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지-
dc.creator김은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88-
dc.description.abstractIn today s world the information increases in a geometric proportion and changes rapidly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kills. Parallel to this chang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of students abilities to learn how to collect and utilize necessary information by themselves for their task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Especially, under the web based environment which is evaluated as a space enables self-directed learning(Lee 1998; Driscoll & Alexander 1998), it needs the abilities of involving in learning process with proactive initiatives more than anything(Garrison 1997; Ellis, Wagner, and Longmire 1999; Harrison 1999). Meanwhile, there s been many researches to validate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ntract suggested by Knowles(1986) as a strategy for facilitating adult learner s self-direction in the traditional formal education context(Kim 1999; Caffarella 1984; Burgett 1993; Chang 1993; Tsay 1999). However, it s hard to find researches under the web-based setting which has been highlighted as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hat practically unveils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ntract on web-based learn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contract format which has been mentioned as an effective strategy in traditional adult education to facilitate self-direction. By doing so, it intends to contribute to providing information and strategie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model in the web-based trai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as follows: 1. Is there any effect of learning contract application in the web-based training on the learners abilities of self-direction? 1-1. Is there any observed difference in the self-direction when learning contract is applied or not in the web-based training? 1-2. Is there any observed differenc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elf-direc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s ante- and post-experimental achievements? 2. Is there any effect of learning contract application in the web-based training on the learners achievements? 3. Is there any effect of learning contract application in the web-based training on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order to answer those question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major domestic corporation L, which already implements network learning system for the support of employee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7 adults enrolled in the internet-based learning course, ‘financial statements in the corporation L, which has no face to face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instructors.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by random assignment and I applied learning contract format to the experimental group. Learning contract were developed as web-based pages on the basis of the guidelines for learning contract in self-directed learning model(Knowles 1986). Based upon five general components of learning contract: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strategies and resources, evidence of accomplishment, criteria and means of validating evidence, timeline are considered. After the 4-week instructional session, I surveyed the level of self-direction and the learning time and the evalu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 of learning contract application on the post-experimenta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hile, in the experimental group s evaluations, M= 229.80, SD= 16.46, in the controlled group s evaluations, M= 220.27, SD= 15.91 (t= 2.021, p<.05). In order to unveil more accurate effect of the treatment on learner s post-self-direction scores, additional data analysis method, ANCOVA was used and it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 10.35(p<. 05). Secondly, my analysis of experimental group s self-directed abilities showed that learning contract application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s abilities, comparing with ante-and post-experimental evaluations: while, in the experimental group s ante-experimental evaluations, M= 220, SD= 19.60, in its post-experimental evaluations, M= 229.80, SD= 16.46 (t=3.823, p<.05). Thirdly, my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post-experimental period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ile, in the controlled group s learning achievements, M= 73.72, SD= 1.787, in the experimental group s learning achievements, M= 74.36, SD= 1.823 (t= 1.201, p<.05). Fourth, regarding the learner participation, my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lapse time of learning particip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hile, in the controlled group s participation, M= 2374.40, SD= 1242.53, in the experimental group s participation, M= 3329.60, SD= 1457.14 (t=2.40, p<.05). Consequently, the learning contract acts as a catalyst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articipation in a web-based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bove results, additional suggestions are accompanied on the basis of the summary. Firs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be mentioned that learners self-directed ability has increased further by applying the learning contract format in the web-based training environ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web-based instruction demand self-direction as a precondition of learn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with considering learners self-direction level. Second, besides the strategic consideration with the level of self-direction discussed abov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model which is appropriate in the web-based environment. The web-based environment which enables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gather various information by diverse resources is a self-paced and self-directed learning setting(Lee 1998; Harrison 1999). That means not only does the web-based instruction demand self-direction as a precondition of learning, but also it can formulate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for the more active participation from a learner in the web-based environment, there should be further substantial researches that will suggest the ways of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models, training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nd systemically improving the level of self-direction. Third, experimental group s abilities of academic performance showed less difference between the intent level .05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is can be led to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cours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financial statements was designed on the instructor s decision, with this reason, there was a possibility of the instructor s bias towards evaluating learner s reports. Thus, there should be a research which evaluates learner s academic achievements by a more reliable and accurate criteria. It s possible to say that rather short period of applying the learning contract brought up less effective result. Therefore, if the learning contract can be conducted in a longer time period, the learning contract can prove to be an effective tool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Fourth,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instructor. However, it s necessary to study how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tudent has an effect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participation in the web-based instruction context. Fifth, this research is mainly interested in the individual activities using learning contract format. In order to further study the interaction effect as a critical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it is necessary for further researches on self-direction to focus on examining small group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sessions organized by self-direction level. There should be additional qualitative researches on the process of it. Finally, this study applied the self-evaluation(monitoring) about the learning process using learning contract once. Therefore, in the next research, I suggest a research uses the reflective journals regularly throughout the learning period for further study of learning contract in the web-based instruction.