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reator김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0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25-
dc.description.abstract과도한 학문 중심의 과학 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로 등장한 STS 교육은 개혁 교육 과정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어왔다. 그러나 STS 교육에 대한 이론적 정비가 미흡한 나머지 현장의 STS 교육에 대한 이해는 원래 그것이 의도했던 바와는 상관없이 하나의 유행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교사들은 STS 교육을 과학과 사회와의 관련성을 알게 하는 것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 방식에 있어서도 기존의 교과서에 STS와 관련된 소재들을 삽입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STS 교육의 의미를 축소시켜 그것이 우리 교육 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많은 개혁적 가능성들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STS 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미흡한 상황에서 그 적용에만 주의를 기울여온 탓도 있다. 따라서 STS 교육에 대한 이론적 명료화 작업이 절실히 요구된다. STS 교육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STS 교육의 인식론적 기반이 되는 구성주의를 어떠한 시각에서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구성주의는 크게 사회적 구성주의와 개인적 구성주의로 나뉘어 논의되어 왔다. STS 교육이 그 이론적 기반을 사회적 구성주의에 두고 있기는 하지만, 지식이 학생에게 내면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교육학적인 차원에서는 개인적 구성주의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STS 교육이 STS와 구별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이 점이다. STS 교육은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련성만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생 개인에게 내면화되는 과정까지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적 관련성과 개인적 관련성 모두를 논의에 포함시켜야 하며, 이것은 단순한 혼합이 아니라 통합된 구조 속에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된 이해의 단초는 Vygotsky와 Dewey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Vygotsky는 지식의 내면화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강조한 대표적인 사회적 구성주의자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그가 내면화 과정의 사회적 영향만을 강조한 것은 아니었다. 그에게 사회적 영향은 지식의 내면화 도구인 기호와 상징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내면화된 지식은 내적인 분화 과정을 통해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이처럼 Vygotsky는 인식에 있어서 개인과 사회적 측면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한편 Dewey는 개인을 포함한 주변의 환경으로 Environment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촉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개인과 사회의 연속체로 설명된다. 이러한 교육학적 논의들과 비슷하게 STS 교육의 대표적인 학자인 Yager도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들이 지역적 맥락 안에서 개인적 적절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과학 교육에서도 상황 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 강조하는 상황 의 개념은 학습 과제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STS 교육에서 말하는 지역적 맥락 은 그보다 더 폭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역적 맥락 은 개인의 삶과 그 개인이 속한 지역 공동체의 삶의 맥락으로, 교육 과정의 구성 단계에서 학생과 과학 지식에 공동의 맥락을 형성한다. 지역적 맥락 에 대한 고려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지식이 학생에게 의미 있게 내면화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이러한 지역적 맥락 은 지리적, 문화적, 역사적, 사회·경제적 요소 등에 의해 그 내용이 결정되며, 그것을 공유하고 있는 구성원들 사이의 친밀성에 의해 그 규모와 결속 정도가 좌우된다. 따라서 지역적 맥락 은 본질적으로 사안에 따라 유동적인 범위와 다층적인 구조로 나타난다. 또한 지역적 맥락 은 지식이 가지는 유용성의 의미를 도구적 실용성 에서 질적으로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확장시킨다. 그리고 개인과 사회를 연결하는 보편과 특수의 연쇄고리라는 정의적 특성을 갖는다. 지역적 맥락 은 Yager가 제안한 모범적인 STS 교육 프로그램의 8가지 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들 요소는 모범적인 STS 교육을 위한 조건이며, STS 교육을 통합된 흐름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된 이해에 있어서 지역적 맥락 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TS 교육에서 지역적 맥락 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은 지금까지와 같이 STS 교육을 단순한 소재 도입의 차원으로 한정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지역적 맥락 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작업만으로는 그것이 어떻게 교육 현장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가를 명확하게 밝혀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푸른꿈고등학교와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의 사례를 통해 지역적 맥락 이 교육 과정 구성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들 학교들은 대안적인 교육을 추구하고 있는 학교들로 비교적 자유롭게 교육 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이 각자의 상황에 맞게 지역의 물적·인적 자원들을 교육에 활용하는 모습은 지역적 맥락 이 교육 과정에서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모범적인 사례가 된다. 