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윤경-
dc.creator임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37-
dc.description.abstract자폐 아동은 환경에서 요구되는 모든 신호들을 이해하는데 언어를 통한 이해보다는 시각적 정보를 통해서 더 잘 이해할 수 있어 이들을 시각적 학습자라고 한다. 이들을 위한 교수 전략에서 문자나 사진, 그림 등의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교육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많은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 또한 자폐 아동은 활동간의 장소이동이 어렵다고 많은 연구들에서 보고하고 있는데 한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의 장소이동을 요구받았을 때 문제 행동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소이동시간에 문제 행동을 보이는 자폐 아동에게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시각적 스케줄(Visual schedules)을 사용했을 때 문제 행동의 발생률이 감소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소이동시간에 문제 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2학년 자폐 아동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설계는 3명의 대상아동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아동들이 다니는 M정서장애 학교에서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 없이 아동이 다음 활동을 위해 이동하는 쉬는 시간 5분 동안의 문제 행동 발생률을 2회 관찰하였다. 중재 회기동안에는 시각적 스케줄 공책을 개별아동에게 제공해서 스스로 자신의 공책을 보고 시각적 스케줄을 이동시키며 다음 활동을 위해 이동하는 쉬는 시간 5분 동안의 문제 행동 발생률을 2회 관찰하였다.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가 종료 된지 3주 후에 각 아동마다 4회기 동안 기초선과 똑같은 조건에서 장소이동시간의 문제 행동 발생률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시각적 스케줄 사용을 통하여 학교 내에서 장소 이동시간의 문제 행동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시각적 스케줄 사용을 통하여 감소된 학교 내에서 장소이동시간의 문제 행동 발생률이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각적 스케줄의 사용이 초등학교 자폐 아동의 학교 내에서 장소이동시간의 문제 행동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각적 스케줄은 자폐 아동의 특성에 맞게 사진과 같은 구체적인 시각적 자극을 활용하였고 다음 활동을 예측할 수 있게 제시하였기 때문에 문제 행동 발생률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자폐 아동들에게 시각적 스케줄 사용이 효과적이었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반복해서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제 행동에까지 적용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schedules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in transition times. Three students with autism for severe behavioral problem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fter participants listened to their schedules from a teacher, they attached the schedule cards on the left side of their notes according to time order. Before moving to other class, they checked their schedules. After moving, they shifted the schedule card to the right side of the note. When problem behaviors happened during the transition time, they immediately had to reconfirm their schedule notes. Using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frequency of children s problem behaviors were measured.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three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1.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reduced through intervention using visual schedules. 2.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through intervention using visual schedul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using visual schedules is effective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in transition time and generalizing tha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8 A. 자폐아동의 특성 = 8 1. 전반적 특성 = 8 2. 문제 행동 특성 = 10 3. 장소이동시간 문제 행동 = 12 B. 자폐아 교육에 있어서의 시각적 단서 활용 = 14 1. 사진이나 그림의 기능 및 절차 = 14 2. 사진이나 그림을 이용한 선행 연구 = 15 C. 시각적 스케줄 = 19 1. 시각적 스케줄의 정의 = 19 2. 시각적 스케줄 사용의 장점 = 20 3.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한 시각적 스케줄 사용 = 21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실험기간 = 26 C. 실험장소 및 실험도구 = 26 D.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27 E. 자료 수집 및 분석 = 31 F. 관찰자간 신뢰도 = 34 IV. 연구결과 = 35 A. 시각적 스케줄 사용에 따른 문제 행동 발생률의 변화 = 35 V. 논의 및 제언 = 39 A. 논의 = 39 B. 제한점 = 42 C. 제언 = 43 참고문헌 = 44 부록 = 50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26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시각적 스케줄 사용이 초등학교 자폐아동의 장소이동시간의 문제 행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