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교육과정사회학적 분석

Title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교육과정사회학적 분석
Authors
유영미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ociology of education focuses in social unequality in relation to education.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educational unequality is needed in order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s main topic of sociology of education and social unequality. The origin of educational unequality, likewise, is found in everywhere, first of all it is found in the difference of study achievement. Study achievement effects as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socioeconomic status of future and quality of life. Because in achievement society, one s socioeconomic status is determined by his achievement level and his achievement level is generally distributed in foundation on study achievement in school. Like this, on the one hand study achievement affects on socioeconomic status of an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it causes educational unequality. The level of study achievement roughly classifies the difference of social stratum, region and gender. This thesis concentrates in the difference of gender in study achievement. We can notice the difference of women s study achievement in the field of students self-tendency, home cultural background, the level of schools quality,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e main issue of curriculum, however, begins with the viewpoint of sociological curriculum. Lots of research about the difference of gender in study achievement bring that women evade science and unactively achieve it. That women 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is going to be important issues. The reason is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important and jobs related to science are reasonabl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originally, it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of work choice. This thesis assumes that science textbooks are the cause of women 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textbooks which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men. That is why women have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compared with men.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in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and then searches gender unequality. On the basis of these assumptions, the research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make concrete as follows ; First,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compiling science textbooks? Second, how does gender preference appear in selecting textbook contents? Third,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presenting role models? Forth,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curriculum system? Fifth, how does socialization of gender role appear in transmitting gender role? Sixth,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transmitting science image? To analyze these issues, with 8 volumes of elementary school s science textbooks, 6 volumes of middle school s science textbooks and 18 volumes of high school s science textbooks, I analyzed contents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First, the process of textbook compilation appeared in gender inclination. Textbook compilers gender distribution was masculinity and at the compilation moment, men who are from all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mpiled textbook with inclination. Second, textbook contents were selected out masculinity by gender preference. Textbook contents are field and subject of science, those are adequate to men s concern and interest. Third, role models showed masculinity with male scientists introduced in textbooks and the different role of man and woman in the picture. Forth, in curriculum system, according to the example of experiment observation, an phraseology of gender meant different meaning by every sentence. Fifth, in transmitting gender role, according to scientific activities in the picture and illustration, scientific activities were differently shown between man and woman and focused in masculinity in role allotment. Sixth, scientific knowledge applied industry and military affairs, in relation to job men were described as producers and women acted as housewives. That means job relation to science involves men s area. These findings of textbooks analysis show that science textbooks can be the cause of women 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and women 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subsequently affects the level of social achievement. Textbooks affects student s attitude and study achievement and then they continue into adulthood. From this viewpoint, textbooks must avoid a prejudice or socialization of fixed gender role, and job limit relation to gender. The precondition to realize achievement society is to make competitive atmosphere under the same condition for all of the people. Educational equality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opinion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quality of process and results. In modern society, the quantity of educational equality realized in somewhat, man and woman have same education externally. In spite of same education, if women are relatively at a disadvantage, it is difficult to realize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In 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thesis show that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start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refore the cause of gender unequality in education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ways but perfect gender fairness is accomplished from textbooks as basic material in school education. ;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관련한 사회 불평등 문제를 핵심적 주제로 삼고 있다. 교육사회학의 핵심적 주제인 교육과 사회 불평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육 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교육사회학에서 교육 불평등을 초래하게 하는 원인은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일차적으로 학업성취의 격차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학업성취는 미래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업적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개인의 성취수준에 의해 결정되고, 개인의 성취수준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에 근거하여 개인에게 사회경제적 지위가 분배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학업성취는 한편으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 불평등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학업성취의 격차는 계층별 격차, 지역별 격차, 성별 격차로 대별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심을 갖는다. 여학생이 학업성취에서 격차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은 학생의 속성, 가정의 문화적 환경, 학교의 질적 수준, 교육내용,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등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여학생의 학업성취 격차의 원인을 교육과정(敎育課程)의 내용에 있다는 교육과정사회학적인 시각에서 출발한다.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한 많은 연구 결과는 여학생들이 과학을 기피하고 성취가 저조하다는 사실을 문제로 인식한다. 과학에서 여학생들의 성취가 저조한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과학적 지식이 중시되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시장성이 높은 현대의 산업기술사회에서 과학은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계열과 코스를 선택하는 기본적 요건이 되며, 궁극적으로 직업선택의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학에서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는 사회적 성취의 성별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여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여학생이 과학에서 저조한 학업성취의 원인이 과학교과서에 있음을 가정한다. 즉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되었기 때문에 여학생은 과학교과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이는 결국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과학교과에서 학업성취의 격차가 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정을 기초로 하여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연구문제를 다음의 여섯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교과서의 편찬과정에 있어서 성별편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교육내용의 조직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역할 모델의 제시에 있어서 성별편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다섯째, 성역할의 전달에 있어서 성역할 사회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여섯째, 과학의 이미지 전달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8권, 중학교 과학교과서 6권,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18권을 연구자료로 하여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의 편찬과정은 성별로 편중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교과서 편찬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편중적이었고 교과서 편찬자의 편찬당시 소속은 주로 대학교와 초중등학교로서 모든 기관에서 남성이 편중적으로 교과서 편찬에 참여하였다.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은 성별선호성에 비추어 남성중심적으로 선정되었다. 교육내용은 과학의 영역과 주제로서 남성의 관심과 흥미에 적합하였다. 셋째, 교육내용의 조직은 실험관찰의 사례와 성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사례는 남성의 경험에 기초하고 성 관련 용어는 문장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 넷째, 역할모델의 제시는 과학교과서에 소개된 과학자와 사진에 제시된 성인 남녀의 모습에서 성별편중성을 나타냈다. 다섯째, 성역할 사회화는 사진·삽화에 제시된 과학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과학적 활동의 특성은 남녀 학생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역할 분담에 있어서도 과학적 활동은 남성중심적으로 주도되었다. 여섯째, 과학의 이미지는 과학지식의 기술적용면에서 살펴보면 과학지식은 대부분 산업과 군사 등에 적용되었고, 과학 관련 직업면에서는 남성은 생산과 관련된 활동 장면을 묘사하고 여성은 가정과 관련된 활동을 보여줌으로써 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남성의 영역임을 내포하였다. 이상의 교과서 분석 결과는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된 것이 여학생의 과학과목의 학업성취 격차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학업성취의 격차는 사회적 성취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과서는 학생들의 태도 형성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성인이 되어서도 그 태도와 영향이 지속한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본다면 교과서는 어떤 형태의 편견이나 고정적인 성역할 사회화, 성에 따른 직업에 있어서의 한계 등과 같은 표현을 피해야 한다. 업적주의 사회가 실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다. 교육의 평등은 교육기회의 평등에서부터 교육과정(敎育過程)의 평등과 교육결과의 평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남녀간의 교육의 평등은 양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 실현되었으며, 외형적으로 볼 때도 여학생은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학업성취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인다면 진정한 교육의 평등을 실현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교육의 평등은 교육기회의 평등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교육에서의 성별 불평등에 대한 요인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질 수 있지만, 교육기회의 평등은 학교교육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에서부터 양성평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