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민아-
dc.creator신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38-
dc.description.abstract학생들의 성취와 관련된 요소들 가운데에서 주요한 것은 교실 내에서 드러나므로 수업 관찰에 의한 자료 수집은 수업 개선을 위해 필수적이며, 보다 나은 수업 기술의 향상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진단되고 처방될 때 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수업 관찰도 어떻게 하면 수업이 잘 실행될 수 있을까를 연구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수업 개선의 한 가지 방법이다. 그러므로 관찰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폭 넓고 집중적인 연구를 요구하게 되어 교실 연구를 위한 교육 현상의 연구는 연구 방법론의 측면에 있어서도 큰 의의를 지닌다. 이 연구는 수학과 수업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과 6차시 수업(1학년 4개반, 2학년 2개반)을 비디오 녹화한 후 TIMSS 비디오 연구에서 제시하는 코드 체계와 현재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업참관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TIMSS 비디오 연구에서 사용한 코드 분석법과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업 분석법을 활용한 교육 연구를 통하여 좀 더 복잡하고 일상적인 수업의 진행을 분석적으로 보여주어 교실 수업의 자료와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더 나은 수업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수업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TIMSS 비디오 연구 코드체계를 적용한 인문계 고등학교 수학과 수업 분석결과 수업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교사별 수업형태의 차이는 있는가? 2.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업참관록을 적용한 인문계 고등학교 수학과 수업 분석결과 수업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교사별 수업형태의 차이는 있는가? 위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6명의 교사, 6개의 수업을 비디오 녹화하여 TIMSS 비디오 연구에서 제시한 코드와 수업참관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내용면에서 살펴보면, 교사가 개념을 간단히 진술하여 비슷한 유형의 문제 풀이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문제풀이의 수준은 비슷하거나 수준이 더 낮은 문제 풀이를 하며, 개념진술과 함께 문제 풀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반복학습의 형태를 띄고 있다. 교사별 차이는 경력 교사가 신규교사보다 정의, 공식, 성질을 제공하는 경우가 더 많으나 전체적으로 내용전달은 문제풀이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조직면에서 살펴보면, 교사 주도활동이 약 35분이고 학생주도활동은 약 15분 정도이다. 준비단계에서 문제나 조건, 상황을 제시하여 도입하며, 학습활동은 교과서에 나와 있는 예제, 문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과제를 해결한 후에는 교사의 설명을 학생들이 자신의 풀이와 비교하며 들음으로써 공유하고, 마지막으로 교사가 설명을 다시 한번 요약하여 제시하고, 개념, 아이디어, 해결전략을 제시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교사별 활동의 차이는 교과서 중심의 일제 강의식 수업이기 때문에 신규교사와 경력교사간의 차이가 특별히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과정면에서 살펴보면, 문제는 단순한 조건으로 제시되며 문제 해결도 한 가지 유형으로만 제시되어 단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과정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교사가 제시하는 문제는 교사풀이를 그대로 따라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수업과정에서의 교과서 위주로 진도를 나가는 형태이므로 교사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발언면에서 살펴보면, 수학적 내용을 유도하기 위한 단답형의 질문을 주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에게 정보를 제시할 때는 수학적 내용 정보를 직접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방향 제시를 할 때도 수학적 내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발언이 대부분이다. 교사 발언에서의 교사별 차이는 신규교사는 가르치는 도중에 학생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단답형의 질문을 계속하고 경력교사는 내용의 요약제시에 중점을 둔 발언을 주로 하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학생발언은 교사의 유도나 단답형 질문에 대한 대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신규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사발언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비하여 학생발언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업참관록을 이용하여 수업을 분석한 결과 수업설계 영역은 목표 진술이 명확히 되고 내용은 구조화되었으나 평가와 자료활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수행위 영역에서 교사발언과 교수기술은 적절하나 수준별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학생활동은 자주적인 학습참여 태도는 보이지 않으며, 분위기는 학습과 관련된 적절한 안내를 통해 조성되었다. 교사별 차이는 교수설계영역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교수행위영역에서는 경력교사가 시간조절과 판서를 더 계획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활동영역은 경력교사 수업에서의 학생들이 필기의 훈련이 더 잘되어 있었고, 분위기는 선발집단과 비선발집단간의 차이로 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들의 수업준비에서부터 실제 수업활동에서 활용하는 자료의 차이, 학습자들의 수, 학습자들의 학습 특성에 따른 차이 등을 감안한다면 외국에서의 수업활동과 우리의 수업활동은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차이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해보며 비교 분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의 수업활동과 다른 우리나라의 수업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TIMSS 비디오 코드의 첨가, 삭제, 변형을 통한 수업 분석 코드에 대한 연구의 보완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새로운 수업분석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 In order to observe the patterns of mathematics lesson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by analyzing the classes with lesson observation notes popularly used in schools and with the class analysis code in TIMSS Video Analysis after VCR recording 6 periods of math classe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fundamental basis for more accomplished classes, the topics for studying a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in the mathematics class in an academic highschool a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class patterns depending on the teacher types, if analyzed through TIMSS Video Analysis ?