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9 Download: 0

출산여성의 태교 실천 정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출산여성의 태교 실천 정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안기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태교는 태중교육의 준말로서 뱃속의 아기에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며 아기에게 끊임없는 애정과 사랑을 보여주는 인간의 올바른 바탕을 마련하기 위한 태아교육이다. 태교는 산모와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변의 모든 환경을 포함하며 10개월 간의 임신기간 동안 산모가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며 행동하는 일체의 사고와 행동이 태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이는 출생후의 성장과 성격, 용모, 인격형성 등에까지 영향을 준다. 이러한 태교가 과거에는 과학적 타당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하여 중요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태교에 관한 과학적 타당성이 밝혀지고 경제수준의 향상과 가족계획에 따른 소자녀 관으로 적은 수의 자녀를 어떻게 하면 잘 기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짐으로써 태교에 대한 관심과 실천률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출산여성들의 임신 중 실천했던 태교실천 정도를 조사하고 임부의 태교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며, 태교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태교실천을 도우며 임부와 태아의 건강 유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도구는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대상자는 서울시내 에 거주하는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인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Pearson correlation과 t-test, ANOVA로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태교실천 정도는 어떠한 형태로든 태교를 한 사람 은 83%로 총 평균점수 3.61점으로 기대했던 것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가장 많이 실시하는 태교실천 영역은 인성발달 영역으로 평균 평 점 3.91점이었으며, 신체 건강발달(3.85), 교감발달(3.70), 심성발달(3.50) 및 지성발달(3.14)의 순으로 실천하였다. 가장 많이 실시하는 태교는 인성발 달 영역 중 좋은 생각을 하려고 하였다 (4.39)로 주로 소극적인 방법으로 태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임부의 결혼생활은 만족하는 경우 (F=4.257 p=.000), 산전관리를 규칙적 으로 받았을 경우(F=7.333 p=.001), 남편과 함께 임신을 계획했을 경우 (F=3.585 p=.015), 태교에 관한 정보를 본인이 매체를 통하여 얻은 경우 (F=7.002 p=.000), 남편과 함께 태교를 실천한 경우(F=5.076 p=.002), 임 신 전 부터 태교를 시작한 경우(F=17.909 p=.000), 정서적 안정에 태교실 천 목적을 둔 경우(F=3.973 p=.020) 태교실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3. 태교실천 관련요인과 태교실천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배우자지 지, 태교인식, 결혼 생활 만족도, 산전관리, 월 평균 수입과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 태교 실천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요인은 배우자 지지(r=.345 p=.000), 태교인식(r=.437 p=.000), 결혼생활만족도( r=.297 p=.000), 산전관리(r=.242 p=.001) 이었으며 월 평균 수입 (r=-.034 p=.636)과 태교실천 정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 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보고 출산을 경험한 여성은 배우자지지 가 높을수록, 태교인식이 높을수록, 결혼 생활에 만족할수록, 산전관리를 규칙적으로 잘 받을수록 태교실천 정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대상자와 같이 사회, 경제, 교육수준이 높은 중산층 이상의 출산 여성들의 태교실천정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간호사는 산전관리를 통해 태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간호계획을 세워 태교에 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임부가 태교를 잘 실천하도록 도우며 남편 및 가족의 태교 등 가족 중심적인 태교를 통해 임부와 태아의 건강을 유지, 증진해야 할 것이다.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aekyo practised by mothers during their pregnancy to identify some variables that influence pregnant women s prenatal practices and to help those practices and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both the expectant mother s and the fetus health.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women in childbed in Seoul, to whom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factor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the case of the subject s background and the degree of practising taekyo, and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fecting taekyo and pregnant women s practice of it. The difference in taekyo from the subject s background was tested with t-test or ANOVA, and variables caus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ested after the fact with DMR test.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subjects practising taekyo accounted for 83 percent of the whole and the mean marked 3.61 points in total, thus at somewhat higher level than was expected. 2. Variables that influenced pregnant women s practising taekyo in general were 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prenatal health care, pregnancy plan, prenatal information provider, practiser of taekyo, and the starting point and purpose of taekyo consequently speaking, variables that exert a great influence upon pregnant women s practising taekyo are their knowledge of it, prenatal health care and their spouses support. 3. The degree of practising taekyo was higher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pouse s support,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pregnant woman s knowledge of prenatal education and the more regularly the expectant mother received prenatal health care. Therefore, nursing plans should be framed on the basis of evaluations of pregnant women s knowledge of prenatal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and their spouses support obtained through prenatal health care to provide them proper prenatal programs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m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ir knowledge of taekyo and their spouses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