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와 불일치에 따른 학습 효과 비교

Title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와 불일치에 따른 학습 효과 비교
Authors
손영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학습자는 다양한 자료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축적하며 관리하는 능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를 기초로 새롭고 가치 있는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도 요구된다. 이제 학습자들은 단순히 주제에 대해 많이 아는 것보다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정보를 찾아내어 이를 실제 과제수행이나 문제해결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능력이 변화됨에 따라 학습환경 또한 이러한 능력을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정보 및 지식 창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학습 환경으로 Rakes(1996)는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자원기반학습은 교실에서 교사가 해주는 설명만을 듣고 학습하기 보다는 외부의 다양한 학습 자원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학습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원기반학습 환경을 통해 풍부한 학습 자원을 제공해 주는 것만이 학습 효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자원기반학습이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자원 뿐만 아니라 자원기반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도 상당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마련과 더불어 학습 과정 중에 학습자의 인지전략을 고려한 교수전략이 제공된다면 학습은 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연구는, 자원기반학습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거나 일반적 수준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학습자의 특성이나 교수전략과 연계하여 자원기반학습 효과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기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장의존, 장독립-과 교수전략-장의존적 교수전략, 장독립적 교수전략-이 일치한(match) 경우와 불일치한(mismatch) 경우, 학습자의 성취도 및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루어진 세부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장의존 및 장독립 인지양식과 제공된 교수전략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학습자의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1-1.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전반적인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1-2.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내용 영역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1-3.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조직화 영역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장의존 및 장독립 인지양식과 제공된 교수전략의 일치/ 불일치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E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이 일치한 집단과 불일치한 집단으로 나누어 자원기반학습을 수행한 후, 학습자의 성취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9월, K 교과목을 수강한 E대학 학부 1, 2학년생 105명 중에서 실험의 모든 과정에 참여한 학습자 55명의 결과만이 최종 결과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 절차는 첫째, 잠입도형 검사지(EFT)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인지양식을 측정하였으며, 둘째, 자원기반학습 오리엔테이션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자원기반학습 과제와 자원리스트, 그리고 자원기반학습 과제 수행의 지침 등을 제공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4주간 자원기반학습을 수행하며, 과제와 관련된 교과 내용의 수업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자원기반학습 오리엔테이션과 본 수업 시에 학습자들은 두 개의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져 한 집단은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받았으며, 다른 한 집단은 인지양식과 불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받았다. 마지막으로 4 주간의 자원기반학습 수행 후 학습자들은 과제를 제출하였고, 만족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도구는 자원기반학습 오리엔테이션 매뉴얼과 4차시 분의 본 수업 매뉴얼, 성취도 검사도구와 만족도 검사도구이다. 자원기반학습 오리엔테이션 매뉴얼과 본 수업 매뉴얼은 교육공학 전문가 4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아 사용되었으며, 검사도구는 교육공학 전문가 3인의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한 후 사용되었다. 한 편, 두 집단의 성취도 및 만족도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두 집단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했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학습자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치 집단의 성취도(평균=30.78, 표준편차=3.68)는 불일치 집단의 성취도(평균=28.36, 표준편차=4.16)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2.265, df=53, p<.05). 둘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내용 영역 성취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치 집단의 점수(평균=19.78, 표준편차=2.25)와 불일치 집단의 점수(평균=19.09, 표준편차=2.48)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1.07, df=53). 셋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조직화 영역 성취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치 집단의 점수(평균=11.00, 표준편차=2.30)와 불일치 집단의 점수(평균 9.29, 표준편차=2.12)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2.871, df=53, p<.05). 넷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치 집단의 만족도(평균=3.75, 표준편차=.542)는 불일치 집단의 만족도(평균=3.26, 표준편차=.530)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3.267, df=53, p<.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했을 때, 학습자의 성취도는 향상되었다. 따라서 자원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도를 높여주기 위한 전략으로 인지양식에 일치한 교수전략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의 내용 영역 성취도(적절성, 관점의 명확성, 객관성, 성찰, 창의성)에 있어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공된 교수전략이 대부분 과제의 내용 측면을 다루기 보다는, 자원 관리법, 과제수행 지침, 지원체제 이용법 등 과제수행의 관리 측면을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셋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의 성취도 중 조직화 영역(정보 수집, 정보출처의 다양성, 정보 조직)의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습자는 인지양식에 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받았을 때, 더욱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찾아내어 논리적으로 조직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일치하는 교수전략을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자원기반학습을 실시할 때에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일치되는 교수전략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보다 편안한 조건과 환경에서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면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인터넷 정보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자원기반학습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하여,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의 일치/불일치가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직도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자원기반학습의 실증적인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 환경, 학습자, 학습 내용에 따라 자원기반학습의 효과적 설계방안을 탐색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학습자는 자신의 인지양식에 맞는 교수전략을 제공받을 때 더욱 잘 학습할 수 있다 는 가정이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의존 및 장독립 인지양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인지양식은 장의존 및 장독립 이외에도 사려성 및 충동성, 분석적 및 전체적 등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자원기반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기타 인지양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하여 자원기반학습과 같이 융통적이고 학습자 중심적 학습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느끼는 인지적 부담의 정도가 성취도 및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원의 적절한 양, 자원 제공 방식, 지원 체제의 종류 등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인지양식과 교수전략이 일치한 집단과 불일치한 집단으로만 집단을 구분하였으며, 장의존적으로 일치하는지 혹은 장독립적으로 일치하는지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장의존적 학습자와 장독립적 학습자는 특성이 뚜렷이 다른 만큼 성취도나 만족도의 세부 항목에서 서로 다른 점수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앞으로는 집단을 보다 세분화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평가 결과의 객관성 확보와 학습진도 일정에 따라 자원기반학습 단계 중 출판, 성찰, 평가 등의 단계는 제외되어 설계되었다. 