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진주-
dc.creator박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0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26-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increased emphasis on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With the enforcem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bsolute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ar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subject matter of reproduction(chapter 13) and biological accumulation(chapter 17). And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evaluating items that are developed based on the standards. In order to be the basis of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above all, required learning points were drawn out, and objective achievement standards and valid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7 kinds of science textbook. 12 required learning points were abstracted from chapter 13(Reproduction) and 4 from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Knowledge(K), Process skill(P) and Attitude(A), and developed standards were 26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9 in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Since the national curriculum pointed out balanced assessment of three domains of Knowledge(K), Process skill(P) and Attitude(A), assesment standards corresponded with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ir three domains. 25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9 were developed in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Based on the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22 evaluating items with concrete grading criterions were developed. 17 open-ended questions, 3 essays and 2 portpolios were developed and each of them can be used as a curricular assessment tool. The results from the study which applied 8 open-ended items to 240 10th graders in Korea are as follow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pplied items were compatible with objectives of instruction, because the items have been developed based up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items have no problem with item easiness and item discrimination. With the students response data, there was no differences in item discrimination part between two interpretations, one from the use of classical test theory and the other from that of polytmous item response theory. But, there was several different patterns in item easiness interpretations because characteristics of examinees was reflected in the results which were applied the classical test theory. ; 최근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준거 지향적인 수행 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과학 중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 대해서 필수 학습 요소,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평가 문항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과학의 7종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생식 과 생물 농축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준거 지향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추출된 필수 학습 요소는 생식 단원에서 12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4개이었으며, 개발된 성취 기준은 생식 단원에서 총 26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총 9개로 각각은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을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개 영역에서 균형있게 평가하도록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수는 생식 단원에서 총 25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9개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따라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서 개발된 평가 문항의 수는 서술형 문항이 17개, 논술형 문항이 3개, 포트폴리오가 2개로 총 22문항이었다. 각 평가 문항은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교육과정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발된 평가 문항 중, 서술형 문항 8개를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해 보았으며, 학생들의 응답을 검사 이론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두 가지 검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평가 문항의 기본적인 양호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서술형 문항들은 난이도와 변별도 면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한 지수를 보여 수행 평가로 사용하기에 비교적 양호한 문항들이었다. 개발한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들은 미리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교수 학습의 목표와 내용에도 적합하였다. 고전 검사 이론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해 분석된 문항의 변별도에는 언어적인 해석의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 난이도의 경우는 고전 검사 이론을 사용하였을 때 집단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 다분 문항 반응 이론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준거지향 평가와 규준지향 평가 = 5 B. 과학과 수행 평가 = 7 C. 성취 기준, 평가 기준, 평가 문항 = 8 D. 평가 문항의 분석을 위한 검사 이론 = 10 1. 고전 검사 이론(Classical test theory) = 10 (1) 문항 난이도 = 11 (2) 문항 변별도 = 11 (3) 타당도와 신뢰도 = 12 2. 문항 반응 이론(Item Response Theory) = 15 (1) 문항 특성 곡선 = 16 (2) 문항반응 모형 = 18 (3) 문항 모수치 추정 = 20 (4) 능력 모수치 추정 = 22 (5) 정보함수 = 24 (6) 다분 문항 반응 이론 모형(Polytomous IRT) = 25 E. 선행 연구 = 26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30 A. 필수 학습 요소 추출 = 31 B. 성취 기준 개발 = 31 C. 평가 기준 개발 = 33 D. 수행 평가 문항의 개발 = 35 E.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의 분석 = 38 1. 연구 대상 및 연구 단원 = 38 2. 연구 방법 = 38 IV. 연구 결과 및 고찰 = 42 A. 생식 , 생물 농축 중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 = 42 B. 생식 , 생물 농축 중단원의 성취 기준 = 44 1. 생식 단원의 성취 기준 = 45 2. 생물 농축 단원의 성취 기준 = 47 C. 생식 , 생물 농축 중단원의 평가 기준 = 48 1. 생식 단원의 평가 기준 = 49 2. 생물 농축 단원의 평가 기준 = 56 D. 수행 평가 문항 = 59 1. 서술형 = 60 2. 논술형 = 62 3. 포트폴리오 = 68 E. 서술형 평가 문항의 문항 분석 = 74 1. 신뢰도 = 75 2. 난이도와 변별도 = 76 (1) 고전 검사 이론에 의한 문항 분석 = 76 (2)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한 문항 분석 = 81 (3) 고전 검사 이론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따른 문항 분석의 차이의 비교 = 87 V. 결론 및 제언 = 89 참고문헌 = 92 <부록 1> 생식 단원의 수행 평가 문항 = 99 <부록 2> 생물 농축 단원의 수행 평가 문항 = 119 <부록 3> 생식 단원의 검사 도구 = 148 <부록 4> 생물 농축 단원의 검사 도구 = 150 <부록 5> 검사 도구의 채점기준 = 152 <부록 6> PARSCALE 명령어 파일 = 154 <부록 7> 피험자 능력 모수의 추정치(SCO 파일) = 155 ABSTRACT = 1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574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과학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문항의 개발과 적용 : <생식>과 <생물 농축> 단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