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역사신문 제작을 통한 역사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역사신문 제작을 통한 역사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윤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교육은 전통적인 교육제도의 운용, 교육내용은 물론 특히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건전한 인성 발달을 도모하고 학생의 개성 신장과 창의적 성장을 극대화하며, 학생의 능력 수준에 맞는 교수-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개편의 방향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21세기에 역사교육 또한 그 지향하는 바의 목표 달성을 위한 전반적인 교수-학습 방법론의 성찰이 필요하다.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의 과정을 통해 자료 처리 능력을 기르고 역사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하여야 한다. 과거와 같이 교사나 교과서에 의해 잘 정리, 전달되어진 사실들을 피동적으로 전달받는 학습자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따라 학습자 스스로가 역사학의 연구 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 비판 정리, 종합하여 일반화에 이르게 되는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서 역사신문 제작학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역사신문 제작학습은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수업모형이지만, 현재의 교육현실에서는 교과진도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역사신문제작 학습을 통한 추체험 역사학습을 통하여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수업모형을 설계하여, 이를 실제 역사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결과물의 분석을 통하여 그 효용성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S여상 2001학년도 1학년 1-6반 정보처리과 210명과 2002학년도 3학년 4~8반 정보처리과 2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역사신문 제작학습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 의식에 관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역사신문 제작을 위한 안내문을 배부하고 각 시대의 분야별 분류 연표를 제시한 후 약 5주간에 걸쳐 모둠별로 역사신문을 제작하게 한 후 신문제작 보고서와 각 모둠이 제작한 신문을 발표하게 하였다. 끝으로 역사신문 제작수업을 마치고 난 후 학생들의 호응도와 교사들의 평판도에 관한 2차 설문 조사 실시와 함께 각 모둠이 만든 역사신문의 내용과 보고서 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역사신문 제작학습은 기사 작성을 위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 기사의 작성 그리고 편집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과제의 선정에서부터 해결에 이르게 하는 탐구기능을 향상시켰고, 역사적 사실을 시대적인 상황과 역사의 흐름 속에서 논리적,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역사신문 제작학습은 신문제작의 전 과정이 포함됨으로 수행평가로서도 적당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역사신문 제작학습을 통하여 역사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이고 성취동기를 유발함으로써 학생들이 의욕적으로 역사학습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역사학습이 이루어져 본 연구가 기대하였던 효과를 증명하여 주었다. 뿐만 아니라 역사신문 기사의 분담, 편집과 같은 모둠별 활동을 통하여 대화와 타협의 민주적 시민의식을 길러주는 기회도 되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역사신문 기사를 편집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한 일원으로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민주적 토론을 거치면서 협동심을 높일 수도 있었다. 이처럼 역사신문 제작학습은 교과서 위주의 주입식 수업에서 탈피하여 학생활동 중심의 생동감 넘치는 역사수업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한 시도이다. 그러나 여러 전통적인 학생중심 수업 방법과는 달리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어 교수-학습 모형 정립 및 수업 전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연구의 대상이 실업계 고등학교 1, 3학년이었기 때문에 교수-학습의 효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웠는데 이 모든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The education in this age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requires great change in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as well as oper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and contents. The 7th Curriculum Reform aims to promote students sound personal development and maximize the growth of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It intends to teach to the students levels and build up the ability adjusting to the information age. The history education in this changeful 21st century needs the general reflec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for its goal attainment. The students should grow information processing and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inquiry procedures. They should also escape from the passive learner roles who only accept the well-arranged facts by their teachers or textbooks. At this trend of the times, learners came to realize the necessity for paying attention to learning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a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leads to the generalization drawn from all the procedures such as data collection, analysis, criticism and synthesis according to the proper research method of history. Learning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is known as a generally applicable teaching model, however, is considered to be more proper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relatively low burden of classwork progress on the present educational circumstanc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appropriate class model for our educational situation using the re-enacting learning of history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and demonstrate the utility and possibility in the real classrooms applying to real history classes and analyzing its results.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S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in Kangdong-ku, Seoul. 210 first-year students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partment were experimented in 2001 and subsequently 200 third-year students from the identical department in 2002. As for the procedures of study, literature review was first made on learning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Afterwards, the first questionnaires about historical consciousness were carried out to the subjects. On this basis, guide handouts and chronological table of each age were distributed for the history newspaper production, and the subjects made their history newspapers by groups for about 5 months. Then the report about each group s newspaper were followed. Finally second questionnaires concerning the students responses and teachers evaluation were executed after finishing all the history newspaper classes. The results from analyzing each group s newspaper work and report are as follows : Learning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elevated students investigating skills which enabled to discover and solve tasks for themselves going through all the processes like information gathering, analyzing, writing and editing. It could also improve the ability for students to grasp historical facts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in current of history. This learning method is also turned out to an effective way for performance assessment as it contains the whole processes of newspaper production. Learning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let the students participate in history classes highly motivated and interested and learn more effectively about the lessons as expec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could raise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of dialog and negotiation by group activities like sharing newspaper articles and editing. Most of students came to have higher cooperative spirit and positive transfer under democratic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making history newspaper. Learning through making history newspaper is an attempt to find the ways of history lessons which is lively animated and student-centered getting out of cramming education of textbook knowledge.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so scarce systematic researches on this field while so abundant studies on traditional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fore it would take a lot of time and effort to establish new class models and their development.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and researches will be succeeded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 of this kind of teaching and learning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nly from th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