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78-
dc.description.abstract한 나라의 교육과정은 사회가 처한 여건이나 세계적인 교육사조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과학 지식 자체를 주입하기보다는 빠르게 변해 가는 사회에서 필요한 지식을 적절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즉, 탐구 활동을 강조해야 한다. 이러한 탐구 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도구는 교과서이며,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제6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 생물 영역 탐구 활동의 분석을 통해 보다 나은 교과서 내용 개발에 도움을 주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검인정 8종 과학 교과서의 생물 단원 탐구 활동을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의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탐구 활동 내용 분석에서 8종 교과서의 총 탐구 활동 주제는 F교과서가 가장 많았다. 그 외 C, B, E, D교과서가 평균을 윗돌았으며 A, H, G교과서는 평균에 못 미쳤다. 이를 통해 탐구 활동 주제에 있어서 교과서별 편차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탐구 활동 과정 분석에서 가장 강조되는 부분은 자료해석 및 일반화(D.0)였으며 관찰 및 측정(B.0)도 많은 편이었다. 그러나 이론 모델의 형성, 검증 및 수정(E.0)과 문제발견 및 해결방안 모색(C.0)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아직도 초보적인 탐구 활동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탐구 활동 상황 영역의 빈도를 살펴보면 과학적 상황이 거의 대부분이었으며, 개인적 상황, 사회적 상황, 기술적 상황이 아주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기술적 상황이 적었으며, 탐구 활동이 지나치게 과학적 상황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The process of the education of a country must be changed continually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global change of the educational trend. Accordingly what is important in teaching students is not cramming students with the scientific knowledge itself, but teaching students how to find the necessary knowledge in a appropriate way in a quickly changing society. So Inquiry Activity is necessary. And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basic tool in a curriculum in which the inquiry activity plays the title role is the textbook. So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into the inquiry activity of the textbook. The aim of this research lies in helping with developing an ideal biology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the biological field of the eight kinds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6th curriculum. So this necessity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supported by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through the three dimens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inquiry content dimension, inquiry process dimension and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nt dimension of inquiry activities, the total number of themes in eight kinds of textbook is 484, the average is 60.5 and F textbook has most 71. Besides C textbook has 69 themes, B textbook 67, E textbook 66, and D textbook 65. Those four textbooks have much more themes than average, but other three have much less - A textbook has 52 themes, H textbook 49, and G textbook 65. This result tells us that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is greate among those eight textbooks. 2. For the analysis of inquiry process dimension, interpreting data and formulating generalizations(45.6%) category is generally most emphasized and the categories of observation and measuring(40.9%) , building, testing and revising the theoretical model(7.3%) , and seeing a problem and seeking ways to solve it(6.3%) follow in order. This shows us that only the basic part of the inquiry activities is emphaized now. 3. As for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scientific context occupies 83.3%, the individual context 9.1%, the social context 6.4% and the technical context 1.2%. Through this result we can know that the inquiry activities are unbalancedly heavy in the scientific contex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우리 나라의 교육 과정 = 5 1. 교육과정의 개념 = 5 2. 우리 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 7 3. 제6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 = 11 4.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 12 5.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중 생물 교과 내용 = 13 B. 탐구 학습 = 16 1. 탐구 및 탐구 학습의 정의 = 16 2. 탐구 학습의 장·단점 = 18 C. 기존의 과학 탐구 평가틀 = 19 1. Klopfer의 평가틀 = 20 2. NAEP의 평가틀 = 29 D. 선행 연구 = 32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39 A. 연구 자료 = 39 B. 연구 방법 = 40 1. 본 연구의 과학 탐구 평가틀 = 40 2. 탐구 활동 분석의 실제 = 41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5 A. 탐구 내용 영역의 분석 = 45 B. 탐구 과정 영역의 분석 = 59 C. 탐구 상황 영역의 분석 = 70 V. 결론 및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 분류의 실제 = 86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5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 생물 영역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