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5 Download: 0

한국산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Title
한국산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uthors
여성희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L.)식물의 외부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여 종간의 분류를 재검토하고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잎과 수과의 표피, 핵형과 화분형태등을 연구하여 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한국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속식물은 12종 2아종이고 이것은 크게 3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A군에 속하는 식물은 구베리미나리아재비, 개구리자리, 개구리갓과 왜미나리아재비이다. 이 군의 특징은 염색체수가 2n=16 또는 2n=32 이고, 화분은 삼구형이고, 잎은 단엽이고, 잎과 줄기는 털이 거의 없다. B군에 속하는 식물은 미나리아재비, 바위미나리아재비, 민주미나리아재비와 산미나리아재비이다. 이 군은 염색체수가 2n=14(2n=28 또는 42)이고 화분은 6-산구형이며 잎은 단엽이고 잎과 줄기에 털이 있다. C군에 속하는 식물은 젓가락풀, 개구리미나리, 제주개구리미나리, 왜젓가락풀, 털개구리미나리와 기는미나리아재비이다. 이 군은 염색체수가 2n=16 또는 2n=32이고 화분은 12(15)-산구형이며 잎은 복엽이고 잎과 줄기는 털이 있다. 본 속 식물중 이북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화분학적 연구는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외부형태적 연구 및 문헌에 의한 염색체수의 조사에 의하여 구베리미나리아재비는 A군으로, 산미나리아재비와 만주미나리아재미는 B군으로, 기는미나리아재비는 C군에 포함시킬 수 있다. A군의 각 종들은 외부형태적인 특징이 뚜렷하여 종의 분류에 문제점 없었다. B군에 속하는 각 종들은 미나리아재비와 유사한데, 미나리아재비의 특징은 줄기에 털이 퍼져나고, 수과의 부리는 짧고, 염색체의 수는 2n=14이고 중부 이남의 저지대에 분포한다. 바위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에 비해 소형이고 한라산(해발 1500m 이상)에 분포한다. 만주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 보다 대형이고 염색체의 수는 2n=28 또는 2n=48이다. 이 식물은 중부이북에 분포한다. 산미나리아재비는 줄기에 털이 누어나고 수과의 부리끝은 굽어지며 북부지역에 분포한다. C군에 속하는 식물중에 왜젓가락풀, 털개구리미나리와 기는 미나리아재비의 줄기는 눕거나 서며 마디에서 뿌리를 낸다. 염색체수에 있어서 왜젓가락풀은 2n=16이고 털개구리미나리와 기는미나리아재비는 2n=32로 차이가 나며, 또 기는미나리아재비는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포복경이 발달하고 꽃이 크다. 반면에 젓가락풀과 개구리미나리의 줄기는 바로 서며, 마디에서 뿌기를 내지 않는다. 전자는 꽃잎과 접합과가 타원형이고 수과의 부리가 짧은 반면에, 후자는 꽃잎은 장타원형이고 집합과는 구형이며 수과의 부리를 굽어있다. 제주개구리미나리는 개구리미나리에 비해 크기가 소형이며 개화기가 늦다. ; Nakai(1952)reported 12 species and 9 varieties of Ranunculus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by the grossomorphological investigation of reproductive and vegetative characters, the taxonomy of 12 species and 2 subspecies of Ranunculus were reevaluated. An identification key to the species, specific descriptions and distribution maps were provided. The interspecitic relationships was, keryotype, and pollen morphology. The investigated taxa were group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 A, including R. gmelini DC, R. sceleratus L., R. extorris Hance, and R. franchetii H. Boiss, in which the number of chromosome is 16 or 32, pollen tricolpate, leaf simple and leaf and stem mostly hairless. Group B, including R. japonicus Thunb. Ssp. Japonicus, R. japonicus Thunb. ssp. chrycotrichus(Nakai)Y. Lee, R. grandis Honda, and R. acris L. var. monticola(Kit.)Tamura, in which the number of chromosome is 14, pollen 6-pericolpate, leaf simple, and leaf and stem hairy. Group C, including R. repens L., R. chinensis Bunge, R. tachiroei Fran. et Sav. R. tachiroei Fran. et Sav. ssp. quelpaertensis Y. Lee, R. silerifolius Lev., and R. cantoniensis DC, in which the chromosome number is 16 or 32, pollen 12(15)-pericolpate, leaf compound, and leaf and stem hairy. In these groups, R. gmelini, R. acris var. monticola, and R. grandis, which are restricted to the northern part of the peninsula, were includ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reviously reported chromosome number. Within Group A, each species possesses a distinc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o taxonomic problem was found. The species of Group B showed somewhat overlapping variaton and sometimes causes indentification problems. R. japonicus is characterized by having spread haired stem, almost sessile achene, chromosome number 2n=14, and inhabits in the low land in the central to southern part of peninsula. R. japonicus ssp. chrysotrichus is shorter than R. japonicus, and distributed only on Mt. Halla(1,500m Elev.). R.grandis, which is taller and larger than R. japonicus, has chromosome number 2n=28 or 42, and is distributed to the northern peninsula. R. acris var. monticola has appressed haired stem and curved beak of achene and inhabits over the northernmost part of peninsula. Within Group C, R, repens, R. silerifolius, and R. cantoniensis have slopped or erect stem and roots produced from the nodes. Among the three, the chromosome number of the second is 2n=16, and that of the last 2n=32. On the other hand, R. chinensis and R. tachiroei have erect stem and do not produce roots from the node. Between the two, the petal and the aggregate fruit are ovate and the beak of achene is short in the former, whereas the petal is oblong to elliptic, and the aggregate fruit is gloval, and the beak of achene is long and curved in the latter. R. tachiroei ssp. quelpaertensis is shorter than R. tachiroei ssp. tachiroe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