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도연-
dc.creator주도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48-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는 사회이고 수많은 정보가 폭증하는 사회이며,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사회이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특징에 따라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들은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 갈등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회적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폭증하는 정보를 다양하게 수집할 줄 알아야 하고, 그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적절한 정보의 선택 능력도 요구된다. 그리고 민주사회를 지향하는 현대 사회의 구성원들은 민주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덕목을 갖추어야 하는데,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 등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선택하고, 합리적인 가치에 근거하여 자신의 입장을 명백히 밝힐 수 있으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식과 행동 실천 의지를 갖고 더 나은 방향으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자신과 타인과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것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민주 시민성이며, 나아가 이러한 민주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는 것이 사회과 교육의 목표요, 방향인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민주 시민성은 사회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를 내면화하고, 개인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밝힐 수 있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며, 집단간 대립되는 이해관계를 올바르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사회의 다양한 수준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쟁점 을 다루는 수업 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사회>과를 들여다보면, 이러한 능력을 함양시키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당히 미비하며 최근 7차 교육과정 도입 후 각 단원별로 사회적 쟁점 에 관한 주제들이 첨가되긴 하였으나, 그것을 교실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민주 시민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논쟁 수업을 제시하고, 이러한 수업을 실제로 적용해봄으로써 논쟁수업이 기존의 전통 수업보다 사회과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와 논쟁문제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논쟁수업에 관한 이론 및 논쟁수업의 개념과 이론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둘째, 기존의 학자들이 제시한 논쟁 문제를 근거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 교과 내의 각 단원의 내용에서 논쟁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식에 기초한 교육 내용을 선택하기 위하여 논쟁문제 16개 영역을 제시하고 각 문제에 대한 관심도, 중요성, 심각성 등을 조사하였다. 셋째, 경험적 연구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10학년인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사회> 교과 중 논쟁수업을 활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VI. 시민 사회의 발전과 민주 시민 단원을 중심으로 논쟁수업의 교수 학습 모형을 실제로 적용하여 논쟁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논쟁 주제는 학습자에게 미리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구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논쟁 주제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5차시 분의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넷째, 실험 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과천시 중앙동의 C여고의 1학년을 대상으로 하는데, 1학년의 전체 10개 학급 중에서 연구자 임의로 4개 학급을 추출하였다. 실험 기간은 10월 2일부터 10월 25일까지였으며, 5차시에 걸쳐서 이 4개의 학급에 존슨과 존슨(Johnson & Johnson) 의 찬반(Pro-Con) 모형과 이 모형을 근거로 한 주은옥의 찬반 협상 모형 두 가지의 모형을 적용한 논쟁수업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쟁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처치 전과 처치 후, 실험집단의 학생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논쟁수업이 전통적 수업보다 사회과의 목표 달성과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논쟁수업을 통한 민주 시민성의 향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 test), 변수에 따라 교육효과가 달라지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일원다변량 분산분석(One-Way MANOVA)이다. 위의 모든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1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95%의 신뢰수준에서 검정하였다.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논쟁수업 모형을 적용한 전체 118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과 후를 비교 해본 결과 사회과목의 인식면(중요도, 흥미도, 참여도)에 있어서 유의한 상승 효과를 보았을 뿐 만 아니라 논쟁문제에 대한 인식면, 대안 탐색 능력면,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의 절차적 원리면, 사회 참여정도 면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논쟁수업 모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평소 뉴스나 신문의 접촉 빈도, 학생의 성적, 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 의 4가지 변수에 따른 교육의 결과 차이를 비교 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육 결과에 영향을 준 변수는 평소 뉴스나 신문의 접촉 빈도 와 학생 의 성적이었다. 논쟁수업은 성적 최우수 집단과 성적 최하위 집단에게 그 교육적 효과가 가장 의미 있게 나타났으며 평소 신문을 자주 접하지 않는 학생에게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논쟁수업을 마친 후, 변화된 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호응, 이 수업을 통해서 얻을 수 있었던 것, 이러한 수업 시 희망하는 교사의 태도 등을 질문하는 설문에 있어서는 모든 부분에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크기가 작고, 연구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여러 가지 변수들을 고려했다고는 하나, 학습 분위기와 학생들의 관계, 교사와의 상호 작용과 같은 다른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적 교실 상황을 고려한 구체적인 논쟁문제 중심의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현장 교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 성과들이 교사 양성과정 및 현직 교사 연수 과정 속에 반영되어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들의 현장 경험을 풍부히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with rapid changes, significant increase in information and innate respect for democracy. Since the members of this society are exposed to various kinds of conflicts resulting from those rapid changes, they are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unravel social conflicts in a rational manner. They are also expected to be able to gather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choose suitable information for themselves. In addition, they have to be endowed with the virtues that every member of democratic society should have: conversation and discussion and concession and compromise. Therefore every member of democratic society should be able to sort out necess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make one s position clear based on rational value system, and mediate interests between oneself and others with willingness to settle problems and will to put one s thought into practice for the purpose of solving problems. That s the very democratic citizenship required by modern society and , if we go further, cultivating those democratic citizen is the direction for as well as