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동원-
dc.creator신동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6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of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correlations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web-based learning. Thereafter, it will supply elementary knowledge on the compon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 of web-based learning. The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and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1-1. Which components of motivation are correlated with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1-2. Which components of learning strategy are correlated with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1-3. Which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2. Is th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and participation in web-based learning. 2-1. Which components of motivation are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in web-based learning? 2-2. Which components of learning strategy are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in web-based learning? 2-3. Which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an effect on participation in web-based learning? The sample include 31 students from the course of web-based learning performed from Mar. 5th, 2001 to Jun. 9th, 2001. The students respon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MSLQ) that include 81 itmes on student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hievement is measured by collecting data on student mid-term examination, and participation is measured by collecting data(number of connected days) from platfor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methods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per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r=.392, p<.05), achievement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trinsic goal orientation(r=.410, p<.05) and control beliefs about learning(r=.490, p<.01), as well as with elaboration(r=.408, p<.05), metacognitive self-regulating(r=.443, p<.05), and time management(r=.390, p<.05). It shows that achievement is in proportion with the ability of learner who plans and controls the time and the space of learning, whether he is in web-based learning or in traditional learning, believing in the control of learning by himself. As per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chievement, control beliefs about learning(Beta=0.490, t=3.031, p<.01) is explained 24.1% of the variance in achievement. It can be said that leaner s confidence in self-control of learning would raise achievement. Secondly, as per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articipation(r=.630, p<.01),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trinsic goal orientation(r=.512, p<.01), extrinsic goal orientation(r=.423, p<.05), task value(r=.462, p<.01), control beliefs about learning(r=.545, p<.01), and self-efficacy(r=.466, p<.01). It is proved that test anxiety only has no significance with participation. The survey also shows that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hearsal(r=.557, p<.01), elaboration(r=.540, p<.01), organization(r=.507, p<.01), critical thinking(r=.498, p<.01), metacognitive self-regulating(r=.596, p<.01), time management(r=.444, p<.05), peer learning(r=.411, p<.05), help seeking(r=.442, p<.05). It is proved that effort management only has no significance with participation. The result explains the fact that participation was much increased by the learners who have the purpose to obtain a license and to apply what he learns to the work-site o peration. As per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participation, metacognitive self-regulating(Beta=0.596, t=3.998, p<.01) is explained 35.5% of the variance in participation. It can be said that his self-regulating of learning would increase participation. From the above-mentioned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can be proposed. First, there is the need to reflect correlations, if any,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learning. Secondly, it should be considered to measure participation not only by contact day but also by any other unit which can show the progress of learning accomplished by learner. Thirdly, this study is made on the components which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Furthermore, in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re is the need to study on how to materialize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when web-based learning is designed.;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와 지식의 증가로 학생과 직장인 모두 재교육 및 재훈련이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실을 암기하고 있는지에 따라 학습결과가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깊이와 학습된 기술의 수에 의해서 판단되기 때문에, 이전과는 다른 학습 방법으로 교육 및 훈련을 접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와 함께 기술의 발달로 웹 기반 교육은 교육 시간, 장소, 빈도 목표 등을 자율적인 통제를 할 수 있는 여러 장점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웹 기반 학습에서는 학습자 자신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학습과정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중요한 요건이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학업 성취도 및 참여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런 요소들 중 웹 기반 학습을 구현할 때 고려해야할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아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요소 중 학업성취도 및 참여도와 상관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학업성취도는 상관이 있는가? 1-1.