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정-
dc.creator송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에 따라 어머니의 개입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1-1.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어머니의 중요성 인식에 따라 어머니의 개입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1-2. 자녀의 또래 관계 돕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제 난이도 지각에 따라 어머니의 개입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1-3.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어머니의 중요성 인식과 또래 관계 돕기에 대한 과제 난이도 지각에 따라 어머니의 개입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2.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어머니의 중요성 인식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자녀의 또래 관계 돕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제 난이도 지각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 9곳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 230명이다.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및 개입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어머니의 인식은 Profilet과 Ladd(1994)가 사용한 어머니의 지각 및 중요성 질문지(Perceived Progress & Concern Measur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과제 난이도 지각은 Ladd와 Price(1986)가 사용한 과제 난이도 지각(Perception of Task Difficulty) 질문지를, 개입 행동은 Cohen(1990)이 제작한 부모 개입 행동 질문지(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Ladd와 Profilet(1996)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행동 척도(Child Behavior Scale) 질문지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Pearson의 단순(biavariate) 상관분석과 부분(partial)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어머니의 중요성 인식과 또래 관계 돕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제 난이도 지각에 따라 어머니의 개입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녀의 사회적 기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자녀의 또래 관계 돕기 과제에 더 쉽게 지각할수록 어머니들은 자녀의 또래 관계에 더 빈번하게 개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는 전체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먼저,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어머니의 중요성 인식은 유아의 또래 유능성 중 긍정적 요인인 친사회성과 정적 상관을, 부정적 요인인 공격성, 배척성, 과민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녀의 또래 관계 돕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제 난이도 지각은 유아의 또래 유능성 중 긍정적 요인인 친사회성과 정적 상관을, 부정적 요인인 공격성, 배척성, 비사교성, 불안정성, 과민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어머니의 개입 행동은 전체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즉, 어머니의 전체 개입 행동과 하위 요인인 감독, 조정 및 중재, 조언 및 지지 행동은 모두 유아의 또래 유능성 중 긍정적 요인인 친사회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부정적 요인인 공격성, 배척성, 비사교성, 불안정성, 과민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involvement behavior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involvement behaviors on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involvement behaviors on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ocial skill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involvement behaviors on mothers’ perception of difficulty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 helping task? 1-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nvolvement behaviors on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ocial skills and mothers’ perception of difficulty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 helping task? 2. How are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2-1. How is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ocial skill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2-2. How is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difficulty regarding children s peer relation helping task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30 mothers’ have children’s enrolled at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To measure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involvement behaviors, Maternal Perceived Progress & Concern Measure, used by Profilet & Ladd (1994) in their study, was used as research tool to maternal cognition. Perception of Task Difficulty Questionnaire, used by Ladd & Price(1986), was used to measure mothers’ perception of task difficulty.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 developed by Cohen(1990), was used to measure mothers’ involvement behaviors. and Child Behavior Scale(CBS), developed by Ladd & Profilet(1996),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peer competence. colle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Pearson’s biavariate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volvement behavior according to maternal cognis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ocial skills and perception of childrens peer relation task difficulty. that is to say, mothers have cognization of importance childrens social skills, and perceived easily children’s peer relation helping task, more and more, involed in children’s peer relations. Second, there was, in general,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the case of maternal 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ocial skill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social,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exclude, hyper-distractible. also, maternal perception of childrens peer relations helping task difficul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social,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exclude, asocial, anxious-fearful. Third, there was, as a whol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at is to say, maternal involvement behaviors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social,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exclude, asocial, anxious- fearful, hyper-distractib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어머니의 인지 = 6 1. 인지의 개념 및 내용 = 6 2.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 8 B. 어머니의 개입 행동 = 11 1. 개입 행동의 개념 및 중요성 = 11 2. 개입 행동의 유형 = 12 C. 유아의 또래 유능성 = 15 D. 어머니의 인지 및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 18 1. 어머니의 인지와 개입 행동간의 관계 = 18 2. 어머니의 인지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 21 3. 어머니의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간의 관계 =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6 A. 연구 대상 = 26 B. 연구 도구 = 27 C. 연구 절차 = 36 D. 자료 분석 = 37 Ⅳ. 결과 및 해석 = 39 A. 어머니의 인지에 따른 어머니의 개입 행동 = 39 B. 어머니의 인지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 42 C. 어머니의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 45 Ⅴ. 논의 및 결론 = 46 A. 논의 = 46 B. 결론 및 제언 = 50 참고 문헌 = 52 부 록 = 60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405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