objective of th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issue-oriented class is more efficient method of teaching to achieve the goals of social study than conventional one by using it for the class as a means of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that the democratic citizenship is main body for one s will to solve social problems more actively, to define one s position clearly, and to make decision rationally. In the first place, modern society and its issues has been studied. Then the existing theory, conception and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issue-oriented class have been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Second the groundwork for issue-oriented class has been made after understanding the applicable issues according to each unit of social studies within the context of 7-step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Third, 16 areas of controversial issue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in order to choose th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students perception with relation to controversial issue class, and their interest, importance, and seriousness have been surveyed. Fourth, for empirical study, the teaching model applying issue-oriented class was given to the first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which means that they are also 10th grade within the context of 7-step curriculum, using the most applicable unit to practice the issue-oriented class, VI.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Society and Democratic Citizen. However the controversial issue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having obtained from previously conducted survey. Fifth, the subjects are the first grade students attending C Girls High School in Jungang-dong, Gwacheon, which is also the school that the researcher has been working for and 4 of 10 classes were sampled by the researcher randoml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October, 2 to October 25, and the issue-oriented class applying PRO-CON model by Johnson & Johnson and pro-con negotiation model based on Johnson & Johnson s by Ju, Eunok has been given to those 4 classes throughout 5 times.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issue-oriented clas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all students having participated the experimen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pectively, and the result has been examined thoroughly.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issue-oriented class had been more efficient to accomplish the goals of social studies and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than conventional one. The analysis methods used here are Paired t test for investigating the degree of democratic citizenship improvement and One-Way MANOVA for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variable factors. SPSS WINDOWS 10.0 has been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and the test has been done using 95% confidence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after the class, all 118 students given the issue-oriented class model have shown significant increase not only in perception of social studies(importance, interest and participation) but also in perception of controversial issues, ability to search for alternatives, procedural principle of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dure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econd frequency of access to news or newspaper in daily lives, school record, economic status and parents academic background of a student were compared in order to examine variable factors affecting issue-oriented class. As a resul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frequency of access to news or newspaper in daily lives and school record of a student . The educational effect of issue-oriented class had much effect on the students with high marks and those with low grades. The students with little frequency of access to newspapers also have shown much educational effect. Lastly after finishing the issue-oriented class, almost all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urvey questionnaire asking how the students had felt about the class different from previous one, what they could have obtained from the class and what they had wanted from teacher about these kind of class. However this study still has a long way to go. The research period is comparatively short and many other variable factors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atmosphere and students and interaction with teacher aren t controlled complete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Consequently the research on more concrete controversial issue-centered education considering Korean classroom situ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this would be possible only when supporting policies are made and the teachers have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it. In addition, these research achievements should be reflected in teacher-training course and currently working teacher-training program so that they could help teachers-to-be and currently-working-teachers have a lot of experie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사회과 교육과 논쟁문제 = 7 A. 현대사회와 논쟁문제 = 7 B. 현대 사회와 사회과 교육 = 10 III. 기존 논쟁수업 모형의 이론적 배경 = 15 A. 하버드(Harvard)모형 = 15 B. 찬반(pro-con) 모형 = 17 C. 찬반 협상 모형 = 19 IV. 고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논쟁문제 = 24 A. 학습자 중심으로 구성하는 논쟁수업 내용 = 24 B.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과목에서의 논쟁문제 = 28 V. 논쟁수업 모형의 실제 적용 = 34 A. 연구 가설 = 34 B. 연구 대상 = 35 C. 연구 절차 및 프로그램 = 35 1. 사전 평가 = 36 2. 논쟁수업 프로그램 적용 = 38 3. 사후 평가 = 39 D. 결과 처리 = 40 E. 연구 결과 및 해석 = 41 1. 사전 검사의 결과 = 41 2. 논쟁수업을 통한 사회 교과의 인식 향상 정도 = 47 3. 논쟁수업을 통한 민주 시민성 향상 정도 = 49 4. 변수에 따른 논쟁수업의 효과 차이 (subgroup analysis) = 54 5. 논쟁문제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도 = 79 VI. 결론 및 제언 = 86 ABSTRACT = 91 참고 문헌 = 96 <부록 1> 사전 검사지 = 101 <부록 2> 사후 검사지 = 111 <부록 3> 수업 지도안 = 118 <부록 4> 수업 자료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16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사회>과 논쟁수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