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용선-
dc.creator권용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89-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in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creates intellectual creativity and know-how that produce high-valued intangible assets, thus the issue of the production of value-added through knowledge creation has been brought up importantly(Drucker, 1998). The activities of storage, application, and sharing of knowledge to acquire the added-value have been explained as knowledge creation process by a lot of researchers, such as Leonard(1995), Dhar & Stein(1997) and so on. Nonaka(1995) in particular, who brought up the core issue of knowledge creation, said that it can be achieved based on the each individuals in an organization who go through the conversion of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Nonaka(1994,1995) emphasized on the sociocultural sharing as a critical part of the whole knowledge creation process, meaning that the knowledge creation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active interactions by sharing experiences, know-how and other information with one another. This sharing activity creates more valuable knowledge through the accumulation,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of the knowledge. Although the idea of knowledge sharing started from management field, yet it can be still applied to the education. As it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level of an organization, it can also affect the effective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in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 knowledge related studies was conducted only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focused on the result of the contribution of knowledge sharing to the knowledge creation. Thus it is needed that what specific process the knowledge sharing goes through in terms of education.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and the influences on it with small focus group with a common goal. These following issues will be addressed: 1. How does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for the knowledge creation in the small group with the common goal happen? 2.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for the knowledge creation in the small group with the common goal? To examine the issues, I attended project meetings held every week by a small project group in twelve weeks and observe the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and analyzed the verbal interactions shown in the meetings video-taped every three weeks,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group outputs which are the WBI(Web-Based Instruction) knowledgebase categories. Moreover, I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n knowledge sharing pro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ach group member.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follows: 1. How does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for the knowledge creation in the small group with the common goal happen? First, in terms of the verbal intera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the main group goal was not fully understood, the meeting was dominated by understanding/explanations rather than and argumentations/conflicts, and more facilitation/management was required than any other period. The group members could agree on the common goal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s, and the collaboration/harmonization process to create the knowledgebase categories followed after the all members fully comprehended the goal.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they contributed the knowledge creation by collect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for achieving the goal, and constructed and improved the system of the categories by suggesting and insisting their opinions. The completed final output was shown at the end of the process, and facilitators roles were cut down continuously as the number of tasks was reduced toward the completion of group output. The reduction of facilitation/management and evaluation/monitoring is one of the result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verbal interac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 frequency of understanding/explanation was increased after the comprehension of the group goal was done is because the neediness of conflicts or suggestions was decreased while activities to comprehend the shared information were needed through the discussion process. Second, in terms of the category output, the first output which came out on the 6th week, was the only result of the categorizing by similarities in subjects discussed in project meetings. Also, it came out in rather a vague way without any unity from each area in WBI in terms of naming or subdividing. After continuous corrections and maintenance, I could see relatively logical categories, along with new ones added, deleted and merged in each section. Yet, the subdividing the each WBI was not still consistent. The final knowledgebase categories, which were completed in 12 weeks, were the elaborated output through the continuous conversion of the group members opinions. This is the result that created the intersubjectivity, the differences of comprehension on WBI at the beginning became shared meaning at the end through the sharing process. 