그러나 자원기반학습에서 학습자들은 수집된 자원을 요약, 정리하여 결과물을 만들어 낸 뒤, 그것을 동료 학습자와 함께 공유하며 함께 평가하고 자신들이 수행한 자원기반학습 활동에 관하여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갖음으로써 학습 효과를 신장시킬 수 있으므로 자원기반학습의 모든 과정을 실행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In 21st century 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learner should get meaningful idea from many resources. One has to use those information, for the better conversation with others, and need an ability to control those information. Further, one needs to have an ability to create better information based on one s basic concept. Learner must be able to complete variety tasks with those free and independent resources by studying those rather than being a professional in one field. In consequence, new environments are required for learners to create those ability as needs of learner s ability differ from the past. Rakes(1996) suggested needs of Resource-Based Learning to develop the ability of one s intellectual creativity in intellectual information society. In environment of Resource-Based Learning(RBL), one would learn certain subject by experiencing resources not just listening from teacher. However, just providing studying resources wouldn t be effective to have expected outcome. To reach best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es of Resource-Based Learning should be empathized. Under this circumstance, with providing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proper instructional strategy would lead better outcome. Addition to Resource-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strategy, if cognitive styles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processes, strong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would be mad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actual effect of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would be divided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to field dependence and field independence group. Through research materials gathered from two group, we will try to find out the level of effectiveness to learner in achievement score and satisfaction. The details of the research are follows: 1. Is there any effect of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on the students achievement? 1-1. Is there any observed difference of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general? 1-2. Is there any observed difference of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students content learning achievement ? 1-3. Is there any observed difference of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students information organization learning achievement? 2. Is there any effect of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order to questions mentioned above, the experiment is processed with 55 undergraduate students of E women s university. After evaluating levels of cognitive styles of subjects through Embedded Figure Test (EFT) , the learning process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was carried by subjects. Under those conditions, one group was provided field depend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the other was provided field independent instructional strategy. The learner 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ere evaluated fro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below. First,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data show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achievement. Achievement scores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atch environment, are average=30.78 and SD=3.68. Achievement scores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ismatch environment, are average = 28.36 and SD = 4.16 (t = 2.265, df=53, p<.05). Second,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data show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ontent learning achievement. Content learning achievement scores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atch environment, are average = 19.78 and SD = 2.25. Information content achievement scores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ismatch environment, are average = 19.09 and SD=2.48 (t=1.07, df=53). Third,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data show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information organization learning achievement. Information organization learning achievement scores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atch environment, are average=11.00 and SD=2.30. Information organization learning achievement scores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ismatch environment, are average = 9.29 and SD = 2.12 (t = 2.871, df=53, p<.05). Fourth,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data show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atch environment, are average=3.75 and SD=.542. Satisfaction of a group which has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ismatch environment, are average = 3.26 and SD = .530 ( t = 3.267, df=53, p<.05). From those analyses above, I made a concluding remark: First, match group s achievement score in the Resource-Based Learning was superior to mismatch group. Therefore, providing matched instructional strategy to cognitive style is effective to improving learner s achievement score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in the content learning achievement(appropriateness, clearcut focus, objectivity, self-reflection, creativity), my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ch group and mismatch group. It can be said that to use of instructional strategy on this study handled management of process, not contents of task. Third, match group s achievement score in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learning achievement was superior to mismatch group. In other words,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match group could effectively search various information sources and could logically organize it.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providing matched instructional strategy to cognitive style is effective to improving learner s information organization learning achievement (information gathering, variety of information source, and organization of information)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Fourth, providing matched instructional strategy to cognitive style is effective to improving learner s satisfaction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As a result, providing match of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which would lead learner feel more comfort, will lead better learner to achieve satisfaction under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Notwithstanding the result, additional suggestions are accompanied on the basis of the summary. First, to realize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which the importance are growing in intellectual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how match and mismatch of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affect to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However, this study treated only a small part of Resource-Based Learning. Therefore, more studies of Resource-Based Learning based o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subject of study are needed to collect more data of Resource-Based Learning. Secon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Learners can achieve better study results under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match environment . . This study only applied field independence and field dependence out of many cognitive styles to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examine above hypothesis is applicable to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more studies of various cognitive styles (Impulsivity / Reflectivity, Analytic / Global) are necessary. Thir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re affected by the cognitive load learners have in the flexible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like Resource-Based Learning. Therefore, following studies finding out concrete plans such as the proper amount of the resources, the resource offering modes, kinds of support system should be done in order to reduce learner s cognitive load. Fourth, the groups were only divided according to match and mismatch between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this study. However, different results could come out between field-dependence learners and field independence learners because of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more studies about Resource-Based Learning should be made in more detailed groups. Finally, the publication, reflection and evaluation of outcomes are excluded among stages of RBL for earning objective outcomes as well as the class schedule of experimentalist. However, RBL can be more effective when sharing of outputs, self-reflection of learning and self-evaluation of outcomes are added by learners as learner centered learning. Therefore, studies about all the stages of RBL should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