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elf-directed web-based learning. ; 오늘날의 정보는 컴퓨터와 통신 기술 등 정보통신 테크놀로지의 혁신적 발달과 함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다. 이제 학습자들에게는 보다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정보를 찾고 습득하여 소화해 이를 실제 과제나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환경으로서 평가받고 있는(Driscoll, 1998) 웹기반 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스스로의 학습 과정에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 과정에 참여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Ellis, Wagner and Longmire, 1999; Harrison, 1999). 그 동안 성인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 향상을 위해 Knowles(1986)가 제시한 전략인 학습 계약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려는 연구가 교실 기반의 전통적인 형식 교육 맥락에서 이루어져 왔으나(김인교, 1999; Burgett, 1993; Chang, 1993; Tsay, 1999), 정보 통신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발달과 함께 교수-학습 체제에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키며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웹 기반 환경에서의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형태의 성인 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연구되어온 학습 계약이 웹 기반 훈련이라는 맥락에서도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인가를 검증함으로써,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의 활용이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학습 계약 활용 여부에 따라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1-2. 학습 계약을 활용했을 때, 학습자의 사전 자기주도 학습 능력과 사후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을 활용한 집단과 활용하지 않은 집단간의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을 활용한 집단과 활용하지 않은 집단간의 수업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웹 기반 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L 기업 전자부문 사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정하여 47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0년 8월, 회계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L 기업 전자부문 사원들 61명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무선 할당되었으며, 모든 학습 과정에 참여한 학습자 47명의 점수만이 최종 결과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검사지(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 SDLRS)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사전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를 측정하였으며, 학습 계약 작성을 위한 가이드를 자기주도 학습 전문가인 Caffarella, 과정 내용 전문가, 교육공학 전문가 2인의 타당도 검증을 받아 실험 집단을 위한 별도의 웹 페이지로 제작한 것을 학습 시작 전에 제공하였다. 실험 집단 학습자들은 제시된 학습 계약 작성 안내 단계에 따라 학습 계약을 작성하고 4주간의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4주간의 학습 기간이 종료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후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학업 성취도, 학습 참여도 등이 측정되었다. 그리고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게 자가 평가 형태의 사후 설문지가 배포되고 수거되었다. 본 연구의 통계 자료 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비교,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와 학습 참여시간 비교는 두 독립 표본 t-검정을 사용했으며, 실험 집단의 사전 사후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점수 변화는 두 종속 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의 활용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학습 계약을 활용한 실험 집단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M=229.80)가 통제 집단의 점수(M=220.27)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통계 검증 결과, 두 집단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t=2.021, p<.05),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에서 학습 계약을 활용하는 것은 성인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원격 교육의 맥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 촉진을 위한 변인으로서 학습 계약의 효과에 대해 시사한 Tsay(1999)의 견해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의 활용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의 성취도 평균은 74.36점이었으며, 통제 집단의 평균은 73.32으로 나타났고, 이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201 , p<.05). 이러한 결과는 Tsay(1999)와 장상필(1997) 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 하지 않는 것으로, 선행 연구와 본 연구 결과에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선행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학습 계약을 활용한 수업이 단기간에 걸쳐 이루어졌기 때문에 보다 심도 있는 깊은 성찰이나 창의력을 요하는 과제에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으로 사려되며, 보다 장기간에 걸쳐 학습 계약을 사용한다면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의 활용이 학습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들이 수업에 임한 총 학습 시간량을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통제 집단의 총 학습 시간의 평균은 2374.40 이었으며, 실험 집단의 평균은 3329.60시간이었다. 두 집단 간에 나타난 총 학습 시간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t=2.40, p<,05). 따라서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이라는 전략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있어서 성취에 대한 책임을 감지할 때, 학습 속도, 학습량 및 파지기간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는 Birren(1977)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에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학습 도구인 학습 계약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고려한 보다 다양한 웹 기반 훈련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통제권의 정도를 달리하거나 학습자 개인의 학습 스타일에 대한 고려 등 학습자의 개별적 요구와 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 전략이 포함된 웹 기반 훈련의 설계 측면에 대한 연구와, 과정 운영시 교수자 역할의 실제에 관련된 연구도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고려한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에 앞서 웹이라는 환경에 적합한 자기주도 학습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으로써 최적인 웹 기반 환경에서 학습 과정을 통제하며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성인 학습자들을 위한 보다 높은 차원의 학습과정 설계와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개별적인 활동에만 관심을 가졌으나, 자기주도 학습 과정에서 주요 요소로 여겨지는 상호작용 효과를 위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소집단 토론 등의 그룹 활동을 병행하여, 집단간 또는 집단내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적 제 활동이 학습자들의 성취도나 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 대한 질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과정에서 이용되어 온 전형적인 형태의 학습 계약 형식을 활용하여 모델로 제시하여 사용하였으나, 학습 계약서의 형태는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웹 기반 훈련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 계약 모델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 계약 활용의 마지막 과정으로서 학습 과정에 대한 자가평가 모니터링을 사후에 한 번 실시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학습 계약을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해 나가는 학습 활동과 과정에 대한 성찰적 저널(reflective journal)을 학습이 진행되는 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학습 계약 활용 과정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한다면 자기주도 학습 과정 개발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7 II. 이론적 배경 = 8 A. 웹 기반 훈련8 1. 웹 기반 훈련의 정의 = 8 2. 웹 기반 훈련과 기업 교육 = 9 B. 자기주도 학습 = 11 1. 자기주도 학습의 개념 및 특성 = 11 2. 자기주도 학습 모형 = 16 3. 자기주도 학습자로서의 성인 학습자 = 18 4. 웹 기반 학습 환경과 자기주도 학습 = 22 C. 학습 계약 = 25 1. 학습 계약의 개념 = 26 2. 학습 계약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 31 D. 관련 선행연구 = 33 1. 자기주도 학습에 관련된 연구 = 33 2. 학습 계약 활용에 관련된 연구 = 36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39 A. 연구대상 및 연구설계 = 39 1. 연구대상 = 39 2. 연구설계 = 41 B. 연구 도구 = 42 1.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검사지 = 42 2. 학습 계약 = 43 3. 학습 성취도 평가 = 44 4. 사후 자가 평가 = 45 5. 학습 참여도 평가 = 46 C. 연구 절차 = 47 1. 준비단계 = 47 2. 본 실험 단계 = 49 3. 자료 분석 = 51 D. 자료분석 방법 = 51 IV. 연구 결과 = 54 V. 결론 및 논의 = 60 참고 문헌 = 65 부록 = 77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42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 계약의 활용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성취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