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경-
dc.creator박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24-
dc.description.abstractSo far,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school management was performed nominally only by financially supporting the school without having any powerful influence on school management. Hereupon, a School Governing Board has been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secure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in school management. The School Governing Board is a self-governing educational institution founded at each school in order to convert the educational system to become student-centered and to perform school management democratically and transparently.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the role of the parents association of the School Governing Board and the rights of the parents associ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in school management.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this present study conducts both literature and investigation studies. The literature study includes precedent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the investigation study uses questionnaires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nd parents from 6 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were collected showing a collection rate of 91.3%. For statistical processing, SPSS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χ² (Chi-Square) inspec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lating to the effect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is as follows. Both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of students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in school manag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Concerning the priority order of making decisions on school management, it turns out that teachers think that the priority order should be granted to teachers themselves, whereas, the parents of students think that the priority order should be granted to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In addition, as the School Governing Board has been introduced, both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think that the rights and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increased. Most of the teachers and parents quoted the School Governing Board as the most powerful institution for decision-making wherein parents are participating. Since the te achers wanted to have all of the existing parents associations unified into the School Governing Board, whereas the parents wanted them to remain as they are.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nd parents relating to the role of the parents association is as follows. The specialty on educ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qualification of being a member of the parents association. Others demanded that the term of office of the parents association should be mediated to start from the first of March and end on the following February. As for the election of the chairman and vice-chairman of the School Governing Board, teachers wanted to elect them without setting any restrictions on the qualification of the candidates, whereas parents wanted them to be elected among the parents association or local community as the present system. The perception of parents in general is that the most preferable plan for collecting opinions is to collect them from related forums and conferences, school newspapers or questionnaires. However,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parents association is that parents lack in elementary knowledge and expert knowledge of the parents association. As a mean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it turned out that schooling programs wherein parents of students can participate should be developed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 Further, it has been estimated that in order to extend the specialty of the parents association,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parents should share various information and experience by having active interchanges with the School Governing Board of other schools. Thir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nd parents relating to the rights of the parents association is as follows. As for education programs, both teachers and parents wanted the parents association to be a deliberate council. As for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chool managing department, both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anted the parents association to be a deliberative council. As for financial matters, both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anted the parents association to be a deliberative council.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referable suggestion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in school management an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chool management is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ssociation should be a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parents who are qualified with the expert knowledge and elected following a democratic process. This is possible whe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is preconditioned. Second, the parents association should collect all of the opinions of the parents of students and reflect them into school management. Third, mor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hel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ty of the parents association. Forth, for the parents of students who do not have enough time to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phone calls, school website and broadcasting system can be used after office hours.; 지금까지 학부모들의 학교운영 참여는 재정적 지원만을 하는 명목상의 참여이지 학교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학부모들의 학교운영에 대한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한 것이 학교운영위원회이다. 학교운영위원회는 교육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체제로 전환하고 학교운영을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운영하고자 설치된 단위학교의 교육자치 기구이다. 본 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효과, 학부모 운영위원의 역할, 학부모 운영위원의 권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둘째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효과, 학부모 운영위원의 역할, 학부모 운영위원의 권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설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인천광역시내 공립 초· 중·고등학교 6개교씩 18개 학교의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730부(회수율 91.3%)중 707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효과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가 학교 교육의 질 향상과 교사의 교육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교운영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교사들은 교사 자신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반면 학부모들은 교사보다는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으로 인해 학부모들의 권한과 참여가 더 높아졌다고 파악하고 있었다. 학부모회, 어머니회, 체육진흥회 등은 학부모들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기구들이며 이 가운데에서 대부분의 교사와 학부모들은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의사결정 기구로 학교운영위원회를 들었으며, 교사들은 기존의 학부모 단체를 모두 학교운영위원회에 통합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고 학부모들은 현행대로 운영하기를 원하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와 기존의 학부모 단체와의 관계 정립이 필요함을 보였다. 둘째, 학부모 운영위원의 역할에서 학부모 위원의 자격조건으로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학부모 위원 선출에 있어 대표성 문제가 야기되었다. 학부모 위원의 구성비율에 대해 교사들은 교사와 같은 비율을 원하였고 학부모들은 현행대로가 적당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현재 4월 1일부터 다음해 3월 말까지인 학부모 위원의 임기를 3월 1일부터 다음해 2월 말일까지로 조정하자는 데에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같은 의견을 보였다. 학교운영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선출에 있어서 교사들은 자격제한을 두지 말고 자유롭게 선출하기를 원했으나 학부모들은 현행대로 학부모 위원이나 지역 위원 중에서 선출하기를 원했다. 일반 학부모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방안으로 안건과 관련된 토론회, 협의회나 학교 소식지나 설문지를 통한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부모 위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학부모 위원의 소양 및 전문지식 부족을, 학부모들은 소극적 참여 태도를 지적하였다. 학부모 위원의 참여의욕 증진 방안으로 일반 학부모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학부모 위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들은 학부모 위원이 다양한 연수에 참여하여야 한다고 하였고 학부모들은 다른 학교 운영위원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학부모 위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학부모 운영위원의 권한에 대한 인식을 보면 교육과정 및 학교교육 프로그램 영역에 대해서 교사들은 학부모 위원이 자문기능을, 학부모들은 학부모 위원이 심의기능을 행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나 교과용 도서 및 교육자료의 선정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부모 위원이 자문기능을, 방과 후 또는 방학기간 중의 교육활동 및 수련활동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부모 위원이 심의기능을 행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인사 영역에 대해서는 교사들은 학부모 위원이 자문기능을, 학부모들은 학부모 위원이 심의기능을 행사해야 한다고 하였다. 재정 영역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부모 위원이 심의기능을 행사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기타 영역에서 학교 급식, 학교 운동부의 구성 및 운영, 학교운영에 대한 제안 및 건의 사항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부모 위원이 심의기능을 행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를 촉진하고 학교운영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위원은 전체 학부모를 대표하는 사람이어야 하며 민주적 절차에 의해서 선출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전제가 되어야 하며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부모들에게 다양한 참여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부모 위원은 전체 학부모의 의견을 학교운영에 반영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홍보가 중요하다. 셋째, 학부모 위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시간적 제약으로 학교운영 참여가 어려운 학부모를 위해서 근무시간 이후의 시간, 전화, 학교 홈페이지, 방송매체 등을 활용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내용 = 3 C.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5 A. 단위학교 책임경영 = 5 1. 단위학교 책임경영의 정의 = 5 2. 단위학교 책임경영의 특징 = 6 B. 단위학교 의사결정 = 10 1. 의사결정 이론 = 11 2. 학부모의 의사결정 참여 = 13 C.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를 위한 학교운영위원회 = 18 1. 학교운영위원회의 설립배경 = 18 2.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과 운영 = 20 3.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 21 4.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 27 5. 선행연구 고찰 = 30 6. 외국의 학교운영위원회 = 31 III. 연구방법 = 40 A. 조사대상 = 40 B. 조사도구 = 41 C. 자료의 처리 = 42 IV. 연구 결과 = 43 A.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에 관한 교사의 인식 = 43 1.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효과 = 43 2. 학부모 운영위원의 역할 = 53 3. 학부모 운영위원의 권한 = 68 B.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 85 1.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효과 = 85 2. 학부모 운영위원의 역할 = 91 3. 학부모 운영위원의 권한 = 100 V. 결론 및 제언 = 110 A. 요약 및 결론 = 110 B. 논의 및 제언 = 116 참고문헌 = 119 부록 = 122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52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대한 조사 : 학교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