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

Title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
Authors
최혜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이 지역과 성별,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들이 원하는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적 내용은 무엇인지 아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유아들이 노인에 대해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적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I.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지역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I.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III. 부모들이 원하는 노인에 대한 유아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적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J유치원과 S유치원, 그리고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H유치원과 O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65명과 그들의 부모이다. 연구 도구는 이선자(1989)의 노인에 대한 태도 와 김광숙(1987)의 노인관 척도 에 근거하여 정미실(1996)이 제작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유아용 면접 문항과 부모용 질문지였으며, 각각 176부를 배부하였다. 이 중에서 회수된 165부를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및 표준편차, t값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노인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영역은 가족 관계 면이었고,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영역은 노인의 신체적인 면이었다.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지역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지방에 거주하는 유아가 서울에 거주하는 유아보다 노인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노인의 가족 관계 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노인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노인의 가족 관계 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즉 노인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조부모와 동거 경험이 있는 유아와 그렇지 않은 유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들이 원하는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적 내용을 알아본 결과 노인에 대해서 존경하기와 사랑하기, 잘 보살펴 드리기를 포함하는 효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교육적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항목은 예절, 가계 계승, 노인의 특징, 인간의 성장과정, 옛날 노인들의 시대상과 풍습, 친조부와 외조부의 구분에 대한 순서로 나타났다.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5 years old children on the elderly, and how different the perceptions are according to the gender, the region,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For the purpose described above,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I. What is the perception of children on the elderly, and how different the perceptions are according to the gender, the region? II. How different the perceptions of children o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III. What is the educational contents, children s parents want for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65 children, 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and who are in 2 kindergartens in Seoul and 1 kindergarten and 1 day care center in Kanglung City. For this study, measuring instrument was used by Jung, Mi Sil(1996) was adapted and supplemented. That questionaire originated in Lee, Sun Ja(1989) and Kim, Kwang Suk(1987). In the procedure of study, individual questionaire interview was executed to the children. For the methods of data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the children on the elderly was family-relationship and the most negative perception was physical feature.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s o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region. The perceptions of the children in the province were the more positive than those of the children in the city, and the perceptions of the girl were the more positive than those of the boys. Second, the perception toward the elderly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Third, the educational contents, children s parents want, is the filial piety. And the next were courtesy, pedigree succ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growth process of the human being the phases of the age and customs of the elderly, discrimination of grandparents on the maternal side and on the paternal si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