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 교사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 교사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uthors
조미라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재량활동이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에서 그 의도를 어떻게 파악하고 편성하고 있는지를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학교 현장(교사수준)에서 시행되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실태조사를 통해 편성의도와의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의도와 운영지침은 무엇인가? 둘째, 지역교육청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은 무엇인가? 셋째, 학교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은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는가? (연구·우수·일반학교 각 4개교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운영 계획 비교) 넷째, 교사수준의 재량활동 운영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다섯째, 각 수준별 재량활동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으며, 편성의도와 실제와의 차이(gap)는 무엇인가? 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효율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문서분석과 면담을 주된 방법으로 하여 관찰과 공문분석을 병행하였다. 학교교육과정 우수학교의 교원 10명과 일반학교의 교원 25명 등 총 3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면담은, 면담지를 이용한 반구조적 방법을 기조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비구조적 인 방법도 활용되었다. 선행연구의 고찰과 각 수준별 재량활동 교육과정 문서의 분석을 통해 편성의도와 실제 사이의 차이를 밝힐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하여 각 의사결정주체 즉, 국가수준, 지역수준, 교사수준 별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으며 의도와 실제와의 차이(문제점)가 있는가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전체적인 편성의도, 체제, 방법 등을 제시해주고 있다. 우리의 교육과정이 이론적 배경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집권적인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국가수준에서는 구체적인 실천 중심의 지침보다는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둘째, 지역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역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역시 국가수준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각 지역마다 비슷한 지침을 마련해 주는 수준이었다. 각 학교현장마다 사정이 다르므로 각각의 학교가 속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도 및 지역교육청의 뚜렷한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지침을 정해주어야 하는데 실제는 국가수준의 지침을 준수하는 면에서는 전 지역 공통이었지만, 지역의 특색이 드러난 구체적인 지침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수준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운영부분에서는 국가수준과 지역수준에서 각각 하달된 지침을 기초로 학교수준에 맞게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학교수준에서는 편성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국가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지침과 지역수준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지침을 맹목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듯 거의 비슷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급기관의 교육과정 편성지침은 반영을 하고 있지만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의도 및 취지 와 비교하여 볼 때, 재량활동 이 포함하고 있는 함의는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즉, 상급기관의 지침 상으로는 운영위원회를 구성,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기초조사에 맞추어 학교실정에 맞게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으나 계획서 상으로는 이를 구성해 놓고 실질적으로는 이를 실행에 옮기고 있는 학교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조사시에도 학교의 입장을 대변해 주는 교장, 교감 등 관리자 계층뿐만 아니라, 부장급 교사, 일반 교사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이에 맞추어 운영하여야 하나 실질적으로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처음의 의도대로 실행되지 못하는 원인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그리고 학교에서의 부장급 이상 교사들 중 학교교육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부의 의견을 수렴한 정도를 가지고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고 인식하는 관리자도 있었다. 이는 국가, 지역, 학교, 교사 수준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문제(차이점)가 단위 학교 내에서의 행정가, 담당 부장교사, 일반 교사 사이에도 있음을 여실히 드러내 주는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교사수준에서는 국가수준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에 대하여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6차에서의 학교재량시간과의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조차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현실적으로는 학교가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계획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경우도 많았다. 넷째, 국가수준에서의 재량활동에 대한 개입이다. 본 연구에서도 검토되었지만 국가에서는 ICT 활용교육, 통일교육, 성교육 등의 일정한 주제를 하달하고 이를 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전국적으로 혹은 시·도 교육청 별로 특색 있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아닌, 공통적인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밖에 없는 이유라 할 수 있다. 진정한 재량활동 교육과정이라면 국가수준에서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재량활동의 본 취지대로 단위 학교, 학생, 교사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의도와 실제의 차이의 원인(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사의 인식의 부족이다. 재량활동에 대한 이해와 지도 기능, 시간의 부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재량활동 편성·운영에 있어서의 교육적 요구의 조정의 문제이다. 셋째, 교육과정 실시 기반의 미약으로 자율권의 보장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넷째, 학습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이다. 다섯째, 재량활동 내용상의 문제이다.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재량활동 평가에 있어서 평가방법의 비 다양성과 학력관의 개선의 요구이다.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효율화 방안 은 「재량활동의 인식」,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재량활동의 내용(프로그램)」, 「재량활동의 평가」의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범교과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창의성과 자율성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근본 취지를 강조하여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이다. 그 동안 재량활동 이라는 개념이 표면화되지 않았을 뿐이지 교수요목기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에 내포되어 있었음은 교과와 특별활동 영역의 편제와 강조사항을 살펴볼 때 자명하다. 중앙집권적인 성격이 강한 교과중심 교육과정이나 아동의 흥미·체험·관심·요구를 중시하는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점을 살리려는 의도가 재량활동 교육과정 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장의 교육은 근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교과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 주기만 한다면 재량활동 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본다. 