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in the mathematics class in an academic highschool a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class patterns depending on the teacher types, if applied with lesson observation notes popularly used in schools? Based on the topics, the 6 classes arranged by 6 teachers were recorded and analyzed with a code system suggested by TIMSS Video Analysis. Here are the consequences. The mathematical contents were presented by a teacher s providing mathematical knowledge focusing on a problem-solving and explained in one-way delivery rather than profound understanding of concept. The explanation for concept was mostly stated by a teacher in short without any proof nor experiment. The teacher-centered class held approximately for 35 minutes, 70.4 % of the whole duration whereas students-centered for 15 minutes, 29.6%. The teacher usually dealt with examples in a textbook following the order of teacher talk demonstration, concept presentation, idea suggestion, and find-out solving strategy. In the procedure of the class, the teacher utterances were name/state questions to elicit mathematical contents and to confirm students participation. The student utterances were mainly responses on the teacher s directions. It showed that students took part in the class passively having no interest in interaction with peer students. After applied with the lesson observation notes, the area of the class design was observed to include clear purpose and the structured contents However, tests were not involved. In the area of the teacher-instruction, the teacher utterances and teaching techniques were proper. The students took part in a class passively in the atmosphere made through the introduction related with the lesson. The teachers with mature career were capable in time allotment and noting in a blackboard with the students well trained in noting. There was no discrimination in the class patterns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teacher except in a style to lead a class in a proposal. Based on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the recommendable sugg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it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class activities compared with those in a foreign country in the aspects of the difference of materials used in an actual class, the number of students, and characteristics in students learning style.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Second, a study on a class code analysis, through addition, deletion, and transformation of established TIMSS Video Analysis, is absolutely demanded in the consideration for our class circumstance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수업분석 모형 = 4 1. 수업분석 모형의 형태 = 4 2. 수업분석 모형의 개발 = 7 3. 수업 분석의 일반적 절차 = 10 B. TIMSS 비디오 연구 = 12 1. TIMSS-R 연구 = 12 2. TIMSS 비디오 연구 = 13 가. TIMSS 비디오 연구의 목적 = 13 나. 비디오 연구의 장점 = 13 다. 비디오 연구의 방법 = 16 라. 비디오 촬영시 유의점 = 17 3. 비디오 연구 코드화 체계 = 18 가. 수업내용 = 18 나. 수업조직 = 20 다. 수업과정 = 22 라. 발언 = 23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절차 = 25 1. 수업 분석을 위한 코드 체계 정립 = 26 가. 수업내용 = 26 나. 수업조직 = 29 다. 수업과정 = 31 라. 발언 = 33 2. 연구대상 선정 = 35 3. 수업 비디오 촬영 = 36 4. 코드 체계에 따른 분석 및 검증 = 37 5.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업참관록을 적용한 수업 분석 = 37 6. 자료분석 = 3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0 A. 수업 내용 = 40 B. 수업조직 = 47 C. 수업 과정 = 52 D. 발언 = 55 1. 교사발언 = 55 2. 학생발언 = 61 E.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업참관록을 적용한 수업 분석 = 62 V. 결론 및 제언 = 66 A. 요약 및 결론 = 66 B. 제언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 75 부록 = 77 <부록-1> 1-A 전사자료 = 77 <부록-2> 1-B 전사자료 = 87 <부록-3> 1-C 전사자료 = 97 <부록-4> 1-D 전사자료 = 103 <부록-5> 2-A 전사자료 = 116 <부록-6> 2-B 전사자료 = 122 <부록-7> 수업참관록(서술형) = 129 <부록-8> 교사 주도형 수업 관찰 분석표 = 130 <부록-9> 문답식수업 관찰 분석표 = 130 <부록-10> 개념수업 관찰 분석표 = 131 <부록-11> 경험중심수업 관찰 분석표 = 132 <부록-12> 집단탐구수업 관찰 분석표 = 133 <부록-13> 집단토의수업 관찰 분석표 = 134 <부록-14> 심포지움 및 패널토의 수업 관찰 분석표 = 134 <부록-15> 문답식수업 관찰 분석표 = 135 <부록-16> 강의-설명 수업 관찰 분석표 =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1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TIMSS 비디오 연구의 방법을 적용한 수학과 수업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