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정-
dc.creator이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82-
dc.description.abstract통합된 교실 환경은 사회적 기술의 일반화, 유지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건이 갖추어진 곳으로 장애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교수를 위한 최적의 중재환경이 된다. 그러나 장애유아의 사회적 기술 결함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단순한 물리적 통합만으로는 장애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왔다. 특히 장애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 기술의 부족은 또래와의 상보적인 상호작용(reciprocal interaction)에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교사의 직접적인 중재에 의해서만 증진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된 교실 환경 내에서 장애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하기 위해 활동-기술도표(activity-skill matrix)를 이용해서 활동 내에 중재를 삽입하고 중재 효과를 알아보았다. 활동-기술도표는 교실의 일상적인 활동 내에 장애유아에 대한 개별적인 교수를 체계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활동계획표로 개별화 교육과정 연속모델(Individualized Curriculum Sequencing Model)의 중요한 교수실천수단이다. 본 연구는 일반 어린이집에 통합되어 있는 세 명의 장애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같은 반 또래들이 모두 함께 있는 교실 상황에서 중재를 실시하였다. 교수는 5 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분산하여 실시하였으며, 장애유아의 담임교사는 활동-기술도표에 따라 장애유아가 함께 놀 또래를 선택하고 또래의 주의를 끌고 사회적 시작행동을 하도록 시범을 보이고 모방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교수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실에서의 일상적인 자유놀이 상황을 10분간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한 후 녹화한 테잎을 보면서 장애유아와 또래간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 상호작용을 10 초 부분간격기록법(8초 관찰, 2초 기록)을 이용하여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각 대상아동에 대한 교수는 녹화 이후의 수업상황에서 활동-기술도표에 따라 분산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중재가 종료되고 난 후에는 중재가 실시되지 않은 두 가지 환경(볼풀, 놀이터)에서 2 회기씩 일반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유지 효과는 중재 종료 4 주 후에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기술도표를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사회적 시작행동교수를 실시한 결과 장애유아들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되었다. 둘째, 활동-기술도표를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사회적 시작행동 교수를 실시한 결과 장애유아들의 또래 상호작용이 증가되었다. 셋째, 중재가 실시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일반화 평가에서 장애유아들은 모두 중재조건과 비슷한 수준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또래 상호작용을 보였으며 이러한 행동발생율은 4 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활동-기술도표를 이용한 통합된 환경에서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교사의 촉진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또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증진된 상호작용을 일반화, 유지시킬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 Integrated classrooms have many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can facilitate the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skills, thus they might be the best settings for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 to interact with their peers.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without disabilities when relying solely on physical integration because of lack of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has been noted that the lack of initiative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ight be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obstructs their reciprocal interaction with peers, and teachers direct instruction might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ir initiative social skil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tivity-skill Matrix to teac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itiative social skills in an integrated classroom. The Activity-skill Matrix is a daily schedule which allows teachers to pu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to regular activities in a classroom as an important tool of Individualized Curriculum Sequencing Model. In this study, thre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hosen as subjects and provided with instruction in their integrated classrooms. Instruction session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tervals of at least five minutes. The teacher optimized the amount of peer interaction by adjusting teaching methods and presenting topics and roles of roleplays to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given activity-skill matrixes. They also let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oose their peers to play with, showed how to initiate scial activities and how to play with their peer, and facilitated their imitation of peers. Data were collected by making video recording of their play with peers during free play time for ten minutes and then by recording their initiation skills, responses and interaction skills with their peers using 10 second Partial Interval Recordings (observation for 8 sec. and recording for 2 sec.). Distributed instructions were carried out with activity-skill matrixes after the video recording. This study used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generalization effects were evaluated in two different settings (ballpool and playground) with the baseline condition during each two sessions. Then after 4 weeks,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These ar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ly, initiative social skill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ward peers were increased after the instruction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e activity-skill matrixes during classroom activities. Secondly, interaction between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 was increased after the instruction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e activity-skill matrixes during classroom activities. Thirdly, the initiative social skills and interaction skill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generalized in uninstructed settings and maintained for four weeks after intervention had finished. These results show that instruction in an integrated classroom using Activity-skill Matrix has effects on initiative social skills and interac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increases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ose skills without prompting from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8 A. 장애유아에 대한 또래 상호작용 중재 = 8 B. 통합된 교실환경에서의 또래 상호작용 중재 = 18 C. 활동-기술도표를 이용한 또래 상호작용 기술 교수 = 25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34 A. 실험대상 = 34 B. 실험기간 = 36 C. 실험환경 = 37 D. 실험도구 = 38 E.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39 F. 관찰 및 측정 = 46 G. 중재 충실도(treatment fidelity) = 46 F. 관찰자간 신뢰도 = 47 IV. 연구 결과 = 49 A. 장애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 = 49 B. 또래 상호작용 = 52 V. 논의 및 제언 = 56 A. 논의 = 56 B. 제한점 = 63 C. 제언 = 64 참고문헌 = 65 부록 = 83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66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장애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