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지역감정의 세대간 전이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Title
지역감정의 세대간 전이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Authors
정효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 사회의 영·호남 지역감정 문제는 1960년대 이후 박정권의 호남지역에 대한 경제적·정치적 차별정책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유신체제와 5공화국으로 이어지면서 정치권이 지역감정을 계속 악용하였고, 광주사태까지 터져 지역간 대립은 더욱 심각해졌다. 지역감정이 노골적으로 표출되었던 1987년 13대 대선 이후, 지역감정은 우리 정치의 결정적인 변수로 자리잡았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한국 정치사상 최초로 지역간 정권교체를 이루었지만, 영·호남 지역갈등문제는 아직도 풀지 못한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지역감정 문제가 미래 한국 사회의 주체인 청소년들에게 세습되고 있다면 그 실태를 바르게 파악하여 대책을 수립함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감정과 같은 편견은 생득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화 과정에서 습득되는 것이며, 이러한 사회화의 주체 중 부모는 그들의 자녀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녀는 부모의 지역감정을 직접·간접적으로 학습할 가능성이 크다. 이 글은 지역감정의 세대간 전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에서 성장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출신지역에 따라 영·호남 지역에 대한 태도를 연구·조사하였다. 먼저 여러 문헌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우리 사회의 지역감정 문제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현상이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나타나는지를 영·호남인에 대한 선호도, 대인관계 거리감, 지역갈등의 심각성과 원인에 대한 지각, 지역감정 형성의 매체를 중심으로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호남 출신 부모의 자녀들은 모두 부모의 출신지역민에 대해 보다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이들의 성장지가 영·호남 지역이 아닌 제3의 지역인 서울임을 고려해 볼 때, 이는 부모의 출신지역을 자신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충청·기타 지역 출신 부모의 자녀들은 영남인에 비해 호남인에 대해서 낮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대인관계 거리감에 있어서도 영·호남 출신 부모의 자녀들은 부모의 출신지역민과의 관계 맺음에 더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호남인은 영남인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출신 자녀 집단에 의해서도 차별적 태도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반면 호남 출신 자녀 집단은 영남인에 대해서도 특별한 차별적 행동의사를 표현하지 않았다. 그리고 청소년들은 대체로 영·호남 지역갈등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부모 양쪽이 모두 경상도 출신인 자녀의 경우, 전라도 사람의 성격도 갈등의 원인 중 하나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반면 타지역에 비해 전라도 출신 父의 자녀들은 불공평한 지역발전과 특정정치인의 부추김을 갈등의 큰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지역감정 형성에 원인을 준 매체들은 주로 매스컴과 부모·친척이었다. 특히 경상도 사람에 비해 전라도 사람에 대해서는 부모·친척을 통한 간접 경험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부모의 출신지역에 따라 자녀의 영·호남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지역감정의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학교교육과 대중매체를 통해 청소년의 올바른 지역의식 확립을 돕고, 지역민간의 직접적인 교류와 체험학습을 통해 각 지역민에 대한 편견을 바꾸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지역감정이 다음 세대로 전이되는 것을 막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The issue of regional prejudice between Yongnam and Honam regions started in the 1960s with the discrimination policies on economy and politics by President Park s regime. The regional confrontation deteriorated more with the Kwangju Uprising, while some politicians continued to use the regional prejudice in a sinister way throughout the Yushin Regime (President Park s renovation system) and the 5th Republic. The regional prejudice has become a critical variable in our politics since the 13th presidential election in 1987 when regionalism burst forth. Although the first-ever power shift was made in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of 1997, the issue of regionalism remains an unsettled and chronic problem in our society. If our youth, those that are the main subjects of Korean society, inherit in the future in the regionalism from their seniors, we need to grasp the reality of the issue and prepare measures to tackle it. Especially, the prejudice between the regions is not spontaneous but is acquired through a socialization process; accordingly, the parents of the main subjects of socialization can influence their children adversely. This paper researched and surveye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grew up in Seoul but based on their parent s hometown and their attitudes towards Yongnam and Honam regions. We wan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n inherited prejudice among the generations. First, we studied regional prejudices in our society through various literatures and from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e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towards people from Yongnam and Honam, the sense of distance in personal relations, seriousness of regional discord, awareness of its causes, and media in formation of regional prejudice, were especially surveyed and analyzed. We wished to find out if a similar phenomenon exists among the young. As a result, the children of the parents from Yongnam and Honam regions showed a higher preference towards people who were from the same region as their parents were from. Considering the place where the children grew up Seoul, the third place, was not Yongnam or Honam region, it is understood that they perceive their parents hometowns as the places closely related to themselves. The children, whose parents are from Chungchong or other regions, showed lower preference towards Honam people than towards Yongnam people. As for the sense of distance in personal relations, the children whose parents were from Yongnam or Honam were friendlier towards the people from the same regions as their parent. However, like the preceding case mentioned above, Honam people were discriminated against not only by Yongnam people but also by a group of children who have parents from regions other than the Honam region. On the other hand, a group of children who have parents from the Honam region didn t show any particular discrimination behavior pattern towards the Yongnam people. It was surveyed that the youths a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regarding regional discord between the Yongnam and Honam regions. The children whose parents are from Kyongsang Province believed that the personalities of the people from Cholla Province can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discord concerning the causes of the regional prejudice. Meanwhile, the children whose parents are from the Cholla Province regarded the causes of the discord as being an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nd at the instigation of some particular politicians. The media,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regional prejudice among juveniles, were mainly mass communication, parents and relatives. Especially, it was more the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parents and relatives that provided the causes of prejudice towards people from Cholla Province rather than people from Kyongsang Province. The study showed that different attitudes were shown towards Yongnam and Honam people by the children whose parents were from different home provinces, which proves there is an inheritance of regional prejudice among generations. Hence, all of us should help our youths establish a right regional sense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mass media, and should try to change the prejudice towards people from different regions via direct exchange and learning from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ese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prevent regional prejudice from the next gen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