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희-
dc.creator이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15-
dc.description.abstract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청소년들은 흔히 주의력의 결핍 및 과잉행동 때문에 학습적, 사회적, 정서적인 면에서 과업이나 활동을 체계화하는데 어려움을 지니게 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청소년들에게 음악치료를 통해 과잉행동을 줄이고, 집중력을 증진시키며, 사회성향상에 도움을 주어 그들의 삶 속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를 자신감을 가지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사례연구의 대상은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와 중증복합장애로 진단받은 2명의 청소년이다. 이들은 일산 홀트타운에 소속되었으며, 나이는 10세와 12세의 남아이다. 연구의 기간은 2000년 4월 4일부터 2000년 10월 24일까지 실시되었고, 각 회기는 30분 동안 비연속 주 1회 실시되었다. 이들에 대한 연구 문제는 1) 12회의 음악치료를 통해 얼마만큼 집중력이 증진되었는가? 2)사회 연령 수준이 매우 낮은 한 명의 청소년과 중상(中上)의 청소년을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 시켰을 경우 집중력이나 사회성에 차이가 있는가? 3) 조건강화와 음악이 함께 제공되었을 경우와 조건 강화를 하지 않고 음악만 제공되었을 경우에 차이가 있는가? 등이다. 이상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검사도구 한국 아동 인성검사(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와 사회성숙도검사(Social Maturity Scale) 및 청소년용 COPELEND증후 체크리스트(Copeland check list)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음악치료에 대한 자료분석을 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이들의 주요 문제점인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사회성의 결여 등을 고려하여 집중력증진 프로그램과 사회성 향상프로그램에 초점을 두었고,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청소년 음악치료 시에 사회연령이나 사회지수가 크게 차이 있는 내담자를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주요 문제인 과잉 행동을 감소시 키기 위해 종소리 제시와 함께 즉흥음악, 녹음된 음악을 감상하 게 하여 집중력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례1은 1 회기에서 76.7초 였으나 12회기에서는 173.3초로서 전체적으로 96.6초(약1.3배)증가 하였고, 사례2는 1회기에서 21.0초 집중하던 것이 12회기에서는 165.3초로 전체적으로 123.3초(약6.8배)증가하 였는데, 1회기당 평균 10.3초 증가하였다. 2. 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음악이 중심이 된 활동들을 통 해 눈맞춤, 돕기, 나누기, 관심, 접촉시도 등을 하였다. 그 결과 사례1은 KPIC 사전검사 상에서 운동발달척도(PDI)87, 언어발달 척도(VDL)84, 과잉행동척도(HPR)76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 서는 운동발달척도(PDI)55, 언어발달척도(VDL)71, 과잉행동 척도(HPR)64로 나타났다. 특히 운동발달척도가 사전보다 사후에 32%나 떨어진 것이다. 사례2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과잉행동 척도(HPR)90, 가족관계(FAM)86, 자폐증(AUT)79가 주요문제로 나 왔으나, 사후검사에서는 과잉행동척도(HPR)78, 가족관계 (FAM)84, 자폐증(AUT)76으로 나왔다. 3. 사회연령수준이 중상 정도인 사례1과 낮은 사례2를 같은 프로그 램에 참여시킨 결과 사례1은 집중력이나 사회성에서 많은 향상 을 보였다. 사례2도 향상은 하였지만 사례1이 향상하는 만큼 효 과를 보지 못했다. 4. 음악치료 시 전반부(1-6회기)에 강화사용을 했을 경우와 후반부 (7-12회기)하지 않았을 경우 비교한 결과 강화를 사용한 전반부 가 후반부에 비해 집중력이나 사회성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음악치료는 집중력을 증가시키고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치료 방법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장애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환경과 긴 기간을 정해서 치료하면 바람직한 행동이 고착화되어 일반생활 속에서도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점에서 향후 계속하여 질 높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Adolescent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ADHD) show characteristics that they have difficalty in learning, in social adjustment and in organization of task and activity,because of their emotional disturbance and attention de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m self-confidence to deal with various difficult problem in their life through music therapy, which may reduce their hyperactivity and may improve their attention and social activity. The subjectives in this case study are two adolescent with ADHD and severe mulypsychological problems, diagnosed by pediatric psychiatrits. They are staying at Holt Town at Ilsan, Korea. and Each of them are 10, and 12 years old boys.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4th, 2000 to October 24th, 2000 and each session was of 30 minutes, once a week, intermittently done.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are 1) How much the 12 sessions music therapy can improve their attentiveness? 