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경-
dc.creator이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11-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20세기와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세계가 예측되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예측대로 발전하고 있다. 즉, 사회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이제는 정보사회로 변함에 따라 사회 여러 분야, 즉 가족, 산업조직 그리고 교육분야까지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교육체제는 열린교육, 정보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교육체제, 교사 중심의 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 정보통신 공학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갖춘 체계를 지향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망이 가져다주는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가상교육이,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 논의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들은 과거의 수동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비순차적이면서도 비구조화된 다량의 정보원으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해 내고, 또한 다른 학습자들과 정보를 교류하는 능동적인 정보 탐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자의 역할을 극대화 해주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춘 가상교육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즉 학습자 활동을 지원해 주기 위한 가상교육시스템은, 가상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어려움없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가상교육시스템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수시로 교수자나 동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가상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대학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또한 시범운영 및 실험운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상교육시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가상교육시스템에 대한 논의와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웍 기반 학습 환경에서 교수-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가상교육시스템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2.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들 중에서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능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3.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4.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연구 문제 1을 규명하기 위해, 목적적 표집 방법(purposive sampling strategy)을 통해 가상교육 사례 22개를 선정하였다. 선정 준거는 선행 연구(교육부, 1999a; 박종선, 1998; 서보혁과 손중권, 1998; Ladon, 1997)에서 언급한 준거를 기본으로 하여, 첫째 국제적인 명성을 지니고 있는 가상교육시스템, 둘째 가상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외 대표적인 기관 및 기업으로 정하였다. 세부적으로 가상교육 사례를 살펴보면, 가상교육지원시스템 10개, 기업의 가상연수원 4개, 대학의 가상대학 3개, 기타 기관의 가상교육 사례 5개의 총 22개 사례가 선정되었다. 또한 연구 문제 2, 연구문제 3, 연구문제 4를 규명하기 위해, E여대의 인터넷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406명, S사의 인트라넷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490명, L사의 인트라넷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100며, 총 996명 중 네트웍 학습 경험이 1번 이상인 학습자 23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측정을 위한 설문지”는 문헌 및 선행연구, 그리고 22개의 가상학습시스템 사례 분석을 통해 규명된 학습자 지원 기능을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여 작성하였다. 전문가 4인의 내용 타당도 검증과 네트웍 학습 경험이 있는 7명의 학습자에게 pilot test를 실시하여 각 설문문항에 잘 응답할 수 있는지 또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항은 없는지를 검토한 한 수정하였다. 연구 절차로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가상교육시스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와 가상교육시스템이 지원되는 사례들 교육공학 전문가 2인이 분석하여,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학습자 지원 기능들을 동일한 영역끼리 단위화 및 범주화한 후, 전문가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기능 중요도 및 학습 집단간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 및 선행연구와 가상교육시스템이 지원되는 사례를 분석하여 규명된 학습자 지원기능을 설문 문항으로 작성한 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거된 설문지에 대한 자료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학습자 지원 기능별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을 규명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습자 지원 기능들에서의 학생과 회사원에 대해 각각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정도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습자 지원 기능들을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 정도별로 각각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을 알아본 결과, 총 78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조사되었다. 78개 학습자 지원 기능은 크게 6가지의 영역 즉, 학습 준비 영역, 학습 자료 영역, 과제/평가 영역, 상호작용 영역, 학습 보조 영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학습 준비 영역’이란 학습을 시작하기에 앞서 학습자가 학습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영역으로, 총 8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학습 내용 영역’은 학습자가 보다 간편하고 쉽게 학습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기술적 영역으로, 총 11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학습 자료 영역’은 학습과 관련 있는 자료를 제공, 검색, 공유하는 활동을 지원해 주는 영역으로, 총 9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속하였다. ‘과제/평가 영역’은 과제나 시험, 성적 등에 관련된 활동을 지원해 주는 영역으로, 총 10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상호작용 영역’은 학습자와 학습내용간,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간, 학습자와 교사간, 학습자와 운영자간의 활발한 상호 작용 활동을 유도하는 영역으로, 총 16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보조 영역’은 학습자 개인의 정보 관리와 동료 학습자/교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며, 총 24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둘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능에 대해 알아본 결과, 78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학습 준비 영역에서는 5개, 학습 내용 영역에서는 5개, 학습 자료 영역에서는 4개, 과제/평가 영역에서는 6개,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8개, 학습 보조 영역에서는 12개로 총 40개가 중요한 기능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각각의 학습자 지원 기능의 평균이, 그 기능이 속한 영역의 평균보다 높은 것을 중요한 기능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의한 결과이다. 