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 중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있는 요소는 무엇인가? 1-2.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학습전략 요소 중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있는 요소는 무엇인가? 1-3.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요소 중 학업성취도에 가장 주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2.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참여도는 상관이 있는가? 2-1.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 중 참여도와 관련이 있는 요소는 무엇인가? 2-2.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학습전략 요소 중 참여도와 관련이 있는 요소는 무엇인가? 2-3.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요소 중 참여도에 가장 주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2001년 3월 5일부터 6월 9일까지 실행된 웹 기반 교육과정에 등록한 45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는 학습동기전략 검사지(<부록1>참조)에 대한 설문조사와 중간고사, 플랫폼에 기록된 참여도 관련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분석은 대상자 중 설문지와 중간고사에 참여한 31명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학업 성취도 및 참여도에 관한 일반적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 1-1, 1-2, 2-1, 2-2에 관한 분석을 위해서는 단순상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 1-3, 2-3에 관한 분석을 위해서는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인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r=.392, p<.05)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적 하위 항목 중에는 내적목표지향(r=.410, p<.05)과 학습신념통제(r=.490, p<.01)가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의 학습전략적 하위 항목 중 정교화(r=.408, p<.05), 초인지적 자기조절(r=.443, p<.05), 학습시간관리(r=.390, p<.05)가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통적인 학습에서나 웹 기반 학습 모두에서 학습과 수행에 있어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통제한다고 믿으면서, 학습 공간이나 시간을 계획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높을 수록 성취도도 높게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학습자의 동기 중 학습신념통제(Beta=0.490, t=3.031, p<.01)만이 학업성취도를 24.1%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촉진하는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구문제인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과 참여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기조절학습과 참여도(r=.630, p<.01)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적 하위 항목 중에는 내적목표지향(r=.512, p<.01), 외적목표지향(r=.423, p<.05), 과제에 대한 가치(r=.462, p<.01), 학습신념통제(r=.545, p<.01), 자기효능감(r=.466, p<.01)이 참여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만이 참여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조절학습의 학습전략적 하위 항목 중 리허설(r=.557, p<.01), 정교화(r=.540, p<.01), 조직화(r=.507, p<.01), 비판적 사고(r=.498, p<.01), 초인지적 자기조절(r=.596, p<.01), 학습시간관리(r=.444, p<.05), 동료학습(r=.411, p<.05), 도움구하기(r=.442, p<.05)와 참여도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조절만이 참여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습자들이 자격증 취득이나 학습내용을 현업에 적용하려는 목표를 가졌다는 특징이 있고, 이에 따라 학습자 스스로 이 과정에 등록하여 수업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을 자주했다고 볼 수 있다.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이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학습자의 학습전략 중 초인지적 자기조절(Beta=0.596, t=3.998, p<.01)만이 참여도를 35.5%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에 대한 자기조절을 할수록 학습자들은 학습에의 참여가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앞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만족감과 상관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임규연, 1999; 정연희, 2000; 권윤성, 2000)는 있었으나, 과정 전체가 웹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둘째, 웹 기반 학습에서의 참여도를 접속일로 하였는데, 학습 진도율이나 접속 시간과 자기조절학습 요소의 상관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진행중인 웹 기반 교육에서 고용보험 환급으로 20시간 200프레임 기준으로 개설되는 강의에서는 진도율이나 학습 참여 시간을 기준으로 수료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런 요소들과 자기조절학습 요소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어떠한 요소들이 학업 성취도와 참여도와 상관이 있는 지를 밝혔다. 그렇다면, 웹 기반 학습 설계시 이런 자기조절학습 요소들을 개발할 수 있는 전략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모형 = 6 D. 용어의 정의 = 7 E. 연구의 제한점 = 10 II. 이론적 배경 = 11 A. 웹 기반 학습(Web-Based Learning) = 11 1. 웹 기반 학습의 개념 = 11 2. 웹 기반 학습의 특징 = 12 B.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 15 1.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 15 2.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 = 21 3. 웹 기반 학습과 자기조절학습 = 33 C. 선행연구 = 35 III. 연구방법 = 39 A. 연구대상 및 교육과정 = 39 B. 연구도구 = 41 C. 연구절차 = 43 D. 자료분석 방법 = 44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6 A. 일반적 결과 = 46 B.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분석 = 49 C. 자기조절학습과 참여도의 상관관계 분석 = 52 D. 결과에 대한 논의 = 55 V.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4 부록 = 7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33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학업 성취도 및 참여도의 상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