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웹 기반 훈련에서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S사의 사내교육과정을 중심으로

Title
웹 기반 훈련에서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S사의 사내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uthors
이선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의 첨단 정보통신 공학의 발달은 교육 대상, 교육시간 및 장소, 교육 방법 면에서 일대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테크놀러지의 발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컴퓨터 통신을 활용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즉각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네트워크 학습체제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빠른 지식과 기술의 적용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는 기업에서는 경쟁적 우의를 확보하고 기업성과 향상을 위해 계속적이고 적절한 교육훈련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교욱에서의 학습자가 직무에 관련된 지식습득과 자신의 계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그리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은 새로운 교육훈련 체제인 웹 기반 훈련(Web-Based Training)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는 기업환경에서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적시에 적절한 학습을 제공할 것으로 많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또한 시설, 설비, 자료개발 등에 대한 중복 투자비용을 절감하여 그 비용을 다른 필요한 부문에 투자함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적인 교육환경을 구축하여 교유의 효율성을 증대 시키려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새로운 통신 공학을 활용해야 하며,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왜, 어떠한 요인이 기업교육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의 부족은 앞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을 실행하는데 구체적 지침을 마련해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웹 기반 훈련을 통한 학습이 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웹이라는 가상공간을 활용하는 새로운 혁신적 교수방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여러 요건 중 간과하기 쉬운 요소로 학습자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교육장소를 전제로 하는 집합교육에서 특히 피교육자의 심리적 상태는 다소 억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유상현, 1997a). 이에 본 연구는 S사에서 실시되고 있는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더 상효작용 중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웹 기반 훈련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의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터 상호작용 중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관계가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2.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의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터 상호작용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2.1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의 통제소재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2.2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2.3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의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2.4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튜터 상호작용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3.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의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터 상호작용 중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S사의 웹 기반 사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관계가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각 요인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지 X^2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판별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터 상호작용 중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관계가 있는 요인은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터 상호작용 중 Sharing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소재의 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통제소재의 정도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다시 말하면, 내적 통제소재를 가진 학습자일수록 학업성취가 상(上 )일 가능성, 즉 학습과정을 수료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통제소재가 학업 성취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Jonassen & Grabowski, 1993). Dille과 Mezack(1991)의 연구에서도 내적 통제를 가진 학습자 중 72%가 과정을 수료하였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Lefcourt(1991)는 내적 통제 소재자와 외적 통제 소재자들은 정보의 획득, 주의 다른 과제나 상황에서 강화 기회에 대한 민감성, 집중과 같은 인지적 활동 등에서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내적 통제 소재자는 외적 통제 소재자보다 주변의 상황에 관해 더 잘 지각하고, 학습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호기심이 강하고 효율적인 정보 처리자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연구 대상자 중 통제소재가 내부에 있을수록 학업성취가 상(上)일 가능성이 크다. 즉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을 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컴퓨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컴퓨터를 통한 의사소통의 유용성을 인식하는 학습자가 학업성취가 상(上)일 가능성, 즉 학습과정을 수료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mail 사용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학습자일수록 학업성취가 상(上)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즉, 웹 기반 훈련 과정을 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E-mail 이 유용하며, 빠르고, 필요하며 쉽고 효과적이며, 편리하다는 인식이 있는 학습자일수록 학업성취가 상(上)일 가능성, 즉 수료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학습자-튜터 상효작용 중 Sharing의 빈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학습자-튜터 상호작용 중 학습내용에 대한 관점을 공유하며, 학습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코멘트를 하며, 학습자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가 많은 학습자일수록 학업성취가 상(上)일 가능성, 즉 학습과정을 수료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섯째, 학업성취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은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와 관계가 잇는 요인들 중에서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연구 대상자들이 전통적인 학습자 즉, 학교에 속해있는 일반적인 학생이 아닌 정보통신 기업에 속해 있다는 특수한 상황 때문일 것이다. 