가상교육시스템에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써 중요하다고 판단된 기능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선 학습 준비 영역에서는 학습자들이 학습 일정을 확인한 후, 원하는 내용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M=3.94, SD= .81), 과목 소개에 변경된 내용이 있을 경우, 학습자가 게시판 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능(M=3.91, SD= .93), 중요하거나 변경 혹은 추가도니 일정에는 중요 표시나 new마크를 붙여 강조되는 기능(M=3.81, SD= .90)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학습 내용 영역에서는 학습 내용 중 언제라도 학습자가 필요한 용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M=4.19, SD= .81),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창을 마련하여, 확인 후 바로 그 내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M=4.07, SD= .74), 키워드로 학습 내용을 검색 할 수 있는 기능(M=3.97, SD= .80)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학습 자료 영역에서는 클릭 한번으로 필요한 reference 자료(article, 파일)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M=4.28, SD= .75), 다운로드 받을 자료가 많을 경우, 필요한 자료들을 선택한 후,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M=4.16, SD= .90), 학습 내용중, 심층적이고 보조적인 내용은 용어정리, 그림, 표, 관련 사이트 등으로 연결되는 기능(M=4.11, SD= .76)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과제/평가 영역에서는 파일로 과제를 제출할 수 있는 기능(M=3.95, SD= .80), 시험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시간 경과를 표시해 주는 기능(M=3.88, SD= .87), 이전 평가에 관한 결과들을 제사하여 확인하게 하는 기능(M=3.87, SD= .78) 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간, 질문을 하고 답을 제시해주는 Q&A(Question & Answer) 기능(M=4.27, SD= .77), 자신이 올린 토론 의견에 대한 수정/삭제 기능(M=4.08, SD= .84), 키워드로 Q&A(Question & Answer)의 내용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기능(M+3.95, SD= .84)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 보조 영역에서는 운영자의 E-mail주소가 공개되어 있는 클릭하면 바로 운영자에게 메일을 보낼 있는 기능(M=3.63, SD= .96),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의 과제나 project등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M=3.57, SD=1.02), 학습자들이 필요할 때 도움말(메뉴, icon사용법, 기술적 도움말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M=3.48, SD= .95)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40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학습 준비 영역에서는 4개,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8개, 학습 보조 영역에서는 11개로 총 27개 기능에 있어,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학습자 지원 기능의 중요도 인식 중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는 기능을 살펴보면, 우선 생 집단은 게시판 공지를 통해 과목 소재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는 기능(t = 3.753, p < .05), 여러 개의 자료를 한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t = 2.487, p < .05), 파일로 과제를 제출할 수 있는 기능(t = 2.806, p < .05), 토론방 기능(t = 6.217, p < .05), 자신의 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 결정(t = 6.504, p < .05)등에 있어서 회사원 집단보다 더 중요시 생각하고 있다. 반면, 회사원 집단은 과목의 전체 구조와 개요를 알 수 있는 과목 소재 기능(t = -2571, p < .05), self-test 결과를 즉각적으로 제사하는 기능(t = -2.451, p < .05)등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넷째,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1개 과정, 2개 과정 이상)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 한 결과,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40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6개 기능에 있어,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웍 학습 경험 1개 과정인 학습자들은 2개 과정 이상인 학습자들보다, 상호작용 영역 중, 토론방의 토론 내용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기능(t = -2.572, p < .05)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반면, 네트웍 학습 경험이 2개 과정 이상인 학습자들은 학습 준비 영역 중, 학습자들이 학습 일정을 확인한 후, 원하는 내용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t = 2.732, p < .05), 과제/평가 영역 중, 파일로 과제를 제출하는 기능(t = 3.042, p < .05), 상호작용 영역 중, 운영자의 답변 중 개인적인 것은 개인 E-mail로 수신되는 기능(t = 2.174, p < .05), 학습 보조 영역 중, 학습자 개별적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기능(t = 2.740, p < .05)과 학습자 정보의 공개여부를 설정하는 기능(t = 2.033, p < .05)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소속에 따라 수행해야 할 학습 목표, 필요성 및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므로 가상교육을 개발하고 운영함에 있어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차별화하여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교육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에 있어, 학습 대상자들의 네트웍 학습 경험을 고려하여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로 조사된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 78개의 항목과 이에 대한 유목화는 문헌 및 선행연구, 그리고 가상교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추출된 기능들이므로, 차후 현장 연구를 통한 타당성 확인 과정이 요구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가상교육시스템에서 학습자 지원 기능만을 규명하였다. 가상교육 시스템은 학습자뿐만 아닌 교수자, 운영자도 교수-학습을 위해 활동을 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가상교육을 위해, 교수자와 운영자를 위한 지원 기능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 The 21st century has been predicted to new paradigm different from the 20st century and has developed. That is, as our society changed in information society from agrarian society and industrial society, society caused shifts in all social systems such as family, business and education. Of the social systems, educational system has pointed to open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acquisition of ability to be adapted for information society, learning environments to utilize new technology. Especially, learner-centered virtual education through the new technology is the strongest means for paradigm shifts of education. In the learner-centered virtual education, learner’s role i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y positively such as searching the useful information from ill-structured information source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learners voluntarily. For maximizing these learner’s roles, virtual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er’s activity. That is, virtual education system should offer environments to meet learning material easily and the method to interact with teacher and peer-learner. In Korea recently, virtual university which is plan for improving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is confirmed legally. So discussion and development about virtual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to maximize learner’s activ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learner support function in virtual education system for maximizing teaching-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1. What are the learner support functions required on virtual education system? 