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양아-
dc.creator이양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80-
dc.description.abstract유아의 놀이는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에게 중요한 활동이다. 그리고 유아의 놀이를 교육적으로 유용하고 가치있는 활동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성인의 주의깊은 관찰과 적절한 참여가 필요하다. 유아교육에서는 놀이의 중요성과 영향 및 성인의 놀이 개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에 비해 특수교육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통합교육의 영향으로 놀이가 개인차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인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면서 놀이의 중요성이 차츰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들이 어떤 놀이 행동을 보이고 특수교사는 장애유아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기초 자료의 수집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장애유아의 놀이를 활성화시키고 촉진시킬 수 있는 놀이에의 성인 참여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기교실과 같은 분리 환경의 장애유아들의 놀이와 유치원의 일반유아들의 자유놀이를 각각 관찰하여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놀이 양상 및 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들의 놀이 행동에 영향을 주는 특수교사와 일반 교사의 개입 양상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장애유아의 놀이와 교사 개입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시내에 소재하는 장애유아교육 기관의 7세 장애유아 22명과 일반유아교육 기관에 다니는 7세 일반유아 22명으로 총 44명의 유아들과, 대상 유아들이 속해 있는 학급을 담당하는 특수교사 11명과 일반교사 11명으로 총 22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유아의 놀이는 각각 10분씩 3회기 동안 관찰되었고, 교사의 놀이 개입은 각각 20분씩 3회기 동안 관찰되었다. 놀이 유형은 부분간격기록법에 의해서 측정되었고, 놀이스러움은 5점 척도의 평정지에 의해 평가되었다. 그리고 성인 개입 유형은 사건표집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놀이 유형과 놀이의 질적 특성인 놀이스러움에 있어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성인 개입 양상에 있어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교사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유아 집단은 단독-기능놀이를 가장 많이 하였고, 방관적 행동, 평행-기능놀이, 지켜보기, 비놀이 활동, 집단-극놀이 순으로 놀이를 즐겨 하였다. 이에 반해 일반유아 집단은 지켜보기, 평행-기능놀이, 집단-구성놀이, 집단-게임 순으로 놀이를 많이 하였다. 2. 놀이 유형에서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은 단독-기능놀이, 단독-극놀이, 평행-극놀이, 집단-구성놀이, 집단-게임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놀이의 질적 특성인 놀이스러움에서 장애유아 집단은 신체적 자발성 의 하위 범주들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인지적 자발성 과 유머 감각 의 하위 범주들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일반유아 집단은 전체 범주들에서 고른 점수 분포를 보였다. 4. 놀이스러움에서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은 신체적 자발성 의 하위 범주들과 놀이 도중 즐거움을 표현하고 만족함을 보여준다 의 범주를 제외한 다른 모든 범주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 성인 개입에서 특수교사 집단은 지시하기 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무관한 행동하기 ,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놀이 수행에 도움주기 , 놀이 도중 환경 재구성하기 , 소극적 관찰하기 의 유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에 비해 일반교사 집단은 지시하기 와 무관한 행동하기 의 유형을 가장 많이 보였다.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놀이 수행에 도움주기 , 소극적 관찰하기 , 놀이 유지시키기 의 순으로 놀이에 자주 개입하였다. 6. 성인 개입 양상에서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교사 집단은 놀이 유지시키기 와 무조건 도와주기 의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만 5세 장애유아들은 언어와 인지 및 사회적 능력이 지체되기 때문에 인지적 차원에서는 기능놀이를 가장 많이 하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단독놀이와 평행놀이를 자주 하였다. 또래의 일반유아들보다 초기 상상놀이 형태의 단독-극놀이와 평행극놀이를 많이 하는 반면, 높은 인지·사회적 수준을 요하는 구성놀이와 게임을 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장난감을 자기 방식대로 접촉하고 주도적으로 놀이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유아의 이야기를 듣고 웃거나 노래를 불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신체적 협응이나 활발한 움직임, 활동적인 것을 선호하는 것, 그리고 즐거움과 만족함을 표현하는 것에서는 일반유아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수교사들은 지시하기 , 무관한 행동하기 ,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놀이 수행에 도움을 주고 놀이 확장시키기 , 환경 재구성하기 의 개입 유형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반교사들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교사들이 놀이 유지시키기 와 무조건 도와주기 유형을 1회 이상 사용하는 데 비해 특수교사들은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n qualities of children s play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parated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general kindergarten, and to compare on aspects of involvement in children s play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even years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disabled young children in Seoul and 22 seven