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보충, 심화학습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 고등국어(상) 1단원 보충, 심화학습을 중심으로

Title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보충, 심화학습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 고등국어(상) 1단원 보충, 심화학습을 중심으로
Authors
이재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02학년도부터 제7차 교육 과정이 고등학교에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고등학교 1학년은 새로운 교육 과정에 따른 새로운 교재로 국어 과목을 배우고 있다. 특히 제7차 교육 과정은 개별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수준별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중 국어과는 사회, 과학 교과와 함께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으로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은 학습의 위계가 분명하지 않은 교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기본 학습을 마친 후 보충과 심화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준의 선별과 자료의 선정 문제 등을 해당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어 현재로서는 뚜렷한 방침을 세우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교육 과정의 적용은 그에 따른 새로운 교수·학습 방안까지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인식에서 출발하여 고등학교 보충·심화 학습의 새로운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지도 방안의 큰 줄기로 택한 것은 인터넷으로 특히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수준별 학습에 이용하는 방안을 구안해 보았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과 도입 배경, 그리고 그 이론적 기초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국어과 수준별 교육 과정과 운영 방안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터넷의 특성과 교육적 효용성을 검토하여 수준별 학습을 위한 토대로 삼았으며 아울러 수준별 교육 과정과 인터넷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설문으로 조사하여 홈페이지의 제작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에서 살펴 본 이론적 내용들과 설문 조사를 토대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실제로 제작하여 국어과 보충·심화 학습에 적용해 보았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기본 학습을 한 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수준별 학습을 수행하였다. 수준의 선별 방법으로는 현재 뚜렷한 방안이 없으므로 교사 설문 결과를 토대로 기본 학습에 대한 형성 평가 방식으로 문제를 제시하였다. 형성 평가 문항을 풀고 80%이상 성취한 학생들은 심화 학습을 선택하도록 하였고 나머지 학생들은 기본 학습을 재학습하거나 기본 학습 내용보다 좀더 쉽게 제시된 학습 자료를 통해 보충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후 학생들은 각 학습 과정마다 제시된 과제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하여 교사에게 제출하고 담당 교사는 학생들의 과제물을 수행평가함으로써 학습이 일회적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한 이러한 학습 방안이 처음 시도되는 만큼 시행착오도 있었으나 학생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되는 학습에 대해 새로움을 느꼈으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 속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한 것으로 학생 설문 조사 결과 밝혀졌다. 또한 수준별 학습의 기본 방향이 개별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인터넷은 효과적인 방안이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준별 학습의 지도 방안의 하나로서 그 의미가 있다. 현실적인 여건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수준별 학습은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이 교사에게는 또 하나의 부담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은 시대적 요청인 동시에 새로운 지도 방안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rom the year 2002, a revised 7th curriculum is adopted at high school. As a result,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learn the Korean language with a new text book under the new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7th curriculum puts emphasis on differentiated curriculum to provid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to an individual student. Among other things, along with the subjects of sociology and science, the subject of the Korean language requires in-depth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In-depth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applies to subjects whose for grade of rank is not clear. And In-depth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is provided after students complete basic learning. However, as a school is allowed to select levels and teaching material on their own, it is difficult to set a clear guideline. In addition, adoption of a new curriculu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past requires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and seeks for a new guideline for in-depth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at high school. The Internet was selected as a main item for a new teaching method, and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of using the creation of a home page in differentiated learning. Chapter II looks over the concept of differentiated lear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 reason for adopting the concept, and a theoretical basis. In particular, the chapter briefly looks over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level and its teaching method. Then,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use of the Internet is reviewed to lay the foundation for differentiated learning. Along with this, teachers opinion on differentiated learning courses and the Internet is surveyed to use them as basic data to make a home page. In Chapter III, on the basis of theories and surveys explained in Chapter II, an Internet home page is made to be applied to in-depth and supplementary learning. Students undergo differentiated learning individually by logging on to the Internet after conducting basic studies at school. Since there is no specific method of differentiating levels at this moment, questions are raised through a formative evaluation method for basic study on the basis of survey of teachers. For students who answer formative evaluation questions and give right answers to more than 80%, they are allowed to select in-depth learning. In comparison, remaining students are made to re-learn basic study or conduct supplementary learning with study material that is much easier than basic leaning material. Then, students answer questions in each learning curriculum in various ways and submit the results to a teacher. Then a teacher evaluates the results of students so that learning does not end at once and students take learning more seriously. Such learn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is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so there is trial and error. However, according to the survey of students, students feel novelty in the new learning method and go through meaningfu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on their own. What s more, the Internet is an effective method, given the fact that basic direction of differentiated learning is individual learning and self-motivated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teaching method for differentiated leaning. Unless reality improves, differentiated learning is expected to face considerable difficulties. Study using the Internet could become a burden on teachers, too. Nonetheless, educational use of the Internet is an unavoidable reality and is expected to help a new teach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