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

Title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
Authors
손미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young children assessment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This study also intends to encourage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assessment activities and to provide the basics pertaining to assessment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practic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improvement in their assessment activities. Details of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their assessment activitie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their assessment activities depending on the variables such as,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degree of teaching experiences and type and siz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3. What are the problems and betterment of assessment activities recognized by th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256 teachers with at least one year of teaching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The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used by the researcher,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Hae Kyung Hong(1996) based on NAEYC(1992)’s “Guideline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and other literature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one-way ANOVA, T-test, Scheffe’s test used. SPSS Programs was applied for the stastistical processing.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eachers were found to understand the notion of assessment method (M=4.43), assessment result (M=4.31), assessor (M=4.23), the contents of assessment (M+4.23) and the object of assessment (M=4.23) in an order of decreasing manner. Teacher’s execution degree were found to be decreasing in the order of assessment method (M=3.79), assessment results (M=3.62), the contents of assessment (M=3.51), the object of assessment (M=3.42) and the assessor (M=3.15).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ir practices of assessment underperformed their perception of assessment. 2.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of assessm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they understood assessment activities.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had a meaning relationship with their execution degre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resulting in better assessment activities. The variable including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level didn’t have statistically meaning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he variable including the teacher’s degree of teaching experience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he teacher’s type of the institution didn’t have statistically meaning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he variable including the teacher’s type of the institution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of assessm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the size of the institution. In the case of institution with more than seven classes, teachers were found to have low understanding of assessment. The teacher’s the size of the institution didn’t have statistically meaning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he variable including the teacher’s the size of institution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assessment activities.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ir practices of assessment underperformed their perception of assessment. 3. Problems in assessment recognized by the teachers were high ratio of children to teachers, lack of time for assessment caused by other activities,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ssessment, question about th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assessment and lack of assessment tools. Teachers pointed out that more training for assessment,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nd lowering the children-teacher ratio and enhancing the teacher’s assessment ability were need for effective assessment. ;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있는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를 전반적으로 분석해 보고 바람직한 유아평가의 활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는 어떠한가? 2.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는 교사의 변인(학력, 경력, 기관의 유형, 기관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평가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문지 조사법이었고, 질문지는 홍혜경(1996)이 NAEYC(1992)의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평가를 위한 지침과 문헌자료를 기초로 제작한 연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 검증,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χ²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보인 경우 사후분석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평가에 대해 교사들은 유아평가의 하위범주중 평가방법의 적절성(M=4.31)에 대해 가장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평가결과의 활용(M=4.31)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이에 비해 평가목적의 중요성(M=4.23),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M=4.23),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M=4.23)에 대해서는 인식과 이해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문지의 점수 단계가 1-5점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교사들의 유아평가에 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유아평가 실제에 대해 교사들은 평가의 하위범주중 평가방법(M=3.79)을 가장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평가결과 (M=3.62)를 잘 활용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들은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M=3.51)과 평가목적의 중요성(M=3.42),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M=3.15)가 어떠해야 하는지 평가실제에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의 인식정도와 실제정도를 비교해보면 실제정도가 인식정도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평가 하위범주중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은 인식과 실제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평가목적의 중요성,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이상을 졸업한 교사들이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들보다 유아평가의 모든 하위범주에 대해 인식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이상을 졸업한 교사들이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들보다 유아평가에 대해 실제수행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력에 관계없이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보다 실제는 미흡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보았다. 경력 1년 이상-3년 미만의 교사들은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 평가방법의 적절성, 평가결과의 활용범주에 대해 다른 교사들보다 인식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 5년 이상의 교사들은 평가목적의 중요성,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범주에 대해 다른 교사들보다 인식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1년 이상-3년 미만의 교사들은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 평가결과의 활용범주에 대해 다른 교사들보다 실제수행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 5년 이상의 교사들은 평가목적의 중요성, 평가방법의 적절성,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에 대해 다른 교사들보다 실제수행을 잘하고 있음을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력과 관계없이 평가에 대한 인식이 실제보다 높았다. 유치원 교사들은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유아평가의 모든 하위범주에 대해 인식을 잘하고 있었다.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결과의 활용,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에 대해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실제수행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들은 평가목적의 중요성,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 평가방법의 적절성에 대해 유치원 교사보다 실제수행을 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기관의 유형에 관계없이 교사들은 모두 평가에 대한 인식보다는 실제를 미흡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1-3 학급의 기관에 재직중인 교사들은 평가목적의 중요성, 평가방법의 적절성, 평가결과의 활용에 대해 다른 교사들보다 인식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6 학급의 기관에 재직중인 교사들은 평가내용의 원리 및 범주,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에 대해 다른 교사들보다 인식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중 평가자의 유형 및 역할범주는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7학급 이상의 기관에 재직중인 교사들은 4-6학급 또는 6학급 이하의 기관에 재직중인 교사들보다 평가하는 사람과 그 역할에 대해 인식을 덜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7학급 이상의 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들이 평가하위범주 모두 다른 교사들보다 실제수행을 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기관의 규모에 관계없이 교사들은 모두 평가에 대한 인식보다 실제를 미흡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셋째, 유아평가시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교사와 유아의 높은 비율(30.0%), 업무과다로 인한 평가시간 부족(23.5% ), 교사의 평가에 대한 지식과 인식 부족(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과적인 평가를 위하여 가장 필요한 점은 평가에 대한 교사연수 실시, 적절한 평가도구 개발, 유아와 교사의 비율을 낮춤, 교사의 평가에 대한 능력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