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불어교육에 있어서의 광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불어교육에 있어서의 광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진혜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그 동안 언어규범에서 벗어나지 않는 텍스트만을 교육의 교재로 삼는 교재관에 대한 회의가 일고,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하고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학계의 관심은 다양한 강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를 속출케 하였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실제 자료나 새로운 교수 매체는 유례없는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현대사회에서 대중매체로서 광고는 한 사회의 친숙한 일상생활과 문화가 녹아있는 대표적인 언어 실현의 산물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 자료로서의 교육적 가치와 구체적인 활용 방법에 대한 고찰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불어 광고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과 이에 대한 적용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실제 자료로서의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유형, 구성 및 유용성을 살펴봄으로써 광고 활용의 교육적 가치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적용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불어 교육에서 광고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 검토하였다. 설문은 광고를 활용한 실험 수업 이전과 이후 두 번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먼저 실험 수업 이전의 설문은 불어교과에 대한 흥미, 학습자의 언어 요구와 실제 자료 사용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불어 광고를 활용한 실험 수업 이후에 이루어진 설문에서는 광고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그 학습적 가치를 알아보고,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상의 어려움, 그 극복 전략 및 요구를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조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는 현대인의 일상적 생활이나 문화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기 때문에 광고 텍스트를 통하여 프랑스의 가장 최신의 사회·문화를 접하게 되며,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대중의 의사소통 양식을 그대로 구현해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활용 가치가 있다. 또한 광고의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영상과 독창적인 메시지는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동기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둘째, 불어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성취 욕구수준의 원인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겠지만, 특히 교재 구성의 측면에서 교과서의 지루하고 단순한 내용과 문법위주의 학습은 불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하였다. 이처럼 교과서가 학습자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학습의욕을 상실케 함은 불어 교과에 대한 재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해주며, 동기가 결여된 학습태도를 긍정적 학습태도로 선회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광고의 활용을 제안한다. 셋째, 언어 4기능 학습별로 이루어진 광고 활용 수업에 대하여 대다수 학생들이 광고를 통하여 프랑스에 대한 문화적 이해를 넓히고, 실용적인 어휘나 표현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며, 불어 학습에 흥미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광고는 문법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회화 중심의 실용문 학습을 기대하는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되고, 나아가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 광고언어는 학습자가 겪는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교수·학습상의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 광고의 언어가 한편으로는 교육적 여과를 거치지 않은 실제 자료의 속성으로 어휘가 산발적이고 비범주화되어 그 의미의 추측을 힘들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광고 메시지 생성에 관여하는 광고 언어적 속성으로서 광고는 압축된 언어로 가장 설득력 있는 메시지의 생성을 목표로 하는데, 이 과정에서 나타난 탈(脫)문법적 현상들과 직면하여 학습자의 의미 파악과 올바른 언어 사용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광고언어를 활용하여 불어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고 다각적인 교수계획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불어 광고를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다음의 몇몇 제안을 덧붙이고자 한다. 첫째, 외국어를 교육하는 데 있어 학습 자료의 선정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기준을 학습자 중심 교육 측면, 학습 목표 성취 측면, 목표어 문화 제시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보았다. 둘째, 실제 자료의 어휘문제에 있어서 교과서의 어휘 수에 준하여 실제 자료가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우려를 드러낼 필요는 없다. 텍스트 내 모든 어휘와 표현의 이해를 전제하지 않고, 합당한 자료 선정 기준에 따라 광고가 선정된다면 학습자의 심리적 부담은 충분히 상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의 습득에 관여하는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요구 분석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광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료로 사용되는 광고가 교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연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아울러 학습자가 진정 학습하기를 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넷째, 교과서의 보조교재로서 광고의 사용 시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를 수동적으로 만들 수 있는 과도한 설명과 반복을 피하고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자율적 학습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수업 외 과중한 업무로 인해 교수·학습 차원의 세심한 연구를 저해하는 상황 속에서 교사의 문화 능력의 한계에 대처하는 현실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현행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문화 