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진경-
dc.creator신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96-
dc.description.abstract웹기반 훈련은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대안적이고 유연성 있는 인력개발 전략의 하나로 기업에서 그 활용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 기업에서도 계속적인 양적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학습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학습자 지원 부분에 있어서 내실화와 체계적인 질적 관리는 이루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교수자의 교수활동과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튜터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동기 유발자의 역할은 가장 강조되는 역할로 이에 대한 연구들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웹기반 훈련시 튜터의 동기 유발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방침은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물론, 튜터가 전자우편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동기 유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연구와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학습을 지속하는데 도움이 되고 학업 성취도에도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웹기반 훈련에서 이들 각각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살펴본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웹기반 훈련을 실시할 때, 튜터의 역할 중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위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기반 훈련에서 튜터가 제공하는 관련성 동기 메시지 여부에 따라 진도율에 차이가 있는가? 2. 웹기반 훈련에서 튜터가 제공하는 관련성 동기 메시지 여부에 따라 지식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 3. 웹기반 훈련에서 튜터가 제공하는 관련성 동기 메시지 여부에 따라 이해력 증진에 차이가 있는가? 4. 웹기반 훈련에서 튜터가 제공하는 관련성 동기 메시지 여부에 따라 적용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L기업의 웹기반 훈련 프로그램 중 4주간 실시된 ‘네트워크 기초 및 인터넷 프로토콜’의 4차 과정과 6차 과정에 등록한 학습자 중 최종대상자 5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4차 과정 집단은 관련성 동기 메시지 집단으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을 6번 받았으며, 6차 과정 집단은 관련성 동기 메시지 비제공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 도구는 웹기반 훈련 과정, 관련성 동기 메시지였고 검사 도구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 업무환경 검사, E-mail 사용 인식 검사, 학업 성취도 평가 검사였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두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도율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으나,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 집단이 관련성 동기 메시지 비제공 집단에 비해서 진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지식 영역에 있어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 집단이 관련성 동기 메시지 비제공 집단에 비해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분석 결과 두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05). 셋째, 이해력 영역에 있어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 집단이 관련성 동기 메시지 비제공 집단에 비해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분석 결과 두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05). 넷째, 적용력 영역에 있어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 집단이 관련성 동기 메시지 비제공 집단에 비해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분석 결과 두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웹기반 훈련에서 튜터의 학습자 동기 유발 역할을 위한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진도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1) 관련성 동기 메시지 부여로 학습자가 웹기반 훈련 플랫폼 시스템에 접근하게 한 점, 2) 본 연구 과정의 학습 성취도 평가 특성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3) 학업 성취도 평가를 위하여 진도율 및 그 비중의 타당성에 대한 가능성과 기업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학업 성취도 평가 체제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요구 되어 진다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둘째, 학업 성취도(지식, 이해력, 적용력)평가에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튜터의 동기 부여 및 격려 차원의 피드백을 통한 세심한 배려와 격려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으며,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은 학업 성취도 평가 영역을 나누어서 사용하는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업의 교육 목적과 부합되면서 학습자들의 요구에 수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학업 성취도에 포함시켜야 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 결과 웹기반 훈련에서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튜터의 동기 유발자의 역할 수행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튜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인식, 자격요건, 역할 분담 규명이 필요하며 특히 튜터 자격요건에 대한 기준과 전문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학습을 지속하는데 도움이 되고 학업 성취도에도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튜터의 동기 유발자의 역할 수행의 중요성에 대한 사실과 관련 지어서 생각해볼 때 의미하는 바가 크며, 이는 웹기반 훈련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튜터의 동기 유발 역할로 관련성 동기 메시지를 적절히 선택하여 웹기반 훈련 과정에 적용을 위한 더 구체적인 표준화된 전략 방법과 조직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같은 거시적인 차원에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후속 연구로 튜터의 동기 유발자의 역할로 관련성 동기 메시지 제공이 학습자에게 본 학습 종료 후의 만족도 및 추후 학습 과정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성인 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만을 고려하여 관련성 동기 메시지를 제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관련성 이외의 동기 수준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상태를 반영한 동기 유발 개별 메시지 시스템을 제작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tor’s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fty four adults who enrolled in a web-based training program of L compan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group receiving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from a tutor and a group not receiving those messages. The group receiving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received the messages six times at the beginning of every unit for four weeks by e-mails. Those messag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levance principles in ARCS Model(Keller, 1999).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progression-rate, knowledge,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ults revealed that progression-ra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adults who received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however, showed higher academic scores (M = 26.61)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M = 24.39).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domain (t= -2.470, p< .05) between the received group with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and the non-received group with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domain (t= -2.251, p< .05) between those two group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application domain (t= -2.094, p< .05) between the received group with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and non-received group with relevance motivation message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a tutor’s motivational strategy (sending relevance motivational messages by e-mail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 learners in a web-based trainging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VI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7 II. 이론적 배경 = 8 A. 웹기반 훈련(WBT)과 튜터의 역할 = 8 1. 웹기반 훈련의 발달과 특성 = 8 2. 웹기반 훈련에서의 튜터의 중요성과 역할 = 12 B. 관련성 동기 전략 = 19 1. 4가지 동기 전략 = 21 2. 관련성 동기 메시지 = 27 C. 관련 선행 연구 = 31 1. 튜터의 역할에 관한 연구 = 31 2. 관련성 동기 메시지에 관한 연구 = 33 III. 연구 방법 = 36 A. 연구대상 = 36 B. 연구 도구 = 42 1. 실험도구 = 42 2. 검사도구 = 49 C. 연구 절차 = 52 D. 자료 분석 = 57 IV. 연구 결과 = 58 A.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진도율에 미치는 영향 = 58 B.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지식 습득에 미치는 영향 = 59 C.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이해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 60 D.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적용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61 V.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70 부록 = 78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02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기반 훈련에서 튜터의 관련성 동기 메시지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