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가정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고등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의 차이

Title
가정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고등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의 차이
Authors
김미윤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정보화는 사회발전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정보화의 과정에서 야기되는 불평등의 문제 또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교육환경(하드웨어보유도, 정보교육관심도) 및 학생의 성별에 따라 학생의 컴퓨터 활용(활용능력, 이용유형, 활용목적)과 정보화 인식(정보화수준, 정보화전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정보격차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교육환경 및 학생의 성별에 따라 학생의 컴퓨터 활용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교육환경, 학생의 성별에 따라 학생의 정보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가정의 정보교육환경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가정의 정보교육환경을 통하여 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다섯째, 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2000학년도 서울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남·여학생 9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자료의 분석은 4원분산분석, 검정, Pearson 단순적률상관계수 산출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수준에 따라 학생의 컴퓨터 이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주로 게임, 음악/동영상, 정보검색의 순서로 이용을 하고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상위 수준은 정보검색을, 하위 수준은 게임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활용목적도 상위와 중위 수준은 정보와 자료수집, 하위 수준은 게임으로 차이가 있었다. 상위 수준일수록 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정보화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정보화 전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지만,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하위 수준의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이고, 중위 수준이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위 수준의 학생들이 정보화를 통한 사회이동을 기대하고 있으며, 중위 수준의 학생들은 현실 사회적 여건에 비추어 정보화에 대해 비교적 냉정한 기대를 하고 있다고 풀이해 볼 수 있다. 둘째, 가정의 정보교육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 활용능력과 정보화 수준이 높고 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가정의 하드웨어보유도가 상위 수준인 경우 주로 음악/동영상을, 정보교육관심도가 상위 수준인 경우 정보검색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하드웨어보유도와 정보교육관심도가 중·하위 수준 학생들은 주로 게임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상위 수준일수록 교육연한이 길고 긍정적인 정보화 전망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의 모든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들은 컴퓨터 활용능력, 이용경력, 교육연한, 정보화 수준에서 여학생 보다 높았으며, 컴퓨터에 대한 의미와 정보화 전망도 긍정적이었다. 특히, 주로 이용하는 프로그램과 활용목적에서 남학생은 게임을 여학생은 정보검색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남·여 학생의 정보문화에 다른 특성이 존재한다는 예상을 해 볼 수 있다.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정보교육환경도 상위 수준이었다. 가정의 정보교육환경에 따라 학생의 컴퓨터 활용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감안하면, 결과적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보교육환경을 통하여 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 다섯째, 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은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었다. 먼저, 컴퓨터 이용경력과 교육연한이 길수록, 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컴퓨터를 더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컴퓨터 이용경력이 많을수록 컴퓨터에 대한 의미는 긍정적이었다. 정보화 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와 정보화 전망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컴퓨터 활용능력과 이용경력, 교육연한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정보화 전망이 긍정적일수록 컴퓨터 활용능력과 이용경력 수준이 높고, 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생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화 인식은 가정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학생의 성별에 따라 대체로 차이가 있다. 이는 가정의 차별적인 문화자본이 학생의 정보화 수준에 영향을 주어, 정보격차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불평등은 사회구조적인 문화재생산의 관점에서 탐구될 필요가 있다. ; The policy of informatization has recently been driven forward by the government on the promise that will make a better future. However, negative questions resulted from informatization have been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us I have researched if there are differences of ability using computer and understanding informatization resulted from the socio-economic status, the level of information education , and the of sex of students. I have also studied the present and the reason of the information`s gap. Research questions in this paper are as below. The first, is there the difference of ability using computer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the level of information education, and the sex of students? The second, is there the diversity of ability comprehe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m? The third, is there the gap of information education by the socio-economic status in home? The fourth, does the socio-economic status which resulted in the gap of information education in home, indirectly influence students` ability using computer? The fifth, is the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comprehending the information and the level using computer? To identify research-questions, I have surveyed 920 boys and girls students who are going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2000. In addition to I have made use of the way of ANOVA, the chi-square test,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o analyze these data.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The first,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level using computer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generally used to play a computer-game, to listen to the MP3, to watch moving screen and to do Internet surfing with order, however, the high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has normally given more attention to do Internet surfing than the low level of it. On the side of the purpose using computer, the high and middle level class have answered to obtain information and data, however the low class has responsed to play a game. Also, the degree of informationization and the importance about computer are presented so magnificient within the high and middle class, even though they don`t mean the statistical attention. The interesting-thing was the prospect about informationization. The low class has expressed the most positive view about it.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class has been shown with the most negative opinion of it. The second, students at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about information have had better ability using computer, higher position searching internet data and more positive evaluation about computer. As they have the hard ware of the better capacity, they have used computer as the means to listen MP3 and to watch moving screen with more frequency. Additionally as they possess more interest about information education, they have used to gather internet data with more pleasure. The middle and low grade of the hardware supply rate often used to play a game in comparison with others. As students are higher level, they have learned more computer skills and have more positively viewed the computer society of future. The third, we can say that the sex influence the frequence of using computer and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informationization. Most of male students has had better ability than female students in every respect of computer usage. In the view of the purpose using internet and the computer program, The remarkable difference has been observat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generally wanted to play a game, however the female students are willing to do internet surfing. As a result, we can imagine that there will be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al cultur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this truth will make the gap of information ability between male and female. The fourth, if socio-economic status is higher, the education environment for information ability is also higher. When it can be supposed that the education environment determines the ability of computer usuage, I can explain that home `s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s indirectly on the ability of computer usuage and the perception of informatiz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well-ready information. The last, there was par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and the level using computer. If students have learned the computer usuage well and have used the computer for a long time, and if they have possessed the good opinion about computer itself, they were better user of computer in comparison to bad-educated students, shorter time user and negative opinion person. Then if students use computer much more, they have better opinion about computer. If they were lanked as higher level of informatization, they have better opinion about informatization of future and they are identified well-educated students, longer-educated students, better computer users. If they also have more positive opinion about future`s informatization, they also are longer-computer users, better users, and more positive opinion person about comput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I am sure that the ability of computer usuage and the perception of informatization are correlated with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home and the sex of students. Indeed, it means that the differentiated cultural capital in home has effect on the informatizational level of students, and has resulted in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gap. Finally, I insist that information inequality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cultural reproduction more and l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