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과정 중심 시 창작 수업 모형 연구 : 7학년 교과서의 시 단원을 중심으로

Title
과정 중심 시 창작 수업 모형 연구 : 7학년 교과서의 시 단원을 중심으로
Authors
황혜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가 시를 창작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정 중심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이에 대한 시 창작 세부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현장에 투입함으로써 실제 학생들의 시 창작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문제로 삼은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 중심 시 창작 활동이 학습자의 시 창작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가? 둘째, 과정 중심 시 창작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로 제 Ⅱ장에서는 현대 시 교육의 창작 교육의 필요성을 다루고 제 Ⅲ장에서는 본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구안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제 Ⅳ장에서는 이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6차시에 걸쳐 실제 현장 수업에 적용한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시 창작 수업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사전·사후 시 결과물을 분석 체크리스트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모형 적용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을 검토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병행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시를 학습할 때 감상에만 치우치지 않고 감상과 창작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체계적인 순서에 의한 시 창작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둘째, 모형의 모든 활동은 학습의 주체인 학생의 능동적인 반응을 전제로 이루어지므로 학습자 중심의 시 창작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시 창작 결과물에 대한 학습자 자신·동료·교사의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안목을 가지고 시를 창작할 수 있었고, 다른 동료의 시를 공유하여 시에 대한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넷째, 막연한 시 감상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의 시를 창작하는 경험을 통해 시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얻어 시 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다섯째, 과정 중심 시 창작 활동은 표현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사고력·언어적 상상력·창의력·발표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여섯째, 시 창작을 할 때 개별 활동뿐만 아니라 짝과의 상호작용 및 모둠 활동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시 쓰기 능력에 있어서 중·하위 수준인 학생들에게 시 쓰는 과정을 다함께 공유하고 세부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시 쓰기 능력 및 사고 확장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일곱째, 과정 중심 시 창작 수업 모형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문학의 수용과 창작 중 시 창작 교육 측면에서 실제적인 실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의 과정 중심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은 학습자의 시 창작 능력의 신장은 물론, 정의적 측면에서도 시 창작에 대한 태도에서 긍정적이고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으로서의 효과와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시를 감상하는 활동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인 수업 모형에 의거하여 시를 다양하게 창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며, 과정 중심·학습자 활동 중심의 시 수업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이해·감상 교육만의 절름발이 교육이 아니라, 창작 교육을 통합한 시 수업 모형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따라 실제 수업 현장에 모형을 투입하여 시 창작 수업의 방향성과 성과를 제시하였다는 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process-centered poem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aiming at improving students ability of writing poems, and thereupon, explore some detailed guidelines for poem writing and thereby, apply them to the classroom in order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y of writing poem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would the process-centered poem writing activities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poem writing ability? Second, would the process-centered poem writing activities help students to change their affectionate attitudes in a positive way?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need for students modern poem writing; the third chapter suggests a learning model for students creative poem writing; the fourth chapter describes the process of applying the model to the classroom through 16 rounds by sampling the middle school 1st-graders; and analyzes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by dividing the sample students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and by using an analysis checklis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odel. Thereupon,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designed to analyze students responses to the model was reviewed; the fifth chapter concludes the study with the sugges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poem writing model was effective in that students could not just appreciate the poems but write them in a creative way. In other words, the model helped students to write poems according to some systematic sequence. Second, since the model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students would actively respond to it, it encouraged students to be engaged in creative poem writing. Third, the creative poem writing model allowed for cross-evaluations across students, peers and teachers on a continual basis, and as a result, students were encouraged to write poems in a more objective way as well as share their poems with other students only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poems. Fourth, the model urged students to depart from a vague appreciation of poems and instead, write poems only to b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write poems. Fifth, the process-centered creative poem writing learning model served to improve students expressions, thinking, linguistic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esentation. Sixth, the model was useful in that students could not only write poems for themselves but also share them with their partners and therefore, that middle-and lower-class students could be effectively guided to think about and write poems. Seventh, the model was proven to conform to the requirem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articularly the chapter Accommodation and Creation of Literature and its sub-chapter Poem Writing . All in all, this process-centered poem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was proved to improve students poem writing ability in terms of emotional and technic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not only to appreciate poems but also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write various poems for themselves. In short, the teacher-centered or textbook-centered education model should be replaced with a process-centered or student-centered model incorporating poem writing.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a process-centered poem writing model was developed to be applied to the classroom only to suggest some effective poem writing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