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애리-
dc.creator이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 실습 시 실습 지도교사와 교육 실습생간의 협의회 의사소통 과정 및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육 실습 협의회 시 나타나는 의사소통 과정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육 실습 협의회 시 지도교사와 교생의 말하는 양의 비중은 어떠한가? 1-2. 유치원 교육 실습 협의회 시 실습 지도교사가 사용하는 언어유형은 어떠한가? 1-3. 유치원 교육 실습 협의회 시 교육 실습생이 사용하는 언어유형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 실습 시 협의회의 내용은 무엇인가? 1-1. 유치원 교육 실습 협의회 시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1-2. 유치원 교육 실습 협의회 시 교육 실습생의 관심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일산에 위치한 9개 유치원의 15개 반에서 근무하는 실습 지도교사 15명과 이들에게 배정된 교육 실습생 15명이다. 협의회의 언어유형과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협의회는 녹음되었으며 연구자에 의해 전사되었다. 협의회의 언어 유형 분석을 위해서는 Flanders(1970)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체계(Reiman & Thies-Sprinthall, 1999)와 Flanders(1970)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체계를 응용하여 만든 Reiman과 Thies-Sprinthall(1999)의 장학 요원 상호작용 분석 체계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구성한 언어유형 분석 체계를 이용하였으며, 협의회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협의회 시 지도교사와 교생의 말하는 비중을 알아본 결과 지도교사(79.6%)가 교생(20.4%)보다 훨씬 더 많은 말을 하였다. 둘째, 협의회 시 실습 지도교사의 언어유형을 분석한 결과 강의(41.0%)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비판하거나 권위적인 말(38.0%), 지시(8.2%), 칭찬·긍정적 피드백 또는 격려, 수고와 감사(6.0%),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4.0%), 의견을 묻는 질문(1.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실습생의 아이디어를 수용하기 등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교육 실습 협의회 시 실습 지도교사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유형을 비지시적 부분과 지시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보면 비지시적인 언어유형은 12.8%, 지시적 언어유형은 87.2%를 차지했다. 셋째, 협의회 시 교육 실습생의 언어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생의 의견을 말하기(55.6%)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이 단순하게 답변하는 말(36.9%)이었고, 그 밖의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 등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 실습 협의회 시 교육 실습생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유형을 수동적인 부분과 적극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수동적인 언어유형은 36.9%, 적극적인 언어유형은 63.0%를 차지했다. 넷째, 협의회 시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하는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수 학습(48.5%)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학급 운영(23.1%), 기타(12.3%), 실습 안내(10.7%), 자기 평가의 기회주기(5.4%)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의회 시 교육 실습생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수 학습(53.4%)에 가장 중점을 두어 이야기했으며, 다음으로 학급 운영(20.7%), 기타(17.8%), 실습 안내(8.1%)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generalize the communication processes and subjects between cooperating teachers and their student teachers when they have the supervisory conferences to discuss student teaching. To reach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cedure of the study is established as follows; 1.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supervisory conferences 1-1. The speaking frequencies of the attendants at the supervisory conferences 1-2. The speaking patterns taken by cooperating teachers at the supervisory conferences 1-3. The speaking patterns taken by student teachers at the supervisory conferences 2. The subjects of the supervisory conferences 2-1. The issues emphasized by cooperating teachers at the supervisory conferences 2-2. The issues emphasized by student teachers at the supervisory conferences The research samples of this study consist of 15 cooperating teachers and their 16 student teachers from 15 classes of 9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Ilsan city. The verbal records of the supervisory conferences in each of them are taken as the research sample in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ng System for linguistic Interaction" designed by Flanders in 1970 is referred in combination with "Analysing System for Interaction of Learning" designed by Thies-Sprinthall in 1999 to develop a proper tool to apply for the patterns of speakings both of supervisor and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upervisory conferences a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analyzing tools for subjects of communications. Eventually, a few of conclusions about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subjects of the supervisory conferences are induced in this study by adopting the analyzing tools described above. First,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frequency of speaking, the total speaking lines of 17,363 (100%) are obtained. Among them, 13,291 (79.6% of total) lines are spoken by the cooperating teachers, and the rest of 3,319 (20.4% of total) lines are from student teachers. Second, in the speaking patterns of the cooperating teachers, the pattern of preaching ranks first with 41.0% of total pattern. The bureaucratic pattern charges 38.0% and the instructive pattern (8.2 %), positive feedback (6.0%), confirmative pattern (4.0%) and question (1.9%) are followed in order. In particular, opened and reciprocal pattern is rarely showed.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the advisory group charges absolute leading position in its communication with interns at the supervisory conferences. The group shows 87.2% of leading pattern with 12.8% of responding pattern in the communication with student teachers. Third, in the speaking patterns of interns, their opinions ranks first with 55.6% of total pattern. The next rank is responses (36.9%) and other patterns including confirmation charge each small portions of the speaking pattern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leading pattern of student teachers against cooperating teachers is 63.0% and 36.9% of their speakings is responsive to the counterparts. Forth,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cooperating teachers is the instruction which charges 48.5% of the whole subjects. The cooperating teachers emphasizes the operation of class (23.1%), other subject(12.3%), the practical guidance (10.7%) and the self-assesment (5.4%) in order. Fifth, the most emphasized issue by student teachers is the instruction which charges 53.4% of the whole subjects. The operation of class (19.7%), the other subject(17.8%), the practical guidance (8.1%) in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iv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교육 실습 및 실습 지도교사의 영향 = 6 1. 교육 실습의 중요성 = 6 2. 실습 지도교사의 영향 = 9 B. 교육 실습에서의 협의회 = 11 1. 협의회의 중요성 = 11 2. 협의회의 의사소통 과정 = 13 3. 협의회의 내용 = 17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도구 = 22 C. 연구 절차 = 24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29 A. 협의회의 의사소통 과정 = 29 1. 협의회 시 말하는 양의 비중 = 29 2. 실습 지도교사의 협의회 언어유형 = 29 3. 교육 실습생의 협의회 언어유형 = 31 B. 협의회의 내용 = 32 1. 실습 지도교사의 협의회 내용 = 32 2. 교육 실습생의 협의회 내용 = 33 V. 논의 및 결론 = 35 A. 논의 = 35 B. 결론 및 제언 = 43 참고 문헌 = 45 부록 = 52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11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육실습 협의회 시 의사소통 과정 및 내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