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y difference in the efficacy belief sense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s career,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teacher s service training for young children s art educat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For this purpose, four question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as follow.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 s career?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 s education level?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er s service training for young children s art education?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To examin three poblems, this study followed several steps. First, on the basis of close review of literature,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art education we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1 teachers. They were teaching at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o examine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used. To report the questionnaire modified 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This instrument was 23 questions, which are measured by using 5 point likert type scale. It also obtained frequencies and percentile of teacher s personal variables through the data processing of informations, and performed ANOVA and t-test in order to ascertain significant differences caused by teacher s career,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teacher s service training for young children s art educat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The finding are as follow. First,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 s career.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for more years, have higher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Second, the teacher s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 s education level. Third, teachers who have the experience of teacher s service training for young children s art education, have higher efficacy of art education. Forth, teachers who have charged of less than 30 children, have higher efficacy belief of art education than more 30. In conclusion, the efficacy belief sense of art education is affected by teacher s career, experience of learning young children art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이 교사의 경력, 학력,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과 학급당 유아의 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유치원 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은 학급당 유아의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총 21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이 교사의 경력, 학력, 미술관련 교육 연수 경험, 학급당 유아의 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를 미술 영역으로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5점 척도의 23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교사의 개인적 변인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경력, 학력,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 학급당 유아의 수에 따라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 분석과 t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경력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경력이 적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교사의 학력 차는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미술 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은 학급당 유아의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수가 30명 이하의 학급을 맡고 있는 교사는 30명 이상의 학급을 맡고 있는 교사보다 미술 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교사의 경력,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 학급당 유아의 수는 유치원 교사의 미술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유아의 미술활동 = 6 B. 교사 효능감 = 22 III. 연구 방법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도구 = 33 C. 연구 절차 = 34 D. 자료 분석 = 35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6 A. 교사의 경력에 따른 미술 교수 효능감 = 36 B. 교사의 학력에 따른 미술 교수 효능감 = 37 C. 교사의 미술 관련 교육 연수 경험에 따른 미술 교수 효능감 = 38 D. 학급당 유아의 수에 따른 미술 교수 효능감 = 38 V. 논의 및 결론 = 40 A. 논의 = 40 B. 결론 및 제언 = 42 참 고 문 헌 = 44 부 록 = 52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8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