비록 이들 학교가 STS 교육을 명시적으로 표방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으나, 지역에 대한 관심을 교육 과정에 반영해야 한다는 학교의 이념이 꾸준히 실천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의 결과는 STS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에 실질적으로 근접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STS 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과 더불어 이러한 사례들이 더 많이 발굴되어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의미 있게 내면화하는데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과학 교육, STS 교육, 개혁 교육 과정, 구성주의, 개인과 사회, 지식의 내면화, Yager의 STS 교육의 8가지 요소, 지역적 맥락, 대안 교육, 푸른꿈고등학교,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 STS education, raising questions to the extremely knowledge-centered science education, had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reform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 theoretical research for STS education has been so unsatisfactory that STS education is nowadays understood as nothing more than a fashion, regardless of its original purpose. Many Korean teachers are believing STS education is just "to make student know the connection between science and society"; and they are teaching their class just by inserting STS articles into the existing non-STS textbooks. Their misunderstanding reduces the meaning of STS education itself, and restrict the opportunity for STS to serve as a reforming agent of education in Korea. Such consequence is partly due to the one-sided attention to STS education: while few has understood its theoretical dimension, the application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mostly. Therefore,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STS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now.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receive constructivism, which offers the epistemological basis for STS education.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wo kinds of constructivism: the social one and the individual one. Although STS education has its theoretical root in the social constructivism, in pedagogical dimension the individual constructivism also should be considered to explain how a student internalizes his/her knowledge. This is the very difference between STS education and STS. STS education deals with not only the connection between science and society, but also how a student internalizes his/her knowledge. So it should include individual connection as well as social one. And the merge of these two should give birth to an integrated structure, not a mere mixture. Two prominent philosophers give us some ideas to such an integration: Lev Vygotsky and John Dewey. Although Vygotsky has been said to be the representative of social constructivist, he didn t exclusively emphasize the influence of the society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He emphasized the influence of the society jus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ign and symbol, the tools for the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For him, the internalized knowledge could acquire individual meaning through an internal differentiation. In fact, Vygotsky emphasized the harmony of the individual dimension and the social dimension. Dewey proposed the term environment as a circumstance including the individual. This works as a catalyst which enables learning, and can be explained as a continuum of individual and society. Robert Yager, a well-known researcher on STS education, suggests that social problems related to science can gain personal relevance within local context . Some Korean researchers also have focused upon the importance of context . But they tend to restrict the meaning of context to the context of the subject to learn , while local context of STS education has wider meaning. The term local context means both context of individual s life and that of local community s life. And at the stage of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it gives the context common both to a student and science knowledge. Only when local context is considered in each class properly, the students can meaningfully internalize socially constructed knowledge. The contents of local context are determined by geographical, cultural, historical and socio-economical elements. And its scale and coherence are determined by familiarity among the members sharing it. So it essentially has flexible scope and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current issue. Local context also extends the meaning of the utility of knowledge; from instrumental practicality to the utility which can contribute to enrich his/her life. By definition, it is a link between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which connects individuals with society. In