2.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for the knowledge creation in the small group with the common goal? First of all, in terms of individual dimension, four factors was analyzed such as 1)personal characteristics, 2)awareness of knowledge sharing, 3)recognition of oneself in the knowledge sharing group, and 4)ability of acquiring knowledge and representation skills. Secondly, in terms of the group dimension, three factors was analyzed such as 1)group characteristics, 2)the facilitation skill of a facilitator, and 3)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and compensation. Last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dimension, three factors was analyzed such as 1)shared information, 2)time and place factors, and 3)knowledge sharing channel. In this study, the knowledge sharing model was propos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sharing process and influential factors on it. The model is made up of three stages; the input stage where the shared goal is inserted, the collaboration stage where the knowledge is shared, and the output stage where the intersubjectivity is formed. The collaboration stage, in particular, shows four steps - 1)comprehension, 2)action, 3)completion, 4)elaboration. In addition, verbal interaction of understanding/explanation, argumentation/conflict, collaboration/ harmonization, and evaluation/monitoring and facilitation/management is used for the process. I would like to suggest further studies on knowledge sharing process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knowledge creation. First of all, despite the fact that this study was done by observing one certain group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within the group, it is possible that there could be a number of groups for one issue in reality. Thus, it is required to expand from intra to inter group level so that knowledge sharing process can be found among groups. Secondly, it is required to study further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for example, a group with both genders or knowledge level differences. The size of the group and the transformation in knowledge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contents domain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Thirdly, although the sharing process was found focusing on the explicit knowledge in this study, it is done in forms of invisible tacit knowledge in reality(Nonaka, 1994, 1995). Thus, it is important to observe how the sharing of tacit knowledge is done. As most of the knowledge sharing is done through verbal interactions, it is required to study on how to facilitate the tacit knowledge into explicit forms. Lastly, this study did not suggest the effects of the knowledge sharing on knowledge creation for each individual as it focused mainly on the group term.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on how each individual creates knowledge through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shared comprehension within the group.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tudy on how the knowledge creation interacts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level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overall knowledge creation. ; 우리가 몸담고 있는 현대 사회는 지적창의력과 노하우로 고부가가치의 무형자산을 창출해 내는 지식기반 사회(Knowledge-Based Society)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식을 통한 부가가치의 생산이 중요한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다(Drucker, 1998). 부가가치를 획득하기 위한 지식의 저장, 활용, 공유와 같은 활동은 Leonard(1995), Dhar & Stein(1997) 등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지식창출 과정으로 설명되어 왔으며, 특히 지식창출의 핵심 논리를 제시한 Nonaka(1995)는 기업에 소속된 개개인의 지식이 지식변환 과정을 거치며 조직의 핵심 능력으로 축적되어 이를 토대로 지식창출이 일어남을 설명하고 있다. 지식창출에 있어 간과되어서는 안될 부분으로 Nonaka(1994, 1995)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공유 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자신이 알고 있는 유용한 경험, 노하우 및 기타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동시에 타인의 것을 제공받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창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식 공유는 협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기존의 지식을 축적, 변형, 통합하는 과정에서 보다 새로운 지식을 유의미하게 생성해 내는 활동으로서, 그 발단은 경영학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교육적 상황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것은 지식공유가 기업의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과 같이 교육 현장에서도 학습 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도모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행해진 지식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업 차원의 지식창출에 그 영역이 국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지식공유가 