2) To know the difference of attention and social activity between a child with the lowest intellectual or social age and the one with the middle level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y. 3) To Know if there is difference between when the conditioned reinforcement is offered with the music and when the music is offered without conditioned reinforcement. To evaluate scientifically the objectives I used standardized psycological test instruments(KPIC,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t and Copeland check list, social maturity scale), and Copeland check list for adolescents for pre ̄ and post-psycologycal tests and analyzed data about musical therapy. Considering that their principal problem is ADHD and absence of social activity, the music therapy program focused on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social activity. And we also observed if it is desirable 2 person with considerable difference in intellectual or social age participate the program of music therapy. The result is following: 1. To reduce hyperactivity, the most important deficit in ADHD, the musical activities and songs, recorded music and improvised musicals and improvement of attention program, were offered, starting with the bell sound. In the case 1, his attention lasted for 76.7 seconds in the first session but 173.3 seconds in 12th session. There was 96.6 seconds(about 1.3times Compared with first session) of augmentation in attention time. In the case 2, his attention lasted for 21.0 seconds in the first session but for 165.3 seconds in the 12th session, with augmentation of 123.3 seconds(about 6.8times). There was an Average augmentation of 10.3 seconds each session. 2. To improve social activity, many kinds of activities mainly with music were used, such as meeting a person s eyes , helping one another , shareing with others , being interested in others and physical contact . As the result, the case 1 showed in KPIC pre-test, motor development scale (PDL)87, speech developement scal(VDL)84, hyperactivity scale(HPR)76, but in the post-test showed motor developement scale(PDL)55, speech developement scal(VDL)71, hyperactivity scale(HPR)64. Specially moter development scale reduced 32% in post-test. In the case 2, he showed, in the pre-test, hyperactivity scale(HPR)90, family relation(FAM)86, Autism(AUT)79,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s, but in the post-tests, he showed hyperactivity scale(HPR)78, family relation(FAM)84, Autism(AUT)76. 3. The subject with middle level of intellectual or social age(case 1),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attention or social activity compared with the subject with lower level of intellectual or social age(case 2). The latter(case 2) showed improvement as well, but not as much as the former. 4. In music therapy, the first half period(1-6 session), with the reinforcement showed a prominent improvement in attention and social activity, compared with the last half period(7-12 sessions), without the reinforcement. In conclusion the music therapy to improve their attention and to reduce their hyperactivity for ADHD adolescent in the study showed very positive effects, so it is very desirable method of tretment. Therefore, if an adequate therapeutic environment and longer therapeutic period adjusted for different level of deficit are provided to them they would develop a desirable behavior and more effectively live daily life. A Better program of music therapy should be developed experi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2. 연구문제 = 3 3. 용어 및 반응적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7 1.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개념 = 7 2.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특성 및 원인 = 8 3.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와 음악치료의 관계 = 12 III. 연구 방법 = 16 1. 연구 대상 = 16 2. 연구절차 = 17 3. 연구기간 = 18 4. 측정도구 = 18 5. 목표에 따른 음악치료의 계획 = 21 6. 자료처리 = 23 IV. 결 과 = 24 1. 심리검사의 결과 = 24 2. 음악치료 관찰분석 = 27 3. 두 사례간 사회성과 집중력의 차이 = 30 4. 두 사례간 강화사용의 유무에 대한 결과 = 33 5. 사례별 사회성과 집중력 프로그램의 질적인 분석 = 34 V. 논의 및 제언 = 40 1. 논의 = 40 2. 연구의 제한점 = 42 3. 제언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48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95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