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협동학습을 통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 7학년 소설단원의 협동학습 모형 고안을 중심으로

Title
협동학습을 통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 7학년 소설단원의 협동학습 모형 고안을 중심으로
Authors
남웅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의 문학교육은 문학 작품을 통한 자아의 실현과 문학 능력의 신장, 문학 문화 발전에 목표를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총체적인 문학교육 목표에 역동적인 교수 학습 방법인 협동학습을 주목하였다. 협동학습을 통한 문학교육은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을 능동적인 자세로 감상할 수 있어 문학능력의 신장이라는 문학교육 목표에 부합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역동적인 문학 교육목표와 문학 교과의 특수성을 실현시키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협동학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실제 소설 교수 학습시에 적용시킬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을 고안하고 이를 7학년 국어교과서 소설단원에 적용시킴으로써 모형의 실제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II장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과 협동학습의 관계를 통해 협동학습의 위상과 문학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제 7차 교육과정의 구성주의적 교육관, 자기주도적 학습관, 수준별 교육관의 특성을 통하여 협동학습의 당위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의 개념을 밝히고 문학교육에서의 협동학습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III장에서는 소설교육에서의 협동학습 활용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지 분석과 기존의 협동학습 모형의 소설교육 적합성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존의 모형 유형들은 구조적으로는 상호 학습이라는 협동학습의 원리를 나름대로는 잘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더 나아가 창작에 이르는 총체적인 문학능력을 향상이라는 문학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협동학습의 원리와 문학영역의 특수성을 구조적인 실현하고 수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효성 있는 소설교육 협동학습의 모형의 고안이 필요성이 제기된다. IV장에서는 협동학습을 통한 소설교육의 교수 학습의 실제로 소설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7학년 국어교과서 소설제재 단원에 적용하였다. 소설교육의 협동학습 설계원리를 구체적으로 실현시킨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협동학습 계획으로 학습목표 설정과 학습자 선수 학습 능력에 따른 이질적인 모둠 형성이다. 두 번째 단계는 학습자들에게 협동학습 소개한다. 세 번째 단계는 모둠별 과제 토론 및 역할분담으로 모둠별로 과제를 토론하고 학습과제의 개인별 역할 분담이 실시되는 단계이다. 네 번째 단계는 모둠별 텍스트 읽기 중 쓰기 과제 활동으로 개인별 과제 활동, 모둠내 발표 및 토론이 이루어진다. 다섯 번째 단계는 모둠별 텍스트 읽기 후 쓰기 과제 활동으로 개인별 과제 활동, 모둠내 발표 및 토론이 이루어진다. 여섯 번째 단계는 모둠 과제 발표로 학급내에서 모둠별 발표가 이루어진다. 일곱 번째 단계는 평가로 교사의 모둠별 평가, 모둠내 학습자 상호 평가 그리고 개인별 성취도 평가를 실시한다. 이 때 개인별 성취도 평가는 향상 점수에 대한 부가 점수를 부여하는 개인별 퀴즈평가와 학습자 성찰일기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소설교육의 협동학습 모형을 7학년 국어교과서 소설 단원에 구체적인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문학교육 방법으로서의 협동학습은 문학작품을 능동적으로 이해, 감상하고 이를 문학능력과 문학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업 현장에서는 교수-학습시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협동학습모형이 외래의 기존 모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어 문학교육의 목표와 특수성을 살릴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총체적인 목표에 부합하는 역동적인 협동학습 모형을 고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문학교육에서 협동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 교수-학습지도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on the 7th curriculum was to extend of literary ability, and to develope literary culture through a literary work.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a dynamic teaching method, was noticed as the whole literary education. The literary education having relations with the cooperative learning can be coincided with its object of extension of literary ability since we can appreciate of the comprehensions and impressions over literary works in a active position.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proposed as a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realizes not only the object of literary education but also the specialization of literary subject. What is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o apply this model to novel units on the 7th Korean text, ultimately to promote the reality of it. In the second chapter, through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a cooperative learning, the statu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meaning of the literary education were considered. Through the special properties of a constituent education, a self-leading study and an ability-study, what should be was presented. Also a concep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defined and a significance of it was investigated. In the third chapter, a question for the purpose of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 of applying a cooperative learning was analyzed. Moreover the appropriateness of establish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a novelistic education was assa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existing model forms reflected the principle of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called a mutual learning system well in its own way. And yet neither the comprehension and the impression of literary work nor any improvement on the whole literary ability attained to creation was reflected. A necessity of thinking out an effective model(not only which is able to apply to the educational spot but also which is going to materialize the principl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particularity over literary field structurally) of cooperative learning on a novelistic education should be proposed. In the fourth chapter the pattern of novelistic education was presented as an actual state of teaching learning over the novelistic education through a cooperative learning. And this model was applied to the unit of novelistic subject on the seventh grade Korean curriculum. The model which realized concretely the planning theory about a cooperative learning of novelistic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 level of project of cooperative learning is a heterogeneous group formation according to a learner s initiative ability of studying as well as an establishment of studying object. Second, a level of an introduc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s done to learners. Third, a level of an organization and an assignment of parts is comprised, which assigns studying tasks and shares roles. Fourth, a level of an accomplishment of reading-writing homework by group is made up of individual subordinate learning activities, an announcement and a discussion in group. Fifth, a level of an accomplishment of after reading-writing homework by group is composed of individual subordinate homework activities, an announcement and a debate in group. Sixth, a level of a publication of group homework is formed of a statement by group in class. Seventh, a level of evaluations of a teacher by group, of mutual learners within group, and of individual achievement is executed. At this time an evaluation of individual accomplishment is based on an appraisal of individual quiz and a diary of learner s reflection that grant additional points towards the points of improvement. Such a model like cooperative learning over novelistic education was applied to a unit of novel on the seventh grade Korean curriculum by using a concrete way. A cooperative learning as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enables us not only to comprehend but also to appreciate a literary work actively and ultimately to promote a literary ability and a literary attitude.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an object and speciality of a literary education to be utilized in the teaching spot, for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is applied concretely in teaching and learning follows in existing foreign footsteps. Therefore this study is worthwhile from that point of view that contrived the dynamic model of a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coming future investigation on the model of a cooperative learning over a literary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 leading project should be achieved energetic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