지식창출에 기여한 결과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으로(김효근, 1999; Davenport & Prusak, 1998; Nonaka, 1995), 교육적 차원에서 지식공유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표를 가진 소규모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이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과정으로 지식을 공유해 나가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지식 공유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동의 목표를 가진 소규모 학습자 집단에서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공동의 목표를 가진 소규모 학습자 집단에서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의 지식창출을 목표로 하는 소규모 프로젝트 집단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매주 진행되는 프로젝트 미팅에 참여함으로써 지식공유 과정 전반을 관찰하였고, 그 과정을 녹화하여 비디오 자료들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을 3주 간격으로 분석하였으며, 집단 산출물인 WBI(Web-Based Instruction) 지식베이스 카테고리의 변화도 함께 관찰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공동의 목표를 가진 소규모 학습자 집단에서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언어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지식공유 초기에는 집단 구성원이 공동으로 삼고 있는 목표에 대해 명확한 이해가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갈등/논쟁 없이 대부분 이해/설명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촉진자의 촉진/관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전 구성원은 계속적인 논의를 통해 목표에 대한 합일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으며, 일단 목표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형성된 후에는 지식베이스 카테고리를 산출하기 위해 활발한 협동/조율 과정을 거쳤다. 공유 과정에서 구성원들은 집단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수집, 발표함으로써 지식창출에 기여하였으며 다양한 의견을 제안하고 때로는 자신의 주장을 강력히 피력하면서 카테고리 작성에 대한 체계를 형성해 나갔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집단의 산출물은 지식공유 과정 후반부에 나타났으며, 산출물이 완결되는 시점에 가까울수록 해결해야 할 문제 상황이 감소함에 따라 촉진자의 도움을 구하는 정도도 적어졌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수에 있어 촉진/관리 및 평가/모니터링의 비율이 감소한 것도 이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집단의 공동 목표에 대한 이해가 형성된 후부터 이해/설명의 비율이 점차 증가한 것은 목표 달성을 위한 논쟁이나 제안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대신, 공유하는 자료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를 확실히 이해하고자 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나타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카테고리 산출물 측면에서, 최초의 산출물은 6주에 처음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순히 프로젝트 미팅시 다루어진 자료들로부터 유사성이 있는 것들을 범주화하여, 그 주제를 카테고리 제목으로 부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에 명칭을 부여하는 방식이나 이를 세분화하는 수준에 있어서도 WBI 각 영역별로 통일성 없이 산만한 형태로 나타났다. 계속적인 수정 보완을 통해 9주에는 비교적 체계적으로 정리된 카테고리를 산출할 수 있었으며, 각 영역별로 새로이 추가, 삭제, 병합되는 카테고리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WBI 각 영역을 세분화하는 정도는 영역마다 일관적이지 못했다. 최종 지식베이스 카테고리는 12주에 완결되었는데, 이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인 의견 수렴을 통해 정교화시킨 집단산출물로, 각 구성원이 프로젝트 초기에 가지고 있었던 WBI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가 공유 과정을 통하여 상호주관성으로 형성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 공동의 목표를 가진 소규모 학습자 집단에서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3가지 차원, 즉 개인적 차원, 집단적 차원, 환경적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차원에서는 4가지 범주의 요인들, 즉 1)개인적 성향, 2)지식공유에 대한 의식, 3)집단 일원으로서의 인식, 4)지식습득 및 전달능력이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규명되었다. 둘째, 집단적 차원에서는 3가지 범주의 요인들, 즉 1)집단의 특성, 2)촉진자의 촉진기술, 3)평가 및 보상이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차원에서는 3가지 범주의 요인들, 즉 1)공유 자료, 2)시공간적 요인, 3)지식공유 채널이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서 논의된 지식창출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지식공유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에 나타난 지식공유 과정은 집단의 공동 목표가 투입되는 투입 단계, 집단의 지식공유가 진행되는 공유 단계, 집단의 상호주관성이 형성되는 산출 단계로 집약될 수 있는데, 특히 공유 단계에서는 1)과제 이해, 2)과제 수행, 3)과제 완성, 4)과제 정교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해/설명, 갈등/논쟁, 협동/조율, 평가/모니터링, 촉진/관리와 같은 언어적 상호작용이 나타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지식창출 = 7 1. 지식의 개념 = 7 2. 지식창출 이론 = 9 B.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 12 1. 사회적 구성주의 = 13 2. 협동학습 = 16 C. 지식공유 관련요인 = 21 1. 커뮤니케이션 = 23 2. 집단응집성 = 29 D. 관련 선행 연구 = 32 1. 지식창출 및 지식공유 관련 연구 = 32 2. 협동학습 관련 연구 = 33 3. 언어적 상호작용 및 토론 관련 연구 = 35 III. 연구 방법 = 38 A. 연구 대상 = 38 B. 연구 도구 = 38 1. 학습동기전략 검사지 = 39 2. 의사소통유형 검사지 = 40 3. 대인관계 적절성 검사지 = 41 C. 연구 절차 = 42 D. 자료 분석 = 44 1. 비디오테이프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45 2. 지식베이스 카테고리 분석 = 48 3. 인터뷰 자료 분석 = 48 4. 참여관찰일지 분석 = 49 5. 각종 검사지 분석 = 49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51 A. 집단 구성원의 특성 분석 결과 = 51 1. 동기와 학습전략 사용 능력 = 51 2. 의사소통유형 = 53 3. 대인관계 적절성 = 54 4. WBI(Web-Based Instruction) 관련 선수지식 및 경험 = 55 B.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 분석 결과 = 55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식공유 과정 = 55 2.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공유 과정 = 63 3. 지식공유과정에 따른 집단산출물 = 75 C. 지식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 85 1. 개인적 차원 = 87 2. 집단적 차원 = 91 3. 환경적 차원 = 96 D. 결과 종합 및 논의 = 100 IV. 결론 및 제언 = 103 참고문헌 = 110 부록 = 117 Abstract =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15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소집단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