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비장애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이 초등 학습장애학생의 숙제수행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사회과를 중심으로

Title
비장애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이 초등 학습장애학생의 숙제수행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사회과를 중심으로
Authors
송정미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숙제는 수업을 지원하는 효과적이고 가치있는 교수도구로서 학업기술의 연습, 강화 및 준비와 참여의 촉진을 위해 주로 활용되며, 특히 수학과 사회과에서 많이 활용된다. 통합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어 많은 학습장애아동이 예체능 교과와 국어, 수학을 제외한 교과시간에 일반학급 학생과 함께 수업을 받게 됨에 따라, 학습장애아동에게도 숙제는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장애아동은 숙제 수행에 어려움을 보이고, 그 결과 학습상황에 소외되고 학습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숙제 수행의 중재가 요구되는데,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은 아동의 숙제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에 대한 경험을 공감하는 또래도우미가 또래 수준의 언어와 예를 사용하여 도움을 제공하므로, 학습장애아동의 숙제수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 학급에서 많이 부과하는 사회과 숙제에 대해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숙제 완성율, 정반응율 및 사회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의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5학년 학습장애아동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학습장애아동의 숙제활동을 도와 줄 비장애 또래도우미 1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먼저 중재I을 3회기 실시하였는데, 이는 학습장애아동의 특성 및 그들의 필요에 대해 인식하고 그들을 돕기 위한 기술을 연습하는 것과 중재II의 실시방법을 이해하고 연습하는 활동이다. 그 후에 실험집단은 중재II 즉, 상대방의 숙제를 서로 검사하고 숙제의 틀린 부분을 수정하는 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연구자에 의한 숙제 검사를 하였다. 이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모두 연구자가 제작한 숙제를 이용하였으며 16회기동안 실시하였다. 숙제 완성율, 숙제 정반응율 및 사회과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5학년 사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검사의 결과 처리는 각각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학습장애아동의 숙제 완성율에 있어서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효과적이었다. 2. 초등 학습장애아동의 숙제 정반응율에 있어서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3. 초등 학습장애 아동의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있어 높은 점수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또래활용 숙제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비록 사회과 학업성취 변인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숙제 완성율과 정반응율에는 효과성을 지지해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학습장애아동의 숙제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또래 활용 숙제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work buddy program on the percentage of homework completion, the percentage correct on homework, and the social studies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0 learning disabled students in fifth grade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Also, peer buddies were selected to assis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homework practice. In the intervention I,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ed regarding procedures and activitie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II(3 sessions). In intervention II,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graded and made correction to their homework assignments 4 times a week(16 sessions). For the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homework practice was used. ANCOVA using SPSS/PC+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tilizing the pretest scores in the percentage of homework completion, the percentage correct on homework, and the social studies achievement as covariat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rate of homework completion. That is, homework buddy program appeared to be an effective process that increases the quantity of students homework products. 2. In terms of percentage correct on homework assignme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namely, homework buddy program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ocial studies achievement. That is, the experiment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social studies achievement.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homework buddy program for increasing the rate of homework completed and the accuracy of homework. This results implies that homework buddy program would be one of the useful methods to improve homework completion and accurac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