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순실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빠르게 변화하는 복잡한 현대 생활 속에서 대인관계, 학교와 직장에서의 일 수행 등은 여러 유형의 스트레스를 가져다준다. 스트레스는 암, 심장병, 고혈압 등의 신체 질환은 물론이고 정신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들은 능력 발휘 및 자기 계발을 위해 전문화된 교육 요구가 높아져 고학력화 현상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여자들은 24시간내에 가정, 직무, 학업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반응양상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12개 대학교와 경기도 소재의 2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여자 대학원생 163명이었으며, 2001년 9월 한 달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Cline 등(1992)이 개발한 표준화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와 미국 워싱톤 대학교 간호대학 스트레스 반응 관리 연구소에서 개발한 SOS(Symptom of Stress)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를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s test,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6.28(±2.14)로 중상위 수준이었다. 2) 스트레스 수준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종교, 대학원의 수업형태, 현재 논문 준비 학기로 나타났다. 천주교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F=2.774, p=.043), 야간보다 주간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t=3.721, p=.000), 논문을 준비하는 학기의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t=2.240, p=.026). 3) 대학원 생활에서 느꼈던 스트레스의 원인은 과제물, 직장과의 병행, 시험, 발표, 논문 등이었다. 4) 대상자의 총 스트레스 반응양상 평균 점수는 1.23(±.54)으로 "아주 드물게"와 "가끔" 사이로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하위척도인 우울, 불안, 정서적 불안정, 인식력 장애가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보다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자주 나타났다. 5) 스트레스 반응양상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대학원의 수업형태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반응양상을 나타냈다(F=3.220, p=.043). 그리고 기혼보다는 미혼 대상자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았고(t=2.067, p=.040), 야간보다는 주간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게 나타났다(t=2.322, p<.021). 6)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았다(r=.373, p=.000).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더 자주 나타나므로 여자 대학원생이 지각한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보다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관리가 더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자 대학원생에게 알맞은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켜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e the level of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ubj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3 female graduate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with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for a month, september, 2001. The level of stress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stress response measured by Symptom of Stress(SOS) inventor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mean, t-test,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showed a mean score of 6.28±2.14. 2) The level of stress diffeed according to religion, class forms of graduate schools and the current term for preparing a graduation thesis. Catholics showed the highest stress levels(F=2.774, p=.043), and students at day graduate schools(t=3.721, p=.000) showed higher stress levels than ones at night graduate schools. Also, students in the term for preparing their graduation theses (t=2.240, p=.026) showed higher stress levels than ones in other terms. 3) The stress they have felt during their life of graduate schools was by reports, performance of studies and works at the same time, examination, presentation and thesis. 4) The stress response of the subjects showed a mean score 1.23±.54. The subscales related to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 depression symptoms, anxiety symptoms, emotional-anger symptoms and cognitive disorientation symptoms was higher than physical stress response. 5) The stress response differed according to age, marrige and class forms of graduate schools. The subjects of twenties showed the highest stress response(F=3.220, p=.043). There was higher stress response in unmarried than married(t=2.067, p=.040). The subjects at day graduate schools showed higher stress response than those at night graduate schools (t=2.322, p=.021). 6) There wa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of stress level and that of SOS score(r=.373, p=.000).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were stress levels of female graduate students, the more appeared stress response. Since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was shown more than physical stress response, concern rather about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than about physical stress response against female graduate students s stress should be needed. Therefore we should provide more attentive care for sound mental health of female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proper techniques to control and care for female graduate students s stress should be developed, and we should help them to relax their stress symptoms and keep the optimum health for their active life by applying such techniq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