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자영-
dc.creator김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12-
dc.description.abstract고대부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한국과 중국은 현대에 와서 정치·이념상의 차이로 반세기간이나 단절된 상태로 지내왔으나 1992년에 한·중 수교가 체결되어 양국의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수교 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는데, 교과서를 검토하는 것이 그 중 하나이다. 교과서에서의 다른 나라 관련 내용은 그 나라 국민에게 있어서 외국관 형성의 바탕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외국관은 앞으로 국제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의 역사 교과서에서 한국사 서술이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왜 그렇게 서술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의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사 서술 내용의 구조와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여기에서 발견된 몇 가지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그 특성의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사의 서술 범위를 조선반도 즉 한반도로 한정시키고 있다. 이는 중국이 현재 중국의 영토 위에서 이루어진 역사는 중국사 라는 일률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 민족 모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국의 영토 위에서 존립한 역사상의 모든 국가가 중국의 역사였다는 사실을 역사 교육을 통해서 확인시키는 일이 필요했던 것이다. 둘째, 고대 부분에서는 정치·외교 관계에 대한 언급보다는 경제·문화를 위주로 서술하고 있다. 중국은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정치·외교 관계인 책봉-조공 관계 를 국내 관계로 간주하였기에 한국사 서술에 있어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동아시아의 세계 질서를 설명하지 못하고 문화면만을 서술하게 된 것이다. 셋째, 근·현대사 부분에서는 여전히 북한에 편향된 서술이 반영되었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로 국가의 체제와 이념의 유지를 위해 역사 교육에 있어서도 그 목적을 사회주의의 신념을 확고히 하는 데 두고 있다. 그러므로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에 편향적인 서술을 하고 있으며, 한국 전쟁에 대해서도 애국주의 교육의 일환으로 미국을 적대시하고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과 배경들은 중국이 현재의 관점과 입장에서 역사의 기준을 설정하여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상의 중국은 현재의 중국과 같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역사 해석은 합리적인 역사적 사고의 결과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교과서에서의 타국 관련 내용은 학생들의 타국에 대한 의식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볼 때, 이러한 서술들은 한국에 대해 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과 관점에 의해서 역사 교과서를 서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비단 중국의 역사 교과서에만 한정되는 문제는 아니다. 한국의 역사 교과서에 대한 자기 반성 또한 필요하다. 그리고 한국은 이전부터 계속해온 중국과의 학술과 교육 교류를 더욱 활발히 하여 상호 이해를 높이고, 학문적인 연구 성과에 따라 객관적으로 역사 교과서를 서술하도록 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행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관계를 객관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소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서로에 대해 바로 이해하고 더욱 우호적이고 발전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orea was on friendly terms with China from ancient. But as it has set up in modern times, the relationship has broken off for more than 50 years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s. It has entered on a new phase since 1992 when China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Korea. There are many subjects after friendly relations. Above all, it is needed to look into textbooks because stories on other countries in textbooks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ose countries. S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background of description about Korean history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The characters of description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range of Korean history was limited to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y described Korean ancient history made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the prime object except political and diplomatic ones. Third, they described Korean modern history based on North Korean s point of view. All of these have happened because the way Chinese set up historical standard. They write their history textbook on their present perspective, which cannot be said as rational way of thinking in history study. What people are worrying about is those kinds of contents might make Chinese student misunderstand Korea. Stories on other countries in textbooks affect very much the way students understand those countries. It is needed to make more effort to make history textbooks on objective and rational stand. And we should know that the problem is lying not only on the matter of Chinese history book, but also on the Korean s attitude toward their history education. Korea and China have to make effort to invigorate academic interchange, which have kept for a long time t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It is also a very important thing to make those two countries understand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relationships correctly through the effort of describing each other s history in right w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3 II. 한국사 서술의 구조 = 4 A.『세계력사』서술의 구조 = 4 B.『중국력사』서술의 구조 = 10 III. 한국사 서술의 구체적인 내용 = 18 A. 고대 부분의 서술 내용 = 18 B. 근·현대 부분의 서술 내용 = 28 IV. 한국사 서술의 특성과 배경 = 35 A. 서술의 특성 = 35 B. 서술의 배경과 그 의미 = 39 V. 결론 = 44 참고문헌 = 46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68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국의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사 서술 내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