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협동학습이 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동학습이 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류은미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유아는 사회의 여러 구성원들 특히, 사회적 위치와 발달수준이 비슷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인지 및 사회적 발달을 이루어간다. 현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통합은 장애유아에게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장애유아들은 독특한 행동 특성과 사회적 위축, 사회적 기술의 결함 등으로 인해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경험하므로 장애유아가 또래와 적절히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들 사이에 자발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수업에서 구조화된 상황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협동학습은 통합된 환경에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상황을 제공하고, 참여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을 가져오고, 장애학생이 더 잘 수용되게 하고, 참여하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킨다고 알려진 학습 전략으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을 사회적으로 통합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연구가 주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통합된 유치원 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동학습이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자유놀이 시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와 유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통합된 만 3세, 4세, 5세 발달지체 유아 3명과 일반 또래아동 9명을 대상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3 명의 대상아동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가 사용되었다. 중재 단계에서 처음 3일은 협동학습 훈련을 실시하고 그 이후에는 매회 20-30분간 협동학습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 자료는 협동학습 활동 전 자유놀이 시간에 10분간 등간기록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그리고,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가 종결된 지 4주 후에 각 아동마다 5회기동안 10분씩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 대상아동 1, 2, 3과 또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율이 모두 증가되었다. 둘째, 협동학습이 종료된 후 유지기간에 대상아동 1, 2, 3과 또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율이 모두 기초선에 비해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협동학습은 본 연구에 참여한 발달지체유아 3명과 또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4주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협동학습은 유치원에서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와 또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초·중등학교에서 실시된 협동학습의 효과를 유치원에까지 확장시킨 것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the social interaction for developmental delayed children. For this purpose, 3 developmental delayed children and their peers, 12 nonhandicappe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one kindergarten. Multiple baselines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In processing the test, cooperative learning have been carried out to subjects for 20-30 minutes and during free time before each training, the interval recording has been used for 10 minutes to collect data. For maintenance of social interactions, each child received five sessions of maintenance four weeks after 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rate of target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with nonhandicapped peers increased. Second, in the maintenance test, target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with nonhandicapped peers maintain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s cooperative learning as a means to promote mainstreamed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be one of good methods for these effort to develop developmental delayed children s social interactions in the integrated kindergart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