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2 Download: 0

기관지 흡인술 유형에 따른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Title
기관지 흡인술 유형에 따른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Authors
박미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중환자실에서는 호흡치료의 수준이 점점 더 고도화되어 가고 있다. 급성호흡부전 환자에게 산소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호기말양압과 고농도의 산소뿐만 아니라 인공호흡기를 통해 산화질소(Nitric Oxide)를 흡입하고 폐포모집술(alveola recruitment maneuver)등의 치료를 한다. 이러한 중환자들에게 인공호흡기를 분리하고 기관지 흡인을 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개방형 흡인술은 인공호흡기로부터 환자를 분리함으로써 흡인 시 산소공급이 중단되고 호기말양압이 상실되며 이로 인해 폐에 남아 있는 기능적 잔기량이 감소됨으로써 기관지 흡인술로 인한 저산소증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폐쇄형 흡인술은 흡인 시 인공호흡기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폐쇄형 흡인술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대상이나 사용방법 및 효과 등에 대하여 연구된 것을 찾아 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중환자들에게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기관지 흡인술을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환자 중 기관내 삽관을 하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31명이었고, 자료수집은 동일 대상자에게 개방형 흡인술과 폐쇄형 흡인술을 1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잔류효과(carry over effect)와 순서효과(order effect)를 배제하기 위하여 개방형과 폐쇄형의 순서를 바꾸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2 sample t-test,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MANOVA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방형 흡인술 과정에서 산소포화도가 감소하여 흡인 후 5분까지 흡인전의 상태로 회복되지 않았고 폐쇄형 흡인술 과정에서는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다가 흡인 후 3분에 흡인 전의 산소포화도로 회복하였다. 2. 개방형 흡인술 과정에서 심박동수가 상승하여 흡인 후 5분까지 흡인전의 상태로 회복되지 않았고 폐쇄형 흡인술 과정에서는 심박동수가 상승하다가 흡인 후 2분에 흡인 전의 심박동수로 회복하였다. 3. 개방형과 폐쇄형 흡인술 과정 모두에서 평균동맥압이 상승하였으며 흡인 후 5분까지 흡인 전의 평균동맥압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4. 흡인 유형간에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의 변화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공호흡기 구동방식에 따라 흡인 유형간에 심박동수의 변화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성별, 연령, 진단명, 흡입산소농도, 호기말양압 정도에 따라 흡인 유형간에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평균동맥압의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인공호흡기를 적용 중인 성인 중환자에게 흡인 시 개방형 흡인술은 흡인 중과 후에 산소포화도를 감소시키고 심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평균동맥압을 상승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쇄형 흡인술은 흡인과정에서 인공호흡기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산소와 호기말양압이 계속 유지되어 흡인 중과 후에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에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인공호흡기 치료 중인 성인 중환자들에게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보다 안전하며 효과적인 폐쇄형 흡인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Background : Endotracheal suctioning is a frequently performed procedure that has many associated risks and complications. A closed suction system maintains connection with the mechanical ventilator during endotracheal suctioning and is claimed to limit loss in lung volume and oxygenation. However, the limited literature on closed suction system suggest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Objective : To compare difference of changing in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mean arterial pressure during endotracheal suctioning performed with closed suction system and with an open suction system. Methods : The subjects were 31 ventilated adult patient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mean arterial pressure were collected immediately prior to the suctioning intervention, during and 1,2,3,4,5 minutes after the suctioning from open suction system and closed suction system. The study is cross-over repeated design. Results : The changing difference of the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mean arterial pressure were significant between open suction system and closed suction system(p=.000). Recovery time for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to return to baseline values after suctioning was significantly rapid on closed suction system(p<.05). Conclusions : Closed suction system is more prevention of hypoxemia and hemodynamic compromise in ventilated patients than open suction system. The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in ventilated needs the effective, safe closed suction system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