교육 시간을 늘이고, 해외 연수 기회를 확대하거나, 광고 자료 은행을 운영하여 자료나 교수기술을 소개하고 참고할 수 있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Avec le progre`s de la te´le´communication, augmente de plus en plus l occasion des e´changes entre les individus et ils sont permis de contacter plus facilement avec les documents de la langue cible a` l aide de l internet. a` cet e´gard, il va sans dire que la compe´tence communicative est absolument exige´e. L approche communicative met l accent non seulement sur la connaissance du savoir linquistique mais surtout sur la compe´tence du savoir-faire communicatif. Bien que le manuel de franc¸ais du lyce´e soit e´labore´ dans cette finalite´, il est loin de la de´velopper dans les situations de la classe en Core´e ou` la majorite´ des apprenants manquent de motivation pour cette langue. De plus, le manuel pre´sente souvent les exercices de structure sans situation. C est pourquoi on a besoin d utiliser d autres types de mate´riaux auxiliaires afin de susciter l inte´re^t des apprenants et de pouvoir re´aliser la communication naturelle avec les gens du pays dont nous apprenons la langue. Dans ce contexte, il nous reste de savoir quels documents authentiques choisir ou comment les re´aliser en classe? Pour re´pondre a` cette question, nous avons d abord examine´ les caracte´ristiques de la publicite´ qui prend aujourd hui une place e´norme dans la vie quotidienne des gens. Elle pre´sente les situations de communication abondantes, e´crite ou orale sans e^tre filtre´e par les ne´cessite´s pe´dagogiques. e´tant donne´e que la langue refle`te la socie´te´ a` un moment donne´, la publicite´ peut nous montrer vraisemblablement des pratiques socio-culturelles repre´sentatives, voire authentiques. De ce point de vue, nous pouvons conside´rer que l introduction et l utilisation de la publicite´ sont ne´cessaires en classe de langue. Notre e´tude se constitue en quatre chapitres. D abord dans le chapitre II, nous avons mene´ une e´tude the´orique sur la publicite´, la communication, et la pertinence de la publicite´ dans la classe de langue. Ensuite, dans le chapitre III, nous avons pre´sente´ les expe´rimentations (questionnaire et pratique de classe) effectue´es aupre`s des apprenants et nous les avons analyse´es. Enfin dans le chapitre IV, a` partir des re´sultats de cette enque^te, nous avons donne´ des conclusions, y ajoutant quelques re´flexions. Voici nos conclusions : Premie`rement, la publicite´ permet une pe´dagogie des aspects socio-culturels non moins que des aspects langagiers. Ses images attirantes voire dynamiques et ses messages d esprit suffisent pour capter l attention des apprenants et les regards vers les documents. Gra^ce a` ces me´rites conside´rables, elle permet aussi une pe´dagogie stimulante. Deuxie`mement, nous avons cherche´ a` trouver des causes du manque d animation pendant la classe. Le re´sultat de cette analyse nous a montre´ les raisons suivantes : le contenu et les sujets des maunels de franc¸ais ne tiennent pas compte du niveau intellectuel et psychologique des apprenants, donc ils sont monotones. En outre, les enseignants demandent souvent des exercices gramaticales excessives. Troisie`mement, la plupart des apprenants pensent que l utilisation de la publicite´ est tre`s efficace pour une meilleure compre´hension socio-culturelle et une acquisition des langues vivantes sous les aspects lexicales ou syntaxiques enrichissants, et une volonte´ d apprentissage plus forte. Quatrie`mement, les enseignants doivent essayer d utiliser la publicite´ comme outil didactique. Ils doivent non seulment savoir utiliser les mate´riaux dont ils disposent mais surtout e^tre capable de les exploiter de fac¸on efficace pour la pratique de classe. De plus il faut qu ils introiduisent et renouvellent les activite´s pe´dagogiques divers pour maintenir l inte´re^t communicatif produit chez les apprenants par l utilisation de la publicite´. Face aux obstacles psychologiques des apprenants qui se heurtent contre des vocabulaires inconnus, des formes parfois grammaticalement incorrectes de la publicite´, il faut les conduire a` se concentrer pluto^t sur le sens gobal que celui d un mot. Pour finir, nous avons ajoute´ des propositions suivantes : Au niveau de la se´lection des documents, il est ne´cessaire de retenir trois crite`res : des besoins des apprenants, leur niveau en franc¸ais et des buts du cours. Afin de faciliter le travail dur des enseignants, il est e´galement souhaitable d e´tablir un syste`me de banque de donne´e sur internet ou` l on peut trouver et partager les publicite´s adaptables a` des fins didactiques et les techniques d enseignement pour la pratique de la clas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