이들은 컴퓨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기술적인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으며, 컴퓨터를 통한 의사전달에 익숙해져 있고, 또한 이러한 컴퓨터 네트워크의 유용성에 대한 인지가 높은 기업에 속한 집단이기 때문에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학업성취에 크게 영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 웹 기반 훈련을 운영하고 있거나 또는 추진 계획이 있는 기업에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컴퓨터에 대한 태도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나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한다거나, 기술적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체제를 마련하는 등의 실질적인 활용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웹 기반 훈련이라는 원격교육에서 상호작용은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 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학습자-튜터 상호작용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지 않은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본 연구에서의 상호작용의 의미가 학습자-튜터의 상호작용만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끼리의 상호작용이나 교재와의 상호작용의 영향은 분석에서 제외가 되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상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과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웹 기반 훈련과 같은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인 통제소재,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인식, E-mail 에 대한 인식, 학습자-튜터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웹 기반 훈련에서 학습자 특성 중 통제소재 이외의 다른 요인들 예를 들면, 교육기관의 특성, 환경적 요인, 튜터의 스타일 및 역할 등의 차원에서도 살펴봄으로써 웹 기반 훈련이 설계에 지침을 주고, 현재 웹 기반 훈련을 운영하고 있거나 또는 추진 계획이 있는 기업에 실질적인 활용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기업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 있는 학습자들이 연구 대상자가 되었다. 웹 기반 훈련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기업교육이라는 환경이외의 교육환경에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수료/미수료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뿐 아니라 기업에서 학업중단을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업을 중단하게 하는 요인을 연구하여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rought about a revolution in educational subject, time, place and technology. Particularly, the network learning system makes open and lifelong education easier so as to create a faster and more effective on-the-job training environment. In a corporate environment, the rapid training of applying knowledge and skills is need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and to secure superiority over competitors. Accordingly, new educational technology and media must be introduced in corporate training settings. Also,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of this new educational system. Therefore, a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course completion among all four variables-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and learner/tutor interaction. This research also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complete the course and those who do not, considering three variables-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and perception on the use of E-mail in the Web-Based training of Corporation S.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1. What 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among 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and learner/tutor interaction?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rse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learner/tutor interaction? 2.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2.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according to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2.3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according to perception on the use of E-mail? 2.4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er/tutor interaction? 3. What is the factor most affecting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among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the use of E-mail and learner/tutor interacti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Corporation S, which implemented Web-Based Training for the support of employee training. To start with, learners were selected for survey. In addition to the survey, supplementary data was collected. Collected final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 ratio according to the item, for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χ²test, and for analysis of classification indiscriminan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among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and learner/tutor interaction, were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and “Sharing” type of learner/tutor interact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betwee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ubject and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subject. Locus of control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in Web-Based Training. Third,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between high score subject and low in perception in attitude towards computers. The learn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in Web-Based Training.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between high score subject and low in perception on use of E-mail. The learn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in Web-Based Training. Fifth,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ourse achievement between high frequency subject and low in “Sharing” type of learner/tutor interaction. The learner’s “Sharing” type of learner/tutor interaction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in Web-Based Training. Sixth, the factor most affecting the learner’s course achievement among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perception on use of E-mail and learner/tutor interaction wa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s. From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there are many factors affecting course achievement in distance education such as Web-Based Training. This study focused on only limited learner characteristics and particularly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learner/material interaction was excluded. By examining other factors of learner characteristics, facilitators’ rol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corporation which administrates Web-Based Training or makes a plan to will be provided to Web-Based Training’s desig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Second,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an employee of Corporation “S”. As the scope of Web-Based Training is extended, it needs to examine learners having regular schooling in addition to adults and employees of corporations. This research’s subject was a small and very specific-adult learner. Therefore, it is unjustifiable to generalize this research’s results and a diversity of subjects is needed. Third, in an attempt to identify causes for dropouts in Web-Based Training numerous studies that would investigate strategies improving course achievement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