교사 대부분은 재량활동 을 하나의 교육과정 영역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또 다른 교과 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재량활동 교육과정 이 교과나 특별활동과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의 표현이기도 하다. 모든 교육이 다 그러하겠지만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근본 취지에 맞게 잘 시행되기 위해서는 그 누구보다도 일선 교사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새로운 교육방향을 따르지 않고 간과하는 것은 교사로서의 책무성은 망각한 채 자신의 안위를 위한 이기적인 주장에 불과하다. 시대의 흐름과 국가의 시책에 함께 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갖추는 것이 현재 우리 나라의 교육실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결국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에서 교사집단에 의하여 편성·운영 방안과 문제점들이 폭넓고 심도 있게 논의되어 모든 것이 학교자체에서 해결해야 할 몫으로 남는 것이다, 교사들의 교육관, 교사 개인의 관심과 능력 등 단위학교가 가지고 있는 모든 교육적 역량을 어우를 수 있는 제도적 기회가 바로 재량활동이다. 용어 그대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부터 누가 어느 학년, 반을 가르칠 것인가에 이르는 문제까지 모두 학교와 교사의 재량이다. 결국 재량활동의 성패는 단위학교와 그 구성원인 교사집단의 재량에 달려 있다고 본다. 그러나,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의 재량활동 실행과정상에 드러난 의도와 실제의 차이를 중심으로 재량활동 전반에 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교육과정 편제상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으로 되어 있는 체제를, 교과 교육과정과 특별활동 교육과정과의 통합적 교육과정으로서 2원 체제로 다시 환원하여야 할 지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이 추구하고자하는 인간상의 검토, 교육과정의 관점 및 철학적 수준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확대 실시되고 있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근본 취지에 맞게 각 수준별로 잘 편성·운영하여 교육력을 신장시켜 교육의 위상을 높이고자 함에 본 연구자의 의도가 있다 하겠다.; The reformed 7th Curriculum has expanded the latitude of choice in the domain of discretionary activity for schools and teachers to make use of the leaner-centered instruction activity programs. In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education, it is clearly expressed that a student-oriented curriculum is pursued to increase the autonomy and creativity. And then school discretionary activity of 6th curriculum was strengthened to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However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7th curriculum has not been effectively utilized in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points of differences among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regional level, school level, teacher level.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what is the purpose of composition and a guideline of management like tha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Secondly, what is like a guideline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regional education agency? Thirdly, what is like that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school level? (the school of an investigation, the school of a excellence, the school of a common ; the comparison of each 4 the schools management plan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Fourthly, what is like that the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teacher level? Fifthly, how is the practice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each level? And then, what is differences between the purpose of composition and a real condition? and, what is the effective method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amined precedent studies which is related discretionary activity, and interviewed 35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ly,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lead to wholly picture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Secondly,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regional level is similar to national level. Thirdly,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school level should be specialized by situation of regional school. B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school level is similar to regional level.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discretionary activity, great parts of schools were seemed to make use of the assigned hours, not in a creative and flexible way. Fourthly, effectiv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is disturbed by national level. Although the assigned hours are implemented mainly as a part of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there are also many schools, in which the hours in question are included in a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Discretionary activity time is compelled to use ICT practice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sex education, etc. by National level. Generally speaking, the implementation plans of discretionar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s have not taken satisfactorily into consideration the elements necessary to organize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It is necessary that of the basic argument about the reduction of a system of the subject curriculum,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nd the special activity curriculum and of a duality system that the integration curriculum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the special activity curriculum. As it is called, it is necessary that an investigation of a human being s a conception,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and a philosophic level. Through this studies, it is identified that improve the ststus of education as upgrade power of education ;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at explore and operation to the 7th curriculum is corresponded with basic purpose as composition and mana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