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옥-
dc.creator이미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22-
dc.description.abstractAs the school accounting was established through revamping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law on January 28, 2001. 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cross Korea can run their school accounting. It is safe to say that the school is able to get the autonomy and the responsibility for school management from the education office. As a result, the school could attract the whole school staffs ( the teaching and clerical ) participation, and introduce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To solve this study about the system, which includes the whole perception, arrangement, execution, settlement, and appreciation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this study conducts both literature and the national teachers group. the literature study is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the investigation carries out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 the subject of this survey, 514 teacher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onggi and Incheon province are collec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SPSS for WINDOWS program is used. Also, χ²(Chi-Square) inspection is done to look at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a survey to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above all some 62.2%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well, and the likelihood that they have not gotten the opportunities to attend the management accounted for 70.6%. Therefore, the training method is absolutely being needed for the school. Also, in order to settle the new system, The name of the game is the launch of the training program. Considering the training of the system of budget accounting, the school should place too much emphasis on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ver the management and whole processing and the official reports related to it. On the other hand, in the most developing side of the system, the teacher s group also wants to review the processing of the budget and balancing accounts about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finances. Besides, the teacher s group thinks that a principal will play a very key role in performing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 et accounting, which is evaluated to fit the school, because it is helpful to the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city and province schools across the nation. In the case of the publication methods of the budget and the settlement of balance. The one of the most proper methods is to put the relevant fact including the budget up each school homepage respectively. Also the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action about the necessity of the appreci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finances. Finally, among this surveyors 62.3% of them said that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will have the pave for leading the autonomy of schools in Korea. Second, when the school draws up a budget, the teacher s group(96.5%) said that they should attend the compilation of a budget, and 63.5% of them are willing to be directly in present to the procedure of the school budget. However, if it does, they might face the stumbling block that is the lack for expertise about the accounting. They say that the opinions of students(66.6%) and their parents(55.9%) have been not reflected.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chool itself should revis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the concurrence with the timing of the budget arrangement and the draft of educational project. Third, in the past, when the teacher s group evaluated the school budget, the committee of school administration had the shallow knowledge about the school budget and did not know exactly the part of the budget screening sub-committee.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is evaluation, there have been several wrongdoing. The following is points of the case, the processing of the school budget and the list of the school expenditure or the less perception of budget administration, and dealing with complicated reports. Moreover, each school department did not know the budget, which is allotted for operating costs, and the successor kept the precedent policy that the predecessor followed suits, that is why they think negatively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First of all , in order to overcome the issues, they first should learn the basic knowledge about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s procedures. If the budget is to fall short of the common expectation, the school can seek the wide variety of ways in progressive and positively fashion , for example, attracting the fund outside, holding the profitable businesses. Over this poll, they show that the assistant principal ought to take part in the processing and arrangement of the school budget. In particular, most teachers say that the current school budget is not just substantial measures but just empty gestures. Looking at the result written above, the schools across Korea are considering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as a befitting bill to each school, and someday they will recognize to take the autonomy of the school management. To put it another way, they surely think that there must be the training programs of the new system and the fair publication of the school budget, which serve as a cornerstone for education. School teachers will prepare for the system of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in a forward-looking and positive manner.; 2001년 1월 28일 초·중등교육법이 개정되면서 학교회계가 설치되었고, 단위학교에서는 독자적으로 회계를 운영하게 되었다. 