2. What are the important learner support functions on virtual education system?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nd company employee’s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4.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once and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more than twice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To examine the question No.1, 22 cases of virtual education system were selected, and to examine the question No.2, 3, 4, 231 learners experienced in network learning more than once at least were selected. And the 231 learners responded the questionnaire to rate importance of each learner support function. Outlined below is the procedure that was followed in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o examine learner support function, researcher and one expert investigated learner support function through the 22 cases of virtual education system, reference material and review of literature. Second, after mak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learner support function investigated by researcher, learn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ir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learner support function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follows: 1. What are the learner support functions required on virtual education syste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question determined 78 learner support functions which are categorized 6 areas learning preparation, learning contents, learning reference, learning evaluation, interaction and learning assistance. 2. What are the important learner support functions on virtual education system? Of the 78 learner support functions, 40 functions were perceived to be critical functions by learners. And in the 6 areas, learning reference area was recorded the highest mean score(M=3.94, SD= .94).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nd company employee’s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Of the 40 learner support functions perceived to be critica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7 functions such as introduction function for understanding the subject’s structure and outline(t = -2.571, p< .05), self-test function to offer the result immediately(t = 5.786, p< .05), discussion function(t = 6.217, p< .05), E-mail function to be connected peer-learner, teacher and administrator(t = 4.869, p< .05), modification function of learner’s information(name, ID, introduction, etc.)(t = 6.504, p< .05), etc. 4.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once and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more than twice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Of the 40 learner support functions perceived to be critica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6 functions such as connecting function between schedule calendar and learning contents(t = 2.732, p< .05), function of submitting report based on file(t = 3.042, p< .05), search function for discussion contents(t = -2.572, p< .05), E-mail function to be connected between learner and administrator individually(t = 2.174, p< .05), modification function of password(t = 2.740, p< .05), set up function whether open learner’s information or not(t = 2.033, p< .05).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 First,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learner support function have to be partial in embodying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Second, learner support function considered the degree of learner’s network learning experience have to be applied to developing and managing virtual education system. Third, the 78 learner support functions and the 6 areas categorized should be practiced in the field for validation. Fourth, follow-on research should identify to support functions for teacher and administrat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가상교육 = 8 1. 가상교육의 개념 = 8 2. 가상교육의 특성 = 10 3. 가상교육의 필요성 = 12 4. 가상교육에서의 학습방법 = 13 5. 가상교육의 향후방향 = 17 B. 가상교육시스템 = 19 1. 가상교육시스템의 개념 = 19 2. 가상교육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 20 3. 가상교육시스템 운영시 고려사항 = 27 4. 가상교육시스템의 사례 = 28 5. 가상교육시스템 지원의 지원 기능 비교표 = 37 C. 가상교육시스템 지원 기능 = 41 1. 가상교육에서의 학습자 역할 = 41 2.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지원 기능 = 42 D. 관련 선행연구 = 44 Ⅲ. 연구 방법 = 48 A. 연구 대상 = 49 B. 연구 도구 = 51 C. 연구 절차 = 54 D. 자료 분석 방법 = 55 Ⅳ. 연구 결과 = 57 A.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 57 1. 학습 준비 영역 = 57 2. 학습 내용 영역 = 58 3. 학습 자료 영역 = 59 4. 과제/평가 영역 = 60 5. 상호작용 영역 = 61 6. 학습 보조 영역 = 62 B.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 63 1. 설문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 63 2. 가상교육시스템 학습자 지원 기능의 중요도 분석 결과 = 67 C.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인식 차이 = 71 1. 학습 준비 영역 = 71 2. 학습 내용 영역 = 72 3. 학습 자료 영역 = 73 4. 과제/평가 영역 = 74 5. 상호작용 영역 = 75 6. 학습 보조 영역 = 76 D.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 79 Ⅴ. 결론 및 제언 = 81 참고문헌 = 87 부록 = 99 ABSTRACT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756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