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기정희-
dc.creator기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81-
dc.description.abstractIt is the goal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achieve maximum independent lives to carry out valuable roles as members of integrated community and be ready for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y need on appropriate support to get jobs and adapt successfully to the community as a citizens. Many studies focus on discernment of supportive strategies and essential components of program for supporting students who transit from school to the community, and present the best practices to plan and carry out effective program. Although researchers have developed many programs and have presented the best practices, they were not proved to be valid and effective. At present, there is no relate transition program and very limited effor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d such program to the fiel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3 groups on the important of components of the best practices presented by former researche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54 person: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high school teachers on special students, and the parents of mild disability students who go to the same schools. A questionnaire made of 18 item in 5 categories designed by Morningstar et al., (1999)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transition education of the subjects.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or ANOVA and Scheffe test of the follow up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elements of transition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considered the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integrated school and community, career pathway and contextual learning were importan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e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social skill training, follow-up studies and program evaluation were important. An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recognized social skill training, school-based related services,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were important. 2.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8 elements of 18 ones between groups on the important elements of transition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considered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and student involvement and self-determination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di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focus curriculum on postschool outcomes,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and flexibility in planning were important an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recogn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schools, school-based related services, availability of postschool adult servic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did. 3.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1 category of 5 ones,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between the 3 groups.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considered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was les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and the experts thought it very important. 4. According to the teacher measur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awareness of importance on comprehensive vocational assessment, focus curriculum on postschool outcomes and personnel preparation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em more important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According to the teacher year, the teachers who have thought under 10 years thought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school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ers who have thought over 11 years did.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identifying and matching environmental supports between the teachers who had taken transition workshop and those who had not. On appling the workshop to his/her work,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personnel preparation and follow-up studies and program evaluation between the group which had taken workshop and the group which had not. 5. According to the family measure, on the different awareness of importanc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parent age and education level, income, and gender of disabled child. The parents aged under 40 thought interagency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focus curriculum on postschool outcom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program structur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parents aged over 50 did. The parents who got college diploma, fathers recognized 4 elements were more important and mothers 11 elements than the parents who got high school diploma did. The less income was, the more important student involvement and self-determination was. According to gender of the disabled student, families of girls thought availability of postschool adult services was more important than families of boys did. On the survey of postschool plan of child, 65% respondents said they will tak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Over 85% students took programs to prepared for job including part-time jobs, full-time jobs and learning other skills. In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important elements of transition program betwee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mild disabled students.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aware of elements important which were presented as best practices and were proved their effectiveness and validity by the former studie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elements important which related to instruction needed urgently in our current educational field. And the parents of mild disabled students recognized postschool supports were important. On the different awareness between 3 groups, especially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sidered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wa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families appraised least i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offer basic data to design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 transition program in the future. To design effective transition program, transition program which is considered different awareness between 3 groups, applied to field possibly and is considered parents needs should be developed. ; 장애아동과 장애청소년의 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이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비장애인과 통합된 환경에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가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만족한 삶의 질을 가지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고등학교 졸업 후 지역사회로의 전이시기는 공교육을 마치고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인 생활과 역할을 수행해야 할 성인생활을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더욱 많은 지원과 준비가 필요하다. 