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진-
dc.creator이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51-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the teaching method for the increasement of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KFL) has been discussed actively. The research of Korean learner s Korean usage has been fulfilled among them continuously while those research materials have become the required basic teaching aids at the teaching site of Korean. Korean learners not only understand the usage and the function of Korean grammar basically, but also prepare the ability to use it in order to have a good command of Korean correctly and fluently. More over the connective should be used essentially to connect two and more sentences logically that is suitable to the meaning function so that speaker s intention may be delivered to the listener correctly. Nevertheless Korean learners are not accustomed to use the connective that is suitable to the situation, so they used to escape to use it intentionally or used to use the unsuitable expression though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They don t know even the necessity to use it some times.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nectives of Korean learners. In the mean time, the discussion for the connectives usage only has been dealt with partially in the errors analysis and almost has not been fulfilled in earnest. And also each connective usage phase has not verified concretely. Therefore this study dealt with the phenomenon that learners avoidance to use the connective as the same importance to the connective errors, then surveyed the cause and put the emphasis on finding the teaching method suitable to it. The teaching method of usage avoidance is required to help the fluency of the connective usage and the method of error is required to train the correctness of connective usage.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connective with priority given to usage and the teacher s feedback in correcting errors .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discussion as follows: Chapter 1, the purpose of study was given and the necessity of study was proposed by pointing the lack of researches for the connective usage practically of Korean learners in Korean education. Also the previous discussions concerned with this study were separated two parts largely as the theoretical studies for foreign language usage and the studies for connective usage of Korean . The notion of usage includes the studies avoidances and errors all together. Chapter 2, searching the connective notion and classification in view of Korean education, this study pointed that the connective classification was not standardized in view of the educational grammar. Also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to teach the connectiv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ve function in aspect of the education of Korean grammar. Chapter 3, this study made the researching subject clear and clarified the researching method concretely by classifying the connective list of previous learning for the researching subject learner. The researching subjects were the final composition papers, which were written by 63 learners who finished the 3rd grade from K institute. The researching method was presented largely as the usage aspect of connective and the error analysis of connective . Chapter 4, the usage aspect and the error of the connective were analyzed and were inquired into the cause according to the researching results. The usage aspect was researched by separating the learners composition as 3 groups divided by sentence numbers, the speech areas, and the individual connective. In analyzing error, the types of errors were separated as the semantic·syntactic errors and the morphologic errors, and then each error frequency and error occurrence rate was surveyed. Chapter 5,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was able to apply to Korean education,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ing results. First of all, the basic direction of the connective teaching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teacher , textbooks , and practical lesson organization . And then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usage avoidance of connective and the errors phenomenon were proposed separately. Chapter 6, the contents of the above studies were arranged and then this study was confirmed its significance on the basis of those contents. ; 최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한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전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물들은 한국어 교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어에서 두 개 이상의 문장을 의미기능에 맞게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화자의 의도를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연결어미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상황에 맞는 연결어미의 바른 사용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연결어미 사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의식적으로 사용을 꺼리게 되거나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사용에 대한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 한다. 그런데 그간 연결어미의 사용에 관한 논의는 오류 분석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졌을 뿐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개별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소개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본 연구와 관련된 기존 논의들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외국어 사용 에 대한 이론 연구와 한국어 연결어미 사용 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 때 사용 이라는 개념은 회피 와 오류 에 대한 연구를 모두 포괄한다. II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결어미의 개념과 분류를 살핀 후 교욱문법적 관점에서의 연결어미의 분류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문법적 측면에서 연결어미의 기능과 연관지어 연결어미가 교수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이 K기관에서 3급을 마친 학습자 63명이 쓴 기말 고사 작문지임을 밝히고 조사 대상이 되는 학습자의 기학습 연결어미의 목록을 정리한 후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IV장에서 연결어미 사용 양상 과 연결어미 오류 분석 을 연구한 결과, 학습자들이 연결어미의 양적 사용에는 비교적 익숙해져 있으나, -아서> -고> -면> -지만> -니까> -는데 등의 순서로 매우 한정된 연결어미-특히 초급(1급)에서 학습한 연결어미-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중국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중국어권 학습자는 문장 수에 대한 연결어미의 사용 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졌고 오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비교적 자신있는 표현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면서 기타 연결어미의 사용에 있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V장에서는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 , 교재 와 실제 수업 구성 의 측면에서 연결어미 교수의 기본 방향을 논의하였다. 둘째, 연결어미 사용 회피 에 대한 교수 방안으로 사용 중심 의 연결어미 교육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연결어미의 유창한 사용 능력으로 이어진다. 셋째, 연결어미 사용 오류 에 대한 교수 방안으로 오류 교정에 있어서 교사 피드백 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는데 이는 연결어미의 정확한 사용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필요하다. VI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기존 논의 검토 = 3 1.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연구 = 3 2.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 = 10 II.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결어미 = 15 A. 연결어미의 개념 및 분류 = 15 1. 연결어미의 개념 = 15 2. 연결 어미의 분류 = 19 B. 연결어미 교수의 필요성 = 27 1. 한국어 교육문법과 연결어미 = 27 2. 연결어미의 기능 = 35 3. 연결어미와 한국어 능력 시험 등급 정의 = 38 III. 연구의 방법 = 41 A. 조사 대상과 연결어미 학습 내용 = 41 1. 조사 대상 = 41 2. 연결어미 학습 내용 = 43 B. 조사 방법 = 49 1. 예비 조사 = 49 2. 본 조사 = 50 C. 연구의 제한점 = 54 IV. 연구 결과 = 56 A. 연결어미 사용 양상 = 56 1. 학습자가 쓴 문장 수로 분류한 그룹별 연결어미 사용 양상 = 58 2. 언어권별 연결어미 사용 양상 = 60 3. 개별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 = 62 4. 기학습 연결어미와 실제 사용과의 상관성 = 69 B. 연결어미 오류 분석 = 73 1. 의미·통사적 오류 = 76 2. 형태적 오류 = 81 V. 효율적인 연결어미 교수 방안 = 85 A. 연결어미 교수의 기본 방향 = 85 B. 연결어미 사용 회피에 대한 교수 방안 = 95 C. 연결어미 오류 현상에 대한 교수 방안 = 99 VI. 결론 = 104 참고문헌 = 107 <부록1> 예비 조사 자료 = 112 <부록2> 본 조사 자료 : 일본어권 학습자의 작문 시험지 = 113 <부록3> 본 조사 자료 : 중국어권 학습자의 작문 시험지 = 114 <부록4> 한국어 교육의 오류 연구 = 115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04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