year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rom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Also, 11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1 general educatio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institution where subject children belong. The young children s play was observed three times each for 10 minutes, and the teacher s involvement in play was observed three times each for 20 minutes. Play types were measured by the way of partial-interval recording, and playfulness was assessed by 5 point measure rating paper. Types of adult involvement was measured by the event recording. As for play types and playfulness, T-test was operated to find out if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 of disabled children and group of nondisabled children, and if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roup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d solitary/functional play most often, and then enjoyed unoccupied behavior, parallel/functional play, onlooking behavior, non-play activity, and group/dramatic play in order. On the contrary, group of nondisabled children did onlooking behavior, parallel/functional play, group/constructive play, and group/game in order. 2. As for play types,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olitary/functional play, solitary/dramatic play, parallel/dramatic play, group/constructive play, and group/game. 3. As for playfulness,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got a high point from subordinative categories of physical spontaneity , and got a low point from subordinative categories of cognitive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 On the contrary,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even distribution of points. 4. As for playfulness,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parts except subordinative categories of physical spontaneity and the category of expressing enjoyment and showing exuberance during play . 5. As for adult intervention, grou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volved frequently with types like directing , doing unrelated activities , helping to perform play through verbal interaction , reconstructing environment during play , passive observing , and maintaining play in order. On the contrary, group of general education teacher showed directing and doing unrelated activities most often. And they involved frequently with types like helping to perform play through verbal interaction , passive observing , maintaining play in order. 6. As for adult involvement types, grou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group of general education teache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types of maintaining play and helping unconditionall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놀이의 특성 = 6 1. 놀이 행동 유형 = 6 2. 놀이의 질적 특성: 놀이스러움 = 9 3. 장애유아의 놀이 = 11 B. 놀이에 있어서의 성인 개입 = 13 1. 성인 개입의 영향 = 13 (1) 유아의 놀이 행동에 대한 성인 개입의 영향 = 13 (2) 유아의 놀이스러움에 대한 성인 개입의 영향 = 15 (3) 부적절한 성인 개입의 영향 = 16 2. 성인 개입의 유형 = 18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1. 연구 대상 선정 기준 = 20 2. 연구 대상 선정 절차 = 20 3. 연구 대상에 대한 정보 = 21 B. 연구 환경 = 23 C. 연구 절차 = 24 1. 관찰 도구 = 24 (1) 사회적/인지적 척도 = 24 (2) 놀이스러움 척도 = 26 (3) 성인 개입 관찰 도구 = 27 2. 관찰 방법 = 28 D. 자료 수집 및 분석 = 29 1. 놀이 특성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 = 29 2. 성인 개입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 = 29 E. 관찰자 훈련 = 30 F. 관찰자간 신뢰도 = 31 IV. 연구 결과 = 32 A. 유아의 놀이 특성 = 32 1. 유아의 놀이 행동 유형 = 32 (1)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의 놀이 행동 유형 양상 = 32 (2)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간의 차이 = 34 2. 유아의 놀이스러움 = 36 (1)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의 놀이스러움 양상 = 36 (2) 장애유아 집단과 일반유아 집단간의 차이 = 39 B. 놀이에 있어서의 성인 개입 = 40 (1)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교사 집단의 성인 개입 양상 = 41 (2)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교사 집단간의 차이 = 43 V. 논의 및 제언 = 45 A. 논의 = 45 1. 놀이 특성 = 45 (1) 놀이 행동 유형 = 45 (2) 놀이의 질적 특성: 놀이스러움 = 48 2. 놀이에 있어서의 교사 개입 = 49 B. 제한점 = 51 C. 제언 = 51 참고 문헌 = 53 부록 = 65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38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놀이 특성 및 교사 개입 양상에 대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