이시기의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전이를 위한 서비스와 지원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 더욱 집중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지역사회로의 전이를 위한 지원전략과 전이프로그램의 필수 구성요소를 판별하는데 초점을 두었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계획과 실행을 위한 최상의 실제들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최상의 실제들을 제시하였으나 타당성과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적다는데 초점을 두고, 최근연구들은 최상의 실제들의 효과성을 판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도 장애학생의 성인기 생활을 준비시키기 위해 전이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한들로 인하여 아직 체계적인 실행단계에 있다고 할 수 없다. 아직 국내의 연구들이 전이교육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현장과 연계되는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은 더욱 제한적인 상황이다. 더욱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지원은 현재 상황에서 더욱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들을 위해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전이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들을 반영한 교육과정과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로 고안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전이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로 제시한 요소들을 문항으로 작성하여 특수교육 전문가와 특수교육 교사, 경도장애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전이교육 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들에 대한 집단간, 집단내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교의 특수교육학과와 직업재활학과에 소속된 교수와 서울시내 12개 특수학교(정신지체, 정서장애학교)와 9개 일반고등학교(특수학급)의 특수교육 교사와 동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장애학생의 부모 총 454명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Morningstar와 동료들(1999)이 제시한 최상의 실제들을 바탕으로 5개 범주의 하위 18항목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범주와 요소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을 위해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육 교사, 경도장애학생 부모의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 인식은 특수교육의 전문가의 경우에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학교와 지역사회 통합, 적절한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현장훈련, 둥의 순위였고, 특수교육 교사는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사회성기술 훈련, 사후연구와 프로그램구성 등의 순위로 중요도를 인식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는 사회성기술 훈련, 학교중심 관련서비스,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등의 순위로 중요도를 인식하였다. 2.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집단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18개 요소 중 8개의 요소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 전문가는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학생참여와 자기결정기술 교수 요소에 대해 다른 두 집단보다 중요도를 높게 인식했고, 특수교육 교사는 졸업 후 성과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 가족참여, 계획의 유연성 요소에서, 장애학생 부모는 학교의 직업재활 상담가, 학교중심 관련서비스, 학교졸업 후 성인서비스 이용 요소에서 다른 집단보다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3.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범주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5개 범주 중에서 1개의 범주 즉, 가족참여에서 세 집단간 인식차이를 보였다. 장애학생부모가 가족참여에 대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한 반면에 교사와 전문가는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교사와 가족의 차이가 확연했다. 4. 교사 변인에 따른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차이는 소속, 교사경력, 전이교육연수 유무, 연수내용적용 유무에 따라 알아보았다.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간에는 특수학급 교사가, 교사경력10년 이하와 11년 이상 두 집단간에는 경력이 10년 이하인 교사가, 전이교육 연수 유무에서는 전이교육을 받은 교사가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으며, 전이교육연수내용 적용유무는 연수를 받은 집단이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5. 가족변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연령과 학력, 가정의 수입, 장애자녀의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연령이 40대 이하 일 때, 부모의 학력이 대졸이상일 때, 중요도를 높게 인식했고, 가정의 수입이 낮을 수록 학생참여와 자기결정기술 교수 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가족이 학교졸업 후 성인서비스이용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졸업 후 계획은 응답자의 65%가 직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다고 하였으며, 자녀의 미래에 대해 상담하고 싶은 대상으로는 다른 특수교육 전문가(26.2%)를 가장 선호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해 특수교육 전문가와 특수교육 교사와 경도장애학생 부모는 서로 인식차이를 보였다. 즉, 특수교육 전문가는 선행연구들이 최상의 실제로 제시하고 효과성과 타당성을 입증한 요소들에 대해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고, 특수교육교사는 현재 우리 교육현장에서 시급히 요구되는 교수와 직접 관련되는 요소들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경도장애학생의 부모들의 인식은 학생의 졸업 후를 고려한 지원의 욕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구성요소에 대한 집단간차이는 8개 요소에서 차이가 났으며, 그중 가족지원망과 가족참여 요소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이 전이교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전이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전이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우리나라 전문가와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의 의견차이를 반영하고, 효과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개발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고려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학교와 부모의 장애학생교육에 대한 이견(異見)을 고려하여 학교와 가족의 협력체제와 부모욕구가 반영된 전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전이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 7 B. 학교에서 성인생활로의 전이 = 13 C. 효과적인 전이프로그램 = 17 1. 전이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 = 17 2. 전이프로그램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 = 19 3. 전이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42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47 A. 연구 대상 = 47 B. 연구 도구 = 49 C. 연구절차 = 49 D. 자료의 처리 = 52 IV. 연구 결과 = 54 A.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육 교사, 경도장애학생 부모의 전반적인 인식 = 54 B.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집단간 인식차이분석 = 57 C.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범주별 인식차이 분석 = 60 D. 변인에 따른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육교사, 경도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 62 V. 논의 및 제언 = 71 A. 논의 = 71 B. 연구의 제한점 = 93 C. 제언 = 94 참고문헌 = 96 부록 = 108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8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경도 장애학생 전이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비교 : 특수교육전문가, 특수교사, 장애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