defining the features of the NSTA exemplary programs , Yager suggests eight elements of the successful STS programs; local context is suggested as one of them. They are pre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STS programs, and present a theoretical paradigm to understand STS education as an integrated structure. Local context plays such a vital role i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STS education, that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local context leads to the incomplete understanding of STS education, as before. By theoretical works alone, however, it would be difficult to explain how local context can be substantialized in each class. So along the theoretical clarification, a case study is introduced in this thesis. Two rural high schools, the "Purunkum high school" and the "Poolmoo highschool of agricultural technology" were taken for the case study. Both are in pursui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and have a little freedom to manage their own curriculum. So observing how these schools make use of the resources of the local community will be a good example to show how local context could be substantialized via curriculum. In these two schools, the idea of the schools, that the concern of local community should be reflected on the curriculum, has been put into practice well. And it can be said their goal is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STS education, though neither of those schools aims at STS education explicitly. To make students internalize their knowledge meaningfully, as well as the theoretical debate on STS education, more and further studies on such cases are needed. keyword: science education, STS education, reformist curriculum, constructivism, individual and society,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Yager s eight elements of STS program, local context, alternative education, Purunkum highschool, Poolmoo highschool of agricultural techn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 배경과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절차 = 3 II. 지역적 맥락 의 개념 명료화를 위한 문헌 연구 = 5 A. STS 교육의 이해 = 5 1. STS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의 필요성 = 7 2. STS와 STS 교육의 정의 = 9 가. STS의 정의 = 9 나. STS 교육에 대한 정의 = 11 3. 교육과정을 위한 맥락으로서 STS 교육의 평가 = 14 가.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관점 = 14 나. 일상생활에 대한 과학으로서 STS 교육 = 17 다. STS 교재에 대한 평가 = 20 라. STS 교육의 한계와 과제 = 23 B. 지역적 맥락 의 개념 명료화 = 26 1. 구성주의에서 개인-사회 에 관한 논쟁 = 26 가. 구성주의 이해와 오해 = 27 나. Vygotsky의 Piaget 비판 = 34 2. 개인과 사회를 연결하는 기제로서 지역적 맥락 = 39 가. Vygotsky의 언어적 사고 = 39 나. Dewey의 Environment 와 반성적 사고 = 47 3. STS 교육에서 지역적 맥락 의 의미와 중요성 = 49 가. Yager의 논의에서 지역적 맥락 의 의미 = 49 나. 과학교육에서 지역적 맥락 의 의미 = 56 다. STS 교육 실천에서 지역적 맥락 의 중요성 = 62 4.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지역적 맥락 의 의미 = 65 5. 지역적 맥락 의 요소와 특징적 성격 = 69 가. 지역적 맥락 의 내용을 결정하는 요소 = 69 나. 지역적 맥락 의 특징적 성격 = 75 C. STS 교육의 8가지 요소에 대한 맥락적 이해 = 78 1. STS 교육의 8가지 특징적 요소 = 78 2. 지역적 맥락 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8요소의 통합 = 79 III. 지역적 맥락 을 반영한 교육 사례 연구 = 85 A. 연구 대상과 방법 = 85 1. 연구 대상과 선정 이유 = 85 가. 푸른꿈고등학교 = 85 나.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 87 2. 연구 대상 섭외 과정 = 89 3. 연구 방법과 자료 수집 = 91 B. 푸른꿈고등학교의 생태교육 사례 = 94 1. 학교 소개 및 교육 이념 = 94 가. 학교 교육 이념 = 94 나. 주요 교육 과정과 교직원 및 학생 현황 = 97 2. 지역적 맥락 의 교육적 효과 = 100 가. 학교와 지역 사회의 관계 = 100 나. 지역적 맥락 의 교육적 활용과 그 의미 = 103 다. 지역적 맥락 을 반영한 교육의 의미 = 111 3. 기초생태학 수업에 대한 개괄 = 114 가. 2002년 무주 샛강(구량천)살리기 의 목적과 취지 = 114 나. 수업 일정 및 계획 = 117 다. 수업 방법 = 118 라. 교육 과정 구성 원리 = 121 마. 평가 방법 = 124 C.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의 창업 논문 사례 = 130 1. 학교 소개 및 교육 이념 = 130 가. 학교 교육 이념 = 130 나. 교육과정 운영과 교직원 및 학생 현황 = 132 2.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의 지역적 맥락 에 대한 인식 = 134 가. 지역적 맥락 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신념들 = 134 나. 학교의 지역 사회 관련 사업 = 139 다. 지역적 맥락 의 교육적 활용의 예 = 143 3. 학생들의 지적 성과물로서 창업 논문 분석 = 147 가. 창업 논문에 나타난 지역적 맥락 = 147 나. 내면화한 과학 지식의 의미 = 153 다. 지역적 맥락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163 IV. 결론 및 제언 = 167 A. 결론 = 167 B. 제언 = 170 참고 문헌 = 172 [부록 1] 푸른꿈 고등학교 2002 무주 샛강(구량천) 살리기 프로젝트 세부 계획서 = 178 [부록 2]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의 창업 논문 목차 (무순) = 187 ABSTRACT = 2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36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역적 맥락'의 개념 명료화를 통한 STS 교육의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