learning에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습자의 통제소재에 따라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 통제소재 집단과 외적 통제소재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외적 통제소재 집단의 변화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검증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해 볼 수 있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통제인식은 자기조절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동기적 요인이며, 따라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요소들은 통제인식이 낮은 학생들에게 보다 유익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외적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가 내적집단보다 크기는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두 집단의 사전 자기조절학습능력(내적집단 3.52, 외적집단 3.67)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즉,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하기 이전에 이미 두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사한 수준으로 발달되어 있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에 있어 통제소재에 따른 차이가 감소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집단의 사전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이유는 본 연구 대상자가 주로 3, 4학년의 대학생이라는 점에서 추측해볼 수 있다. 즉, 자기조절학습을 요구하는 대학 수업의 많은 경험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넷째, e-Learning에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학습자의 통제소재에 따라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 통제소재 집단과 외적 통제소재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내적 통제소재 집단의 평균이 외적 통제소재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검증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는 먼저, 두 번째 연구문제와 같은 맥락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전체 영역에 대한 사전 자기조절학습능력 (내적집단 3.49, 외적집단 3.54)과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내적집단 3.52, 외적집단 3.67) 둘 다에서 내적집단과 외적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여러 선행 연구들(Corno & Mandinach, 1983; Pintrich & De Groot, 1990; Young, 1996; Zimmerman, 1990)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는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통제소재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한 하나의 e-Learning 유형에서 실험을 실시한 것이며, 또 연구 대상 e-Learning의 수업 방식과 시스템의 특성 상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수업에 통합시켜 적용한 것이 아니라 별도의 자료로 제공하였다. 따라서, e-Learning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검증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수업 및 시스템에 통합시킨 e-Learning등 다양한 유형의 e-Learning 환경과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제공방법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시도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전체적인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조절학습전략 11가지를 모두 적용하여 전체적인 효과는 규명할 수 있었지만 세부 영역 별로 효과를 분석해 보지는 못했다. 그러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 개인에 있어서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각 영역에 따라 높고 낮음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차에 따라 필요로 하는 촉진전략을 제공하고,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효과를 보다 세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각 영역 별로 촉진전략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에 적용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효과가 학습자의 통제소재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지를 알아 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통제소재가 영향을 미침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공적인 e-Learning의 구현을 위해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과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의 상호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learner 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e-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between learners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those with external locus of control.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ave effects on the learner 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e-Learning environment? 1-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learner 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adopt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ose strategies? 1-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Do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learner 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vary with the learner s locus of control(internal /external)? 2-1.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learner 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etwee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The 50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ll undergraduate students from K-course of the Korea Cyber Campus. All the participants had a test to examine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test(MSLQ) before the experiment. To make matching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depending on their previous cyber-learning experiences and locus of control test scores. T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 elev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adopted and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3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e 47 participants ha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osttest (MSLQ)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observed on 59 MSLQ items which were related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d in this study(t=-2.45, p<.05).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t=.521, p>.05).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learner 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etwee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t=-.838, p>.05).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s betwee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t=.941, p>.0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irst, in this study all elev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used to improve general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Further studies ne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ach of thos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 s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need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