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일여-
dc.creator한일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역학습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중학교 지리교육 내용에서 지역학습에 가장 적합한 1학년 지역과 사회 탐구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수업이 진행되는 교수-학습과정을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효용성을 알고, 실제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지역학습의 의의를 알아보았고, 지역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과정 재구성의 기초가 될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주의와 발문전략을 고찰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실태와 수업 전의 지역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인천의 지역학습 적용을 위해 중1 사회 1단원의 교수-학습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넷째, 인천 지역학습을 위해 재구성된 교수-학습과정을 인천광역시 남구 소재의 N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다섯째, 수업을 한 후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학습을 실천하는 수업 과정에 관심을 두며, 실제 수업에 있어서의 학생들의 반응과 어려움 등을 기술함으로써 현장에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질적 연구방법을 부분적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역학습 후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학습 수업 후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으며, 사회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가 높아졌다. 이는 지역학습이 사회 수업과 이해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음을 보여준다. 둘째, 인천 지역학습의 인지 영역의 내용 중 문화재에 가장 큰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 이전과 비교하여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는 기후그래프를 직접 그려보고 자연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져 예전에 잘 몰랐던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셋째, 인천 지역학습의 정의적인 영역에서 인천에 관한 관심과 자긍심이 더 높아졌고, 인천의 문제해결에 대한 참여도와 인천의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학습이 향토애를 함양하는데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수업 후 협동학습에서 책임감이 더 강해졌다고 나타났다. 그밖에 지도를 잘 읽게 되고, 표나 그래프를 잘 이해하게 되었다고 인지하게 되었으며, 조사방법을 습득하고, 보고서를 잘 쓰게 되었다고 나타났다. 지역학습을 통해 협동 능력, 지도 활용 능력, 조사 방법 습득, 보고서 작성 방법과 같은 기능적인 영역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업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내용보다 조별 협동이 좋았다는 점과 일부 조별 활동에서의 어려움이었다. 조별 활동에 대한 과정을 수행평가를 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도 하였으나 보다 효과적으로 조별 학습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사회 1단원의 학습내용을 재구성함에 있어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포함하고 내용 추가를 통하여 재구성하였으므로 소극적인 교육과정의 지역화라 볼 수 있다. 둘째, 내용 구성면에서 향토지역을 인천지역으로 하여 개략적인 사항을 다루었다. 셋째, 연구를 위해 2단원의 일부를 먼저 수업하였고, 일반적으로 참고되는 교사용 지도서의 연간 지도 계획상으로 8차시(시간) 정도 배분된 1단원 학습에 12차시를 할애하게 되었다. 넷째, 조를 편성할 때 성적을 고려하여 임의로 조원을 구성하였다. 다섯째, 설문지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정도를 통해 지역학습의 각 영역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인천 지역학습을 구성하여 인천에 있는 중학교 한 곳에서만 적용한 것이므로 모든 지역에서 같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중학교 1학년의 「1. 지역과 사회 탐구」단원을 인천 지역학습으로 재구성하여 실천함으로써 지역학습의 인지적인 영역, 기능적 영역,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의 긍정적인 유용성을 확인한 하나의 노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1단원에 대한 수업이 12차시 동안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구체적인 활동 및 여러 가지 문제점과 유의점을 확인하였기에 다양하게 변형되어 학교의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ow to restructu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Locality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the restructured Locality Educ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y the survey of students background information, the majority of students parents are not originally from the Incheon City, so their knowledge of Incheon is obtained by second-hand resources. 2) According to the survey of students opinion about Social Studies, they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and engage in the class when teachers presented creative and constructive lessons. 3) After the Locality Education was conducted on a class, 89% of the students reported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Social Studies class. They felt that the subject was easier to understand ever before. 4) Before and after the class, students have remained interested in cultural properties. However, students newly gained interest in the physical geography on the Incheon City. 5)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attitude so changed towards the Incheon City, that they feel more proud and concerned for the City. From the study,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need and value to contribute to Incheon. So, this shows that the Locality Education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perspective on their province. 6) The survey indicates that students thinking of their responsibility became stronger in group settings. They said that they improved in their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maps, tables, and graphs. Also, they stated that they gained new techniques of collecting and managing the relevant data, and became better at writing reports. This shows us that Locality Education helps improve performance skills (Working in cooperative groups, applying new research methods, and writing reports effectively). 7) During Locality Education, almost all the students paid more attention to working in groups rather than to the contents of the lesson. A few groups told me that working in groups is difficult. So, I think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earning activities in gro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문제 제기 및 연구 방법 = 3 II. 지역학습과 학습내용 재구성의 이론적인 기초 = 5 A. 지역학습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 5 1. 지역학습의 의미 = 5 2. 지역학습의 전개 과정 = 7 3. 지역학습의 교육적 의의 = 10 B. 학습내용 조직상의 방법론적 기초 = 12 1. 구성주의 = 12 2. 발문전략 = 17 III. 지역학습으로 재구성한 수업의 실제 = 19 A. 학생 실태 조사 = 19 B. 단원 분석 = 28 1. 단원의 의의 = 28 2. 단원의 내용 분석 = 30 C. 수업의 설계 = 36 D. 수업진행상의 특징과 문제점 = 38 IV. 수업 후의 지역 인식 변화 분석 = 41 A. 수업 후 설문 조사 = 41 B. 지역학습의 유용성 논의 = 54 V.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4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46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역학습의 설계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사회 '지역과 사회 탐구' 단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