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Title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Authors
부성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활용수준, 관심도와 활용수준의 관계, 활용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들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수준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활용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4. 유치원 교육과정 활용의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유치원의 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를 경력별, 학력별로 구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의 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Texas대학의 R&D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관심도 질문지(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aire)’를 우리 나라 유치원 교육과정 실정에 맞게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들의 활용수준과 활용의 장애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Ontario Scarborough Board of Education 연구센터에서 Moore와 그의 동료들(1984)에 의해 개발된 ‘활용수준 측정 질문지’를 우리 나라 유치원 교육과정 실정에 맞추어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e 사후검증,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무관심’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교사들의 개인별 관심단계를 살펴 본 결과, 전체 교사의 55.8%가 무관심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고 1단계인 정보적 관심에 23%의 반응을 나타냈다. 개인적 관심(2단계)에 14.3%, 대안 탐색 관심(6단계)에 4.5%의 반응을 보였으며 운영적 관심(3단계), 결과적 관심(4단계), 협력적 관심(5단계)은 나타나지 않았다. 제5차,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정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경력은 교사의 관심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나, 학력은 교사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수준은 기계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역별 활용수준을 살펴본 결과 내용영역을 가장 잘 활용하고 다음으로 방법영역, 목표영역, 이론적 근거 및 성격영역, 자료영역, 평가영역 순서로 활용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해설서 포함)」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전10권)」의 활용수준을 비교한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활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활용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력은 활용수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나, 학력은 활용수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활용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교사일수록 교육과정을 더욱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육과정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은 보통 이상의 장애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자원인사 부족을 들었고, 유치원 교육과정을 읽고 내면화 할 시간 부족, 교사, 원장, 유아교육전문가간의 계획활동 부족, 교육활동을 위한 자료 부족, 교육과정 적용절차의 불명확 등이 주요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t also has an objective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By doing this, the research had intended to assess the present situation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uggest ways of improv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 1. How much concern is shown by the teachers have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ages of concern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2. How much are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used by the teachers?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terms of curriculum use level for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3.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shown by the teachers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4. What impedes effectiv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mplemen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265 kindergarten teachers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The research distinguishe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education background when analyzing the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one-way ANOVA, matched pair T-test, Scheffe test used. SPSS program was appli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Kindergarten teachers were generally found to be "lack of concern"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dividually, 55.8% of the total respondence were found to be "not concerned" According the analysis 23% of the respondents showed 1-level(informational) concern, while 14.3% indicated 2-level(personal) concern and 4.5% indicated 6-level(refocusing). No respondents showed 3-level(management), 4-level(consequence), 5-level(collaboration) concern. When the level of concern for the 5th and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compared, the concern level for the latter was greater than former. It was found that the concern level shown was associated with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respondents, but there was no relations between that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2. Among the 6 dimension, the use level for content dimension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with teaching methodology, aims and objective philosophy, instruction resource, evaluation following. The level of use for r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e guide for kindergarten curriculum, when compared. The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use was significantly interrelated with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respondents but no relations were found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3. Significant statistical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concern level and the level of use were found. Teachers with high level of concern showed high level of use. 4. When questioned about the impediments in using the curriculum, the teachers answered to have encountered obstacles over ordinary level. On the whole, the principle obstacle factory was lack of practical personnel resources. Others obstacles include lack of time for self-improvement, lack of communication among the kindergarten principles, the teachers and exports in planned activities,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obscur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d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