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불안, 수학태도, 시험불안,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itle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불안, 수학태도, 시험불안,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임선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수학의 추상성, 형식에 치우친 연습문제들로 가득 찬 수학교과서, 암기에 의존한 수업 전개, 기초기능의 결여와 학습실패의 누적 등에서 학생들에게 수학불안이 많이 일어난다. 문제풀이 과정에 있어서도 개념 부족으로 인하여 더 이상 문제해결을 진전하기 어려울 때 수학불안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문제가 문장제일 경우에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해서 손도 못 대는 대다수의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심한 공포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불안은 다른 어떤 학년의 학생보다 수학불안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문장제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분할노트(divided page)를 연습시켰다. 또한 형성평가를 치르고 나서 정답과 문제풀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정보를 알려주는 elaborative feedback으로 수학불안을 치유함으로써 수학태도, 시험불안, 수학성취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둘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의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셋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의 동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넷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시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다섯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이 실험은 안양시 동안구에 위치한 남녀공학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 중 본 연구자가 교수-학습을 맡고 있는 160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수학태도, 시험불안과 학업성취도를 사전 조사하였다. 이 중 같은 문항에만 답변한 학생이나 한 문항이라도 빠뜨린 학생 18명을 제외한 142명을 동질적인 두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 실험집단 72명, 통제집단 70명을 대상으로 약 8주간 실시한 것이다. 검사도구로는 Fennema와 Sherman(1976)이 제작한 수학불안 검사지와 수학태도 검사지, 시험불안은 최진승(1988)이 개발한 시험불안 척도 를 이금초(1994)가 수학교과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학시험의 불안검사 내용으로 문장의 일부분을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학학업성취도는 4명의 수학교사가 공동제작하였다. 사전검사의 평균을 t검증한 결과 두 집단간에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문항이 문장제인 경우 실험집단은 분할노트 기법을 연습시켰으며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문제풀이를 하도록 하였다. 또한 형성평가를 치르고 나서 문항 반응에 따른 실험집단은 elaborative feedback 처치로 통제집단은 non feedback 처치로 6주간에 걸쳐서 총 15차시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후 수학불안, 수학태도, 시험불안, 수학 학업성취도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불안의 사후검사 결과 P<.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태도의 자신감에서 사후검사 결과 P<.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태도의 동기성에서 사후검사 결과 P<.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시험불안의 사후검사 결과 P<.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elaborative feedback과 분할노트 기법이 수학학업성취도의 사후검사 결과 P<.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수학불안을 처치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되겠다. 둘째,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수학교사에게 느끼는 수학불안에 대한 연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학생들의 수학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방법이 모색되어야 되겠다. 셋째, 각 개인에게 수학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적당한 수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겠다. 넷째, 수학교육 측면에서 교사 양성기관이나 교사 연수기관 교육과정에 수학심리학이 개설되어 수학불안의 대한 심도 있는 연구에 힘쓰도록 해야 되겠다. ; Many students feel anxious for mathematics because of abstractiveness of math, textbooks full of exercises biased for mat, development of lesson dependent on memorization and lack of basic function and accumulation of failure. Also they feel anxious for math when it is difficult for them to solve the problem because of lack of general ideas and if the problem is made up of sentences, the students feel anxious seriously and don t try to solve it because they don 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roblem. Especially, math anxiety level of the 3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preparing college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students. Therefore, this research is about the method studying influence toward math attitude, test anxiety, effect of math achievement. Thus, this research is made by having the 3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practice divided page as means of reducing the anxiety level of tests consist of sentences. Also after doing formation test, elaborative feedback is given that gives detailed explanation for answers and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se are research questions 1. Is it possible that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can reduce mathematics anxiety? 2. Is it possible that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can improve confidence for mathematics? 3. Is it possible that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can improve motive for mathematics? 4. Is it possible that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can reduce test anxiety? 5. Is it possible that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can improv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is experiment is carried out for about 8 weeks. The targets is 160 students, 72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and 70 students control group. The groups consists of the 3rd grade students of 4 classes in a coedu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Dongan-Gu, Anyang city. The instruments used are mathematics anxiety test paper and mathematics attitude test paper made by Fennema and Sherman(1976). Test anxiety is measured by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oi, jin-sung(1988) and modified by Yi, kum-cho(1994) to consider peculiarity of math subject. Measurement of math achievement was made by 4 math teach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level of p>.05 as the result of inspection of the pre-test mean. When the problem is composed of sentences experimental group is trained by divided page and control group is asked to solve the problem in the traditional way. Total 15 lessons i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using feedback treatment and to control group using non feedback treatment for six weeks. To see the effect of experimental treatment after experiment, post-test was carried out about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attitude, test anxiety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level. All staistic process and analyses i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These are results of this research. 1.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in meaningful level of p<.05 of post-test results about math-anxiety. 2.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in meaningful level of p<.05 of post-test results about confidence for mathematics attitude. 3.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in meaningful level of p<.05 of post-test results about motive for math attitude. 4.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in meaningful level of p<.05 of post-test results about test anxiety. 5.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aborative feedback and divided page in meaningful level of p<.05 of post-test results about math achievement These are suggesting ideas followed by research results. 1. Research about treatment of math anxiety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the process of math learning & teaching. 2. After studying math anxiety of math teachers definitely,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for treatment of student s math anxiety should be find out. 3. Appropriate math program for treatment of math anxiety should be developed. 4. Profound research about math anxiety should be made with math psychology being built into the curriculum of the institute of raising teachers and re-educating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