이는 단위학교의 학교 재정운영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책임 경영을 유도하는 동시에 학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학교예산회계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 연구에서는 교원들의 학교예산회계제도의 실시에 대한 인식을 비롯해서 예산 편성과정·예산 심의과정·예산 집행과정·결산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대상자로는 서울·경기·인천 관내 초등학교 212명, 중학교 115명, 인문계 고등학교 131명, 실업계 고등학교 56명의 교원을 임의로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배경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예산회계제도 실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하여 교원들은 잘 모른다고(62.2%) 응답하고 있고,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연수 기회가 없었다(70.6%)고 응답하고 있다. 또한, 연수 시에 고려할 사항에 대해서는 학교회계 전 과정에 대한 진행 순서, 회계관련 서류에 대한 내용뿐 아니라 학교예산회계제도 전반에 대하여 연수가 필요(83.1%)하다고 반응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발전적인 사항은 학교 예산과 결산을 공개(44.0%)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학교 재정운영에 있어서 가장 요구되는 사항 또한 예산·결산의 공개(47.4%)라고 인식하고 있다. 교원들은 제도를 성공적으로 실시하는 데는 교장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예산과 결산의 공개 방법으로서는 학교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방식을 들고 있다. 현재는 교직원회의에서만 공개하거나(28.7%) 공개하지 않는 것(24.8%)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교원들은 학교 재정운용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78.0%)고 보고 있고, 학교예산회계제도는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부여(62.3%)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예산 편성을 하는 과정에서 교원의 참여에 대하여 강한 참여의사를 나타내고(96.5%) 있으며, 직접적인 방법으로 참여(63.5%)할 의사를 보이고 있다. 교원들은 예산 편성과정에 참여할 때 회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47.3%)하다고 인식하고, 예산 편성 시 전체교사 의견(10.8%)이 아닌 부장교사(33.9%)나 일부교사(28.4%)의 의견이 주로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학교 예산 편성 시기와 교육계획서를 작성하는 시기는 일치(81.2%)시켜야 하고, 학교에서 예산을 편성할 때 예산 요구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있다(79.4%)고 보고 있다. 교원들은 예산 편성을 할 때 학생(66.6%)과 학부모(52.1%)의 의견은 반영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면서 앞으로 학생(41.4%)과 학부모(48.0%)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교원들은 예산 심의 과정에서 학교운영위원이 예산에 대해서 전문성이 낮으며(40.9%), 교원들은 예산심사소위원회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55.9%)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예산 심의과정의 절차 진행 사항에 대해 보통(56.8%)으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예산을 집행할 때 어려운 점으로는 예산의 집행 사항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29.0%) 의사를 결정하기 어렵고 예산 사용의 우선 순위에 대한 견해의 차이(27.8%), 행정 절차에 대한 이해 부족(23.7%) 그리고, 복잡한 문서 처리능력 등에 대하여 애로 사항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예산이 부족한 경우 해결책으로는 장기 계획을 세워서 사업을 하거나(45.2%), 학교장이 외부에서 자금을 유입하거나(28.9%), 수익 사업을 벌이는 방법 또는 학교 발전기금을 모으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여 교원들이 예산이 부족한 경우 적극적이며 진취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편, 평교사들은 담당 부서의 예산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며(44.1%), 교감이 예산 편성 및 집행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적(51.5%)으로 반응하고 있다. 다섯째, 결산 심의과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보통(58.9%)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운영위원들이 예산·결산에 대하여 심의를 할 때에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예산안과 결산안을 개별 통지 받아 심의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모른다(49.5%)고 응답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교원들은 학교예산회계제도가 단위 학교에 적합할 뿐 아니라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주요한 기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교원들은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고, 학교 예산·결산의 공개가 더욱 발전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사항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교원들은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4 A. 단위학교 재정 = 4 1. 단위학교 재정의 개념 = 4 2. 단위학교 재정제도 = 4 B. 학교예산회계제도의 개념 = 5 1. 학교 회계 = 5 2. 학교 예산 = 6 3. 학교예산회계제도 = 7 C.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도입 = 8 1. 종래의 학교 재정 운영 = 8 2.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도입과정 = 10 D.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내용 = 13 1. 종래의 학교 재정제도와 학교예산회계제도의 차이점 = 13 2.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내용 = 14 E. 학교예산회계 운영 과정 = 17 1. 예산 편성과정 = 17 2. 예산 심의과정 = 20 3. 예산 집행과정 = 22 4. 결산과정 = 23 III. 연구방법 = 26 A. 조사 대상 = 26 B. 조사 도구 = 27 C. 자료의 처리 = 28 IV. 연구 결과 = 29 A. 학교예산회계제도 실시에 대한 인식 = 29 B. 예산 편성과정에 대한 인식 = 50 C. 예산 심의과정에 대한 인식 = 72 D. 예산 집행과정에 대한 인식 = 76 E. 결산과정에 대한 인식 = 85 V. 결론 및 제언 = 89 A. 요약 및 결론 = 89 B. 제언 및 논의 = 93 참